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뉴스
"
분자
"(으)로 총 3,41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남성에 비해 발병률이 세 배 정도 더 높다. 자가면역이 유발되는 주요 메커니즘의 하나가
분자
구조의 유사성(molecular mimicry)에서 비롯된 면역계의 착각이다. 즉 외부 물질(음식이나 병원체)을 항원으로 하는 항체가 형성될 때 불운하게도 이 항원의 구조가 우리 몸의 물질과 비슷할 경우 이 항체를 ... ...
거미집 모방해 바이오센서 능력 UP!
과학동아
l
2017.05.18
중심부에 바이오센서를 놓았다. 실험 결과, 플랫폼의 미세 자기장 패턴을 따라 바이오
분자
가 중심부 센서로 이전보다 더 빠르게 이동했다. 바이오센서의 감지속도는 기존보다 20배 더 빨라졌다. 김 교수는 “거미줄 모양의 자기장 패턴이 고속도로 역할을 하는 셈”이라며 “질병의 초기 진단과 ... ...
UNIST, 유럽 최대 연구소 ‘헬름홀츠 율리히 연구소’와 공동연구센터 설립
동아사이언스
l
2017.05.16
원)의 출연금을 받는다. UNIST는 2010년 ‘노벨상 사관학교’로 불리는 독일 막스플랑크
분자
생의학연구소와 ‘한스쉘러 줄기세포연구센터’를 개소해 줄기세포 및 재생의학 분야 연구를 진행 중이다. 한편 2016년 설립된 프라운호퍼 화학기술연구소의 분원인 ‘프라운호퍼 프로젝트 센터’에서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
2017.05.16
실마리를 찾았다. C4 식물은 C4 광합성을 하는 식물로 광합성을 할 때 탄소가 네 개짜리
분자
를 만드는 과정이 있어 광합성 효율이 높고 가뭄에 강하다. 반면 후기 신석기시대에 도입된 밀과 보리는 C3 식물이다(C4식물과 C3 식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과학카페 294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 ...
X선 결정구조 분석법을 통해 최초로 밝혀진 세포막의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7.05.14
1926년 제임스 섬너가 효소(요소분해 효소)를 결정으로 만들기 전까지는 단백질은
분자
량이 너무 커서 결정을 만들 수 없다고 알려져 있을 정도였습니다(섬너는 이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받았습니다). 그 뒤로 존 노스롭은 1930년 소화효소인 펩신을, 웬델 스탠리는 1935년 바이러스를 결정으로 ... ...
깎을까 쌓을까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7.05.11
과학자들은 기술이 발전하면 몸속에서 암세포를 찾아 파괴하는 나노로봇처럼 원하는
분자
기계를 설계해서 만들 수도 있을 것이라 전망한다. 최근 나노기술을 적용한 수소이온 세라믹 연료전지를 개발한 손지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고온에너지재료연구센터장은 “나노기술은 현대 과학의 ... ...
혈액 속 약물 농도 파악하고, 적정량 투여까지 한번에
동아사이언스
l
2017.05.10
제어시스템 그리고 계산된 만큼의 약물만 투여하는 펌프 등 3가지로 구성된다. 핵심은
분자
집게로 알려진 ‘압타머’다. 압타머는 한 가닥으로 이뤄진 DNA로 작은 화합물이나 바이러스, 중금속, 단백질 등의 존재 여부에 따라 활성이 달라진다. 센서가 압타머의 변화를 감지해 혈류 속 약물의 양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
2017.05.10
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끈질기게 매달린 결과다. 2002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싱가포르
분자
세포생물학연구소의 시드니 브레너 박사는 ‘사이언스’에 기고한 부고에서 “생어 같은 과학자는 (보고서와 논문을 끊임없이 써야하는) 오늘날 과학계 풍토에서는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고 썼다. ... ...
[영상] 풀과 나무는 어떻게 자랄까요?
과학동아
l
2017.05.05
생성된 전자는 틸라코이드 막에 있는 전자전달계를 거치며 에너지를 저장한
분자
인 ATP 등을 만들어 냅니다. 빛 에너지가 화학 에너지로 바뀌는 겁니다. 두 번째는 이 화학 에너지를 이용해 스트로마에서 탄수화물을 합성하는 단계입니다. 원료인 이산화탄소에 화학 에너지를 더해 포도당을 ... ...
지구 최강 생명체, 물곰의 비밀
과학동아
l
2017.05.05
만드는 유전자를 찾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TDPs가 유리 같은 고체 공간 안에
분자
성분을 압축시켜서 물곰을 탈수 가사상태로 만들어 살아남게 한다고 분석했다. 부스비 박사는 “TDPs를 이용하면 가뭄에서 작물을 보호하거나 약물을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다”고 말했다. doi:10.1016/j.molcel.2017. ... ...
이전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