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반
기본
토대
근본
근거
터전
밑바탕
d라이브러리
"
기초
"(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남은 수명 어떻게 계산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김건열교수가 미국의 심리학자이며 노인학 학자인 다이아나 우드럼 박사의 저서에
기초
해 '수명증감요인 적용표'를 만들어 발표한 적이 있다.여기에는 가족 관련 사항, 건강, 교육정도와 직업, 생활방법 등에 관련된 31개항목이 포함돼 있다. 가족항에는 부모나 조부모가 어느 정도 장수했는지, ... ...
4 교수중심의 교실제가 걸작을 낳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있다는 것이 이 조사보고서의 결론이다. 한 우물을 파고지금까지 단편적으로 일본의
기초
과학 기술교육의 일면을 살펴 보았다. 일본 이공계 대학의 위기라는 한 분석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일본이 계속 첨단과학 기술교육의 선두주자가 될 것임을 의심하지 않는다.그 이유는 앞에서도 열거한 바와 ... ...
2 통신공간을 통해 맛보는 새로운 세상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알이두어야 한다. 도스(DOS)를 익혀두고 워드 프로세서를 쓸 줄 안다면 통신을 하기 위한
기초
실력은 충분히 갖춘 셈이다.PC통신을 시작하기에 앞서 필요한 몇가지 개념을 간단히 알아보자. 생소한 단어가 나올지도 모르겠지만 차근차근히 읽고, 통신을 하는 동안 몇차례 실패하더라도 다시 시도해 ... ...
노화보다는 질병이 뇌기능 퇴화 가져와 몸은 늙어도 두뇌는 젊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것이다."노화현상과 뇌기능 저하의 상관관계는 실제 사실보다는 그간 전해내려온 속설에
기초
하고 있다. 실제로 노화현상에 대해 연구하며 특별한 질병이 없는 상태의 뇌를 관찰해보면 나이를 먹는 것 그 자체로 인식이나 지적인 활동의 기능이 떨어지거나 손실된다고 믿을 이유가 하나도 없다는 ... ...
'볼보'를 만드는 끈기와 정확성의 과학전통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때문이다.그 당시 국내에는 지진학을 전공한 전문가가 없었으므로 응용에 선행돼야 할
기초
연구가 되어있지 않았고 기본적인 자료수집도 안된 상태에서 예정된 원자력 발전소 건설계획에 참여하게된 내 느낌은 암담한 것이었다. 급증하는 전력수요에 맞추어 정부에서는 계속적인 ... ...
왜 밤하늘은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어떻게 우리가 그 별들아닌 암흑의 하늘을 볼 수 있는 것일까 궁금해 했던 것이다.20세
기초
에 많은 은하계들은 먼지 구름으로 차서 일반적으로 우주는 이곳저곳에 엷은 먼지층을 내포하고 있음이 발견됐다. 이 먼지는 빛을 매우 잘 흡수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바로 그 먼지가 새까만 하늘의 ... ...
1 PC서브·케텔·인포서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교사들이 먼저 PC통신을 배우고 동료들에게 확산시키려는 요즘의 활동도 이러한 꿈의
기초
작업인 듯했다.의료단체 통신선구자 「건치회」 조광제씨 "의료창구에서도 통신을 활용하고 싶지만 아직은 「희망사항」"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약칭 건치회)는 코리아 네트의 '인포서브'를 통해 회원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이론과 기술을 연구하는 도시공학은 19세기 교통수단의 발전과 더불어 토목 공학에
기초
하여 체계화됐다. 각종 건축자재의 강도 휨정도 탄성 등 재료 특성을 연구하는 재료공학은 18세기 프랑스 공병학교에서 연구되기 시작하여 에콜 폴리테크니크의 설립과 함께 크게 성장하게 된다.산업혁명 이후 ... ...
4. 1백년 후엔 해안선이 20㎞ 후퇴할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기술이 그 대응책을 마련해 주게 된다는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할 것이다. 해양개발의
기초
자료 「종합해양관측망」해마다 여름철이면 태풍이라는 반갑지않은 손님이 찾아와 적잖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입히곤 한다. 그러나 기상예보는 기압분포와 경험에만 의존해 '서해 먼바다 파고 2~5m' 등 허술한 ... ...
첨단장비로 범죄와 싸운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죽은 자의 진실을 밝히는 열쇠가 돼 정확한 사인을 밝혀준다.검시는 사망자에 대한
기초
자료를 토대로 외표검사만 행하는 '검안(檢眼)'과 직접 사체 내부의 장기를 조사하는 '부검'(剖檢)으로 나뉜다. 사인판명과 함께 피살자가 언제 죽었는지를 밝혀내는 일은 용의자의 알리바이와 밀접한 관계가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