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d라이브러리
"
채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있는 유인원은 3만5천-10만5천마리의 오랑우탄, 5천-9천마리의 삼림 고릴라, 1천마리가
채
되지 못하는 산악 고릴라, 그리고 적은 수의 침팬지들뿐이다. 그런데 이들은 생태계가 파괴되면서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큰 유인원들이 살고 있는 열대 우림지대는 점차 황폐해지고 있으며, 벌목 때문에 점차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처음 돌기 시작했을 때 수직으로 서있는 이쑤시개의 끝은 한 곳에서 움직이지 않은
채
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 비스듬히 기울어지면 이쑤시개의 끝은 위에서 보았을 때 원을 그리며 돌게 된다.지구의 자전축도 기울어져 있으므로 위 실험과 같이 원운동을 하게 된다. 이것을 지구의 세차운동이라고 ... ...
목 비튼
채
통화하면 위험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하면서 귀와 어깨 사이에 수화기를 걸친
채
통화하는 경우가 많다. 통화가 끝나면 목을 비틀고 있었던 탓에 목이 뻐근해지기 마련이다. 그런데 장시간 이런 자세로 전화를 받으면 건강이 나빠질 위험이 매우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프랑스 파리 생-앙 병원의 신경학자 마티외 쥐베르 박사는 11월 1 ... ...
오리온과 함께하는 겨울의 대육각형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됐다고 전한다. 형제는 오리온자리 북쪽으로 ‘ㄷ’ 자 모양으로 어깨동무를 한
채
겨울 은하수 속에 발을 담그고 있다. 두 별은 연관된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 폴룩스는 34광년, 카스토르는 55광년 떨어진 별개의 별이다. 동생인 폴룩스가 더 밝은데, 폴룩스는 태양 크기의 10배 정도인 노란색 ... ...
인간과의 전쟁 세계인구 60억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컵 속에는 물이 절반이나 남아 있다는 것. 어쩌면 과학기술에 의해 컵속의 물이 도로
채
워질지도 모른다. 단적인 예로 현재 세계적으로 8억명의 인구가 굶주리고 있지만 5년 전과 비교하면 4천만명이 줄어든 수치다. 이대로 노력한다면 2015년에는 굶는 사람이 4억명으로 준다는 전망이다.1997년 미국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레이저포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통해 고밀도의 마이크로레이저 행렬을 손쉽게 얻을 수 있다. 지름 10㎛(1㎛=${10}^{-6}$m)이
채
안되는 소형 레이저포가 다양한 크기로 무수히 밀집한 모습을 떠올리면 된다. 비용이 훨씬 절감되면서 ‘입맛에 맞는’ 레이저광을 손쉽게 대량으로 얻을 수 있는 장치다.차세대 반도체레이저 개발에 성과를 ... ...
간지럼타는 배롱나무와 음악듣는 오이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한다. 그런 사람들은 화분에 담긴 식물이 자신의 말소리와 손짓을 느낀다는 것을 모른
채
식물을 무시하고 거칠게 대하지 않았는가 생각해보자. 우리가 무감각하고 수동적인 존재로 무시해왔던 식물이 사실은 간지럼을 타고, 주인의 발소리를 알아듣고, 시집을 보내주어야 열매를 많이 맺는 ... ...
종양 제거하기 위해 심장 떼낸
채
수술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암덩어리를 제거하기 위해 환자의 심장을 잠시 떼어냈다가 다시 붙인 수술이 행해졌다. 텍사스주 메소디스트 병원의 심장전문의 마이클 리어든은 지난 10월 18일 4시간 30분에 걸친 수술을 마친 후 “환자의 상태는 양호하다”고 밝혔다. 환자(36세)의 좌심방에 자라고 있던 레몬 크기만한 악성 종양 ... ...
인간 유전자에 특허 매겨진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세포에 대해 '소유권'을 먼저 얻으려는 노력이 한창이다.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지 않은
채
무단으로 세포를 떼내 특허를 얻는 경우도 있다.서기 2050년 한국의 암치료 전문 병원. 간암에 걸린 환자의 가족과 의사가 심각한 표정으로 대화를 나누고 있다.“환자의 질환은 비교적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전에는 지우개의 무게(중력)와 고무줄이 지우개를 잡아당기는 힘(탄성력)이 균형을 이룬
채
지우개가 컵의 가장 자리에 있다. 그러나 종이컵을 떨어뜨리는 순간 지우개는 무중량상태가 돼 고무줄이 잡아당기는 컵 안으로 들어가 버린다. 무중량 상태란 중력은 작용하지만 중력의 효과가 아주 미미해 ... ...
이전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