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링크
결합
접속
유대
접촉
관계
직렬
d라이브러리
"
연결
"(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국가 태풍센터의 착한 태풍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에 있단다. 하지만 국가 태풍센터에서 슈퍼컴퓨터와 바로
연결
된 컴퓨터로 태풍을 계산할 수 있어. 인공위성이나 슈퍼컴퓨터의 다양한 정보를 보고 최종 판단을 하는 건 바로 사람이야. 다양한 경험을 가진 예보관들이 태풍이 어디로 어떻게 갈지 예측한단다. 이것 봐! ... ...
고슴도치 섬에는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붉노랑상사화와 비슷하지만 꽃 색이 상아빛 흰색으로 다르답니다. 또 꽃과 가지를
연결
하는 부위가 짧고 꽃의 크기가 더 큰 특징이 있어요. 이 꽃은 위도에서 처음 발견돼 위도상사화라는 이름이 붙었고, 위도에만 살고 있어요. 또 위도에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바위댕강나무가 있다고 해요. 저는 ... ...
기상천외 드라큘라백작의 모기 퇴치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모기들이 숨어 있는 기지는 어디 있을까요? 집에 있는 모기 중 90% 이상은 화장실 변기와
연결
된 정화조나, 우리가 씻고 버리는 물이 모이는 집수정에 살아요. 두 곳은 일년 내내 15~17℃ 정도로 비교적 따뜻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이랍니다.따라서 모기를 막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집안에 ... ...
바다동물특공대 석유 오염 사고를 해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하루 반 동안 불에 탄 뒤, 4월 22일에바다 속으로 가라앉아 버렸단다. 그래서 이 시설과
연결
돼 있던 *유전에서는 많은 양의 석유가 그대로 바다로 흘러 나오게 됐지. 미국지질조사국(USGS)은 현재 지하 1500m에 위치한 유전 입구에서 하루에 190만L에서 300만L의 원유가 새어 나오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어 ... ...
3 돌리고, 돌리고~ 대칭요소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적을 뿐이지. 이산화탄소는 탄소가중앙에 있고 양쪽 끝에 산소가 하나씩 곧게
연결
된 모양을 하고 있어. 이렇게 직선형(곧은형) 모양은 대칭요소가 아주 많아.반면 물 분자인 너는 이산화탄소처럼 서로 다른 원자가 1 : 2의 비로 결합해 만들어진 것은 같지만, 굽어 있어서 대칭요소가 적을 수밖에 ... ...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큰 인장력을 받는 곳도 정지궤도인 3만 6000km 상공이다. 이 때문에 우주 엘리베이터를
연결
하는 케이블은 지상에 가까울수록 가늘고 정지궤도에 가까울수록 굵어질 것이다.현재 쓰는 건축재료인 강철로 우주엘리베이터를 만들기는 불가능하다. 철은 3만 6000km는 커녕 몇 km도 버티지 못하고 끊어지고 ... ...
인공지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1교시 수업 시간이다. 교실에 들어가 태블릿 컴퓨터를 교탁에 올렸다. 학생들의 컴퓨터와
연결
돼 시험문제를 자동으로 전송했다. 수업 때 아이들의 사진과 얼굴을 비교해 이름을 알려 주고 ‘상대성 이론을 만든 사람은?’ 같은 간단한 질문에는 스스로 답변도 한다. 수업 중에 교사를 한 명 더 ... ...
향기가 퍼져나가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오차 비율을 구하시오. 이와 함께 복제 과정에서의 오차율이 낮은 이유를 DNA의 구조와
연결
해 설명하시오. 전문가 클리닉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성장과 유지 과정에서 DNA는 계속해서 복제됩니다. DNA를 구성하는 매우 많은 수의 염기들을 분리하고 복제하는 과정은 기계못지 않게 정밀합니다. 이를 ... ...
뇌 기계 접속 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응용 범위가 넓어 인간생활을 크게 바꿀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인간의 두뇌와 기계를
연결
해서 얻을 수 있는 이익은 결코 적지 않기 때문이다. 장애인은 물론 군사용이나 산업현장, 소방수 등 극한 환경에 근무하는 사람들에게도 유용하다. 산업용 로봇이나 선박의 조종, 비행기나 자동차 운전을 할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문제라는 것이다. 그는 “인문학의 위기와 기초과학의 위기는 과거와 직접적으로
연결
돼 있는 학문이라는 점에서 결국 한 가지로 볼 수 있다”며 “현실을 한탄하고 외면해서는 결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최우선 과제로는 학교에서 교사들이 이들 학문의 중요성을 직접 설명하고 ... ...
이전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