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반
기본
토대
근본
근거
터전
밑바탕
d라이브러리
"
기초
"(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성 표면 모습 드러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인 금성이 점차 신비의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사진은 마젤란이 최근에 송신한 데이터를
기초
로 해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작성한 금성표면의 모습이다. 표면은 50℃가 넘는 고온에 기복이 매우 심한 모습을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마젤란은 1989년 5월4일에 우주왕복선 어틀랜티스에 실려 ... ...
지역주민 과학교실 되는 국립중앙과학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10일간 진행되는 이 강의는 MS-DOS와 워드프로세서 GW-BASIC 등 컴퓨터를 운용할 수 있는
기초
를 가르친다. 그간 컴퓨터를 이해하지 못해 자녀들과의 대화에 소외감을 느꼈던 어머니들이 특히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 방학 중엔 학생들의 수강신청도 줄을 잇는다.국립중앙과학관 ... ...
타국 땅에서 그려 보는 조국의 밤하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강력한 준항성(Quasar)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민족과학 생각해야한 나라의 전반적인
기초
과학 수준은 역설적이지만 사실상 군사와 산업으로 연관되는 거대한 경제와 정치적 조직 내에서의 상관관계 안에서만 제대로 이해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선진국의 군산복합체에서 마땅히 지적돼야 ... ...
초정밀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항상 재현이 가능하며 변하지 않는 자연현상 중에서 그 길이가 매우 일정한 빛의 파장을
기초
로 미터를 다시 정의하게 됐다. 즉 당시에 파장의 일정함이 가장 우수한 빛으로 알려진 크립톤(Kr-86)램프에서 나오는 빛의 파장의 1650763.73배를 1미터로 정의한 것이다. 이것을 사용하면 그 오차가 1m를 ... ...
2. 공간이동이 자유롭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1백만원대 혹은 50만원대 AT급 노트북의 출현도 멀지 않으리라 보여진다.컴퓨터의 크
기초
창기의 컴퓨터는 큰 방 하나를 전부 차지했다. 그래서 전산실이라는 말이 생겨났고 컴퓨터를 이용한 모든 작업은 그속에서만 가능했다. 그후 CPU나 기억장치들은 전산실에 남겨두고 터미널만 다른 방으로 뽑아 ... ...
뉴미디어 제조공장MIT 미디어연구소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대학연구소에서는 교수를 중심으로 모든 연구활동이 이뤄지는데 교수의 본분은 강의와
기초
연구이지 상품개발이 아니기 때문이다.이에 대해 미디어연구소는 이렇게 말한다. '우리는 아이디어를 파는 것이지 상품을 파는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 기업은 투자한 돈에 대응하는 연구결과만을 ... ...
풀어쓰는 컴퓨터 역사③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무게 30t, 사용된 진공관 1만7천개, 직선의 길이 1백30㎞였던 매머드 기계 '에니악'은 당시로서는 놀랄만한 계산속도를 자랑했다.'U보트를 격침시 ... 일보를 내딛었다. 세계최초로 인류를 달까지 실어보낸 아폴로 우주선에서 사용한 운항항로표의
기초
가 된 천체표는 이미 SSEC가 만든 것이었다 ... ...
지구밖 생명체 연구와도 관련 또다른 태양계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요약할 수 있다. 성운설은 18세기 후반 칸트(Immanuel Kant)와 라플라스(Pierre Simmon Laplace)설에
기초
한다. 그들은 가스와 먼지가 응축돼 태양과 행성들이 만들어졌다고 주장했다. 이 이후 성운설은 현재까지 여러학자들의 의견이 덧붙여지면서 점점 세련돼 왔다. 그러나 그 본질은 18세기 성운설과 크게 ... ...
3. 경계선 모호해진 과학과 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반도체 초전도 등 물리이론을 산업에 응용하려는 응용연구가 최근 활발하다. 이에 따라
기초
과학을 전공한 물리학자들도 산업현장에서 곧바로 쓰이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동원된다. 한편 전자공학의 경우 전자제품들을 직접 생산하는 생산기술 뿐아니라 제어이론 물성이론 통신공학 등 이론적인 ... ...
농사를 돕는 흰개미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만드는데 둔덕 사이의 고랑은 우기(雨期)에 빗물이 빠져나가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의
기초
조사에 따르면 사탕수수는 둔덕도 고랑도 아닌 그 중간쯤의 위치에서 가장 잘 자란다. 따라서 이 흰개미들이 만들어 놓은 둔덕 중간쯤이 사탕수수가 자라기에 가장 적당한 장소가 되는 것이다 ... ...
이전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