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에어로졸 형태로 병원체를 분사하는 방법이 가장 유력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필립 연구원은 “북한은 다방면에서 생화학 무기와 관련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생물 무기 생산 설비뿐만 아니라 생물 무기 생산 기술도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생물 무기를 만들기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가 각각 20분씩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질의응답을 진행한 뒤 PI별 인터뷰가 진행된다. 이 연구원은 “개별 인터뷰는 자신의 연구 성과를 어필하고, 연구실의 애로사항을 가감 없이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 현장 평가에서 BSC 위원들이 토론을 거쳐 점수를 투표해 도출한 평균값이 2차 ... ...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모아서…(웃음). 박사과정 지도교수이신 하승열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님과 박사후연구원 당시 멘토였던 호세 카리요 영국 UCL 수학과 교수님을 닮고 싶어요. 특히 하승열 교수님의 열정과 연구를 잘 설명하는 능력, 호세 카리요 교수님의 사교성을요. 어떻게 하면 수학을 잘할 수 있을까요 ... ...
- Intro. 소라게, 내집 마련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안녕~, 난 일본 오키나와에 사는 블루베리소라게야. 아름다운 해변에 사는 노숙자 신세지. 무슨 말이냐고? 잘 봐. 난 인간이 버린 플라스틱 뚜껑에 살고 있어. 번듯한 고둥껍데기 집을 구하지 못해 쓰레기 집에 살게 됐지. 내집 마련이 어려운 소라게들의 사연, 한번 들어볼래?* 소라게, 너의 이름은? ... ...
- Part 1. 플라스틱 소라게가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치약 뚜껑, 병 뚜껑, 세제 뚜껑은 물론 깨진 유리컵과 플라스틱 숟가락, 전구 소켓까지…! 우리 소라게들이 집으로 삼고 있는 다양한 해양 쓰레기 목록이야. 우린 몸을 보호하기 위해 어디든 들어가 살지. 집게 뒤에 숨겨진 연약한 배를 보호하라!소라게를 보면 집 밖으로 빼꼼 내민 두 개의 눈과 단 ... ...
- [과학뉴스] 발암물질 석면, 안전하게 폐기 가능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나오는 옥살산마그네슘을 재처리하면 마그네슘을 얻을 수 있어 일석이조다. 조 선임연구원은 “우리나라보다 석면 배출물이 수십 배 많은 일본 등 해외에서도 활용 가치가 높은 기술”이라며 “석면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3390/min708014 ... ...
- [과학뉴스] 아토피 피부염이 스트레스 늘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또 스트레스 호르몬을 투여한 쥐에게서 아토피 피부염이 나타난 것도 확인했다. 박 선임연구원은 “아토피 피부염이 정신적 스트레스를 유발해 질환을 더욱 악화시킨다는 근거를 확인했다”며 “특히 아토피 피부염과 수면 장애의 관계를 규명해 아토피 피부염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 ...
- [과학뉴스] 지진 규모 예측할 단서 찾았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있다는 뜻이다. 이번 연구에서 맨-앤드린 메이어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지진연구소 연구원팀은 100개 이상의 지진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에너지가 방출되는 속도를 토대로 향후 일어날 지진의 최소 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가령 지진이 점점 커지는 단계에서 이미 모멘트 규모 7.2에 ...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따른 백두산의 지질 구조 변화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이윤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지진이 마그마를 흔들 수 있는지는 마그마방의 형태와 크기, 마그마의 점성 등과 관련돼 있는데, 백두산 마그마방과 마그마의 물성에 대해서는 제대로 밝혀진 게 없다”며 “백두산 마그마방 ... ...
- [Issue] 미역국 먹으면 대학 떨어진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뇌의 대뇌피질 구조와 관련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니콜라스 파루지아 영국 런던대 연구원팀이 성인 44명을 대상으로 귀 벌레 현상과 뇌의 피질 두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귀 벌레 현상을 자주 느끼는 사람은 우측 전두엽과 측두엽의 피질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더 얇았습니다. 이 ... ...
이전2712722732742752762772782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