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d라이브러리
"
채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픔 줄이고 아기 낳는 법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투입하는 방법이다.이를 경막외 마취라 하는데, 배에 힘을 주는 운동신경은 그대로 둔
채
통증을 담당하는 신경만 마취를 시키는 것이다.무통분만은 자궁에 일절 칼을 대지 않으며 또한 배꼽 아래 부위에만 마취가 되므로 산모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태아가 탄생하는 기쁨을 누릴 수 있다.또한 ... ...
TV속의 초능력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실험결과를 재현하려고 했으나 실패했다. 그리고 꿈 연구는 과학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채
텔레파시의 존재 근거가 되지 못하고 말았다.유리 겔러의 속임수TV에는 또한 눈빛만으로 촛불을 끈다는 염력 초능력자도 나온다. 필자는 그 장면을 보고 감기 마스크를 하고 꺼 보라고 하면 어떨까 생각했다. ... ...
턱도 디스크에 걸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신호에 변화가 생깁니다. 그 결과 이를 악무는 빈도와 시간이 감소하죠. 장치물을 낀
채
이를 갈거나 악무는 경우에도 나쁜 효과가 치아나 턱관절에 전해지지 않도록 보호합니다.L: 이런 장치물을 끼면 빠져나간 디스크가 원래의 위치로 들어가게 되나요?의사: 불행하게도 한번 빠져나간 디스크는 ... ...
Ⅰ. 고고학/2만년전 후기 구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확인한 결과 정확히 2만8백30년 전의 것이었다. 또 이 시대의 사람들이 살았던 집터 세
채
가 발견돼 당시의 생활 모습을 웬만큼 복원할 수 있게 됐다. 중요한 점은 좀돌날몸돌 제작기술이 후기 구석기부터 시작해 신석기까지 이어진다는 증거가 곳곳에서 발굴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좀돌날은 길이 3 ... ...
인터넷 신화 일군 야후!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야후 이용자로 넘어올 수 있었다. 마치 마이크로소프트가 1980년대 초 IBM PC의 운영체제로
채
택됨으로써 힘들이지 않고 업계 표준이 된 것처럼. 그러나 1996년 겨울 넷스케이프는 “인터넷 디렉토리 버튼을 더 이상 야후에게 할애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야후가 넷스케이프에 무임승차해 ... ...
동물들의 기발한 속임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침노린재는 개미집에 접근해 흰개미 가족의 일개미들을 잡아먹는다. 외골격은 남겨둔
채
그 체액만을 빨아먹는 독특한 식성이다. 하지만 침노린재의 영리함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체액을 다 빨아먹고 남은 일개미의 껍데기를 개미집 입구 속으로 밀어넣고는 이것을 천천히 움직인다. 이때 ...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살아간다. 태양이라는 가장 밝은 존재를 통해 보여주는 시간을 현대인은 읽지 못한
채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지금 우리나라 곳곳에 남아있는 앙부일구는 우리가 잃어버렸으면서도 깨닫지 못하는 시간을 가리키고 있다. 앙부일구의 그림자에서 자연의 시간을 읽을 줄 아는 사람, 그는 지금 우주를 ... ...
다섯행성을 어떻게 찾았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흔히 ‘지구는 둥글다’고 알고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지구가 둥근 모습을 보지 못한
채
평평한 지면으로만 보인다. 코페르니쿠스 덕분에 지구는 태양 주위를 1년에 한번씩 공전하면서 자신도 자전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 그러나 실제 생활에서는 지구가 자전하는 것을 느낄 수 없다. 또한 지구가 ... ...
Ⅱ. 체질인류학/신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이 지역에 고립됐다. 추운 빙하기에 자연스럽게 얻은 적응력은 체질적으로 보존된
채
. 그리고 신석기시대에 들어서면서 아마도 외부 유전자가 유입됨에 따라 머리뼈의 생김새를 비롯한 체질적 특성이 변화했을 것이다. 이런 연구를 종합하면 한국인의 뿌리는 추운 시기에 동북아시아에 펴져 살던 ... ...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무게가 오른쪽 발목에 쏠리는 한편, 왼손으로 창을 쥐고 있으므로 왼쪽 어깨는 긴장된
채
위로 약간 치켜 올라간 형태를 보여준다. 체중이 오른쪽 발목으로 집중되고 있기 때문에 골반은 수평이 아니라 한쪽 방향으로 쏠릴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조각가는 이 작품의 안정을 위해 머리를 오른쪽으로 ... ...
이전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