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뉴스
"
분자
"(으)로 총 3,411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쿄대 와타나베 요시노리 교수 논문 조작 파문…아시아 3국은 논문 조작 중?
2017.08.03
유효하다는 입장"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8월 2일 오전 현재 다섯 편의 논문 중 유럽
분자
생물학회지의 논문만 7월 1일자로 '정정'을 통해 웨스턴 블랏(단백질 유무 확인을 위한 분석법)의 데이터 색대비(콘트라스트)를 조정한 사진을 교체했다고 밝히고 있을 뿐, 나머지 네 편의 논문은 여전히 원본 ... ...
제브라피쉬는 앞을 보지 않고 어떻게 헤엄을 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30
어떻게 물의 흐름을 감지하는지 밝혀냈다. 파블로 오테이자 미국 하버드대
분자
세포생물학과 교수팀은 독일 막스플랑크신경생물학연구소와 공동으로 제브라피쉬의 감각 시스템에 대한 관측과 모델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를 ‘네이처’ 27일자에 발표했다. 이들에 따르면 제브라피쉬는 ... ...
남겨진 DNA로 범인 행동 분석까지…진화하는 과학수사
과학동아
l
2017.07.28
연구팀은 2009년 뇌, 심장, 신장 등 11가지 조직의 DNA 메틸화 지도를 완성해 학술지 ‘인간
분자
유전학’에 발표했다. 신체 부위별로 특정 유전자가 메틸화되는 특성이 다르며, 고유의 메틸화 패턴도 알 수 있다. 이를 응용하면 현장의 작은 흔적만으로 그것이 몸 어디서 나왔는지, 정액인지 침인지를 ... ...
공기방울로 세포 이동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7
액체의 온도가 올라가면 표면장력이 낮아진다. 즉 액체의 한 부분을 레이저로 가열하면
분자
들이 표면장력이 높은 온도가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한다. 이 액체에 공기 방울이 있었다면 상대적으로 액체가 이동하는 반대 방향으로 공기 방울이 이동한다. 연구팀은 움직이려는 물체에 공기방울이 ... ...
지카 바이러스 치료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6
중국 푸단대 의학
분자
바이러스학실험실 유 유펑 연구원팀은 ZIKV에서 유래한 단백질
분자
를 만들어 주입한 결과, 임신한 쥐와 태아 쥐 모두에서 감염 증상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했다고 25일(현지시각)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모기를 매개로 전염되는 플라비바이러스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없다. 그러나 지금처럼 고온다습할 때는 땀이 증발하는 동시에 대기 수증기의 물
분자
가 피부에 달라붙으므로(액화되며 열을 준다) 땀의 증발로 인한 냉각효과가 상쇄된다. 결국 피부의 수분은 제대로 증발되지 못해 쌓이고 양이 많아지면 땀방울로 흘러내리게 된다. 즉 증발로 인한 냉각효과를 보지 ... ...
주변 전자파 잡아내 전기로 바꿔 스마트폰 충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1
및 후각처럼 데이터화하기 어려운 정보까지 찾아낸다는 목표다. 물질의 구성 요소인
분자
자체를 검지하는 고성능 센서로 각종 유해물질이나 질병 징후를 걸러낼 수 있다. KAIST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교수 연구팀은 단백질을 활용해 센서 안 감지 소재의 성능을 높이는 촉매 기술을 개발했다. 어떤 ... ...
스마트폰 배터리 사용시간 5배까지 늘리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7.21
유지했다. 현재 정보기술(IT) 기기에 쓰이는 리튬이온전지의 수준을 넘어서는 성능이다.
분자
기계 원리가 고용량 이차전지 소재 개발에 최초로 적용된 사례다. 최 교수는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연구해 기존의 기술을 뛰어넘는 획기적인 결과가 나올 수 있음을 보인 것”이라고 말했다. 이 ... ...
첫사랑의 기억이 오래가는 이유? 어느 연구자의 결론
동아사이언스
l
2017.07.20
MRI) 등 뇌를 관찰하는 기술이 많이 발전했지만 아직도 부족하다”며 “향후
분자
단위 이하에서 시시각각 변하는 뇌의 데이터를 모아 분석해야 가설을 입증하고 기억에 대해 명확히 설명할 수 있을 것”고 덧붙였다. ... ...
하늘 보며 쓰나미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17.07.18
대기에서 약 80~1000km에 이르는 층을 말하는데, 태양복사와 우주선(Cosmic Ray)에 의해 대기
분자
들이 이온화돼 있다. 지진에 의해 쓰나미가 발생하면 이 지역의 상층부 전리층에서 교란이 생긴다. 쓰나미가 만든 파도의 마루와 골이 대기를 압축 - 이완시키면서 대기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이런 ... ...
이전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