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히트 비전은 가상의 빔(beam)이지만 빛으로 에너지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레이저 무기와 유사하다. 레이저 무기는 높은 에너지의 빔을 쪼여 목표물을 녹이거나 증발시킨다. 레이저 무기는 요격 속도가 빛의 속도(초속 30만km)로 매우 빠르다. 차세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보다 5만 배 빠른 속도다. 운용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보고까지 이어졌다. 이 후속 관측에서 한국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서울대와 한국천문연구원 팀이 공동으로 칠레-호주-남아프리카공화국에 설치한 망원경 네트워크인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과, 호주의 이상각 망원경(서울대 천문학과 교수를 역임한 이상각 교수가 기증해 2014년 10월 호주에 ... ...
- [Career] 우리만 가졌다 차세대 전극 제조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대학원에 입학한 뒤 나노선과 그래핀을 붙들고 5년 동안 씨름한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원은 “연구를 시작할 당시 그래핀 박막을 제대로 만들지 못해서 3~4개월 동안 실험에 실험을 거듭한 기억이 생생하다”고 말했다. 그래핀을 만든 뒤에는 거미줄처럼 얽히고 설킨 은나노선 그물을 만들어 ... ...
- Part 2. 변신 로봇 등장?!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있기 때문에 로봇의 팔에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무궁무진해요. 연구를 이끈 크리스 유 연구원은 이메일 인터뷰에서 “이 알고리즘을 이용한 로봇팔은 이동할 때는 작게 만들었다가 필요할 때는 길게 뽑아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애물을 피하기 위해 길이를 줄이는 일도 가능하다”며, ... ...
- Part 3. 소라게, 인공집은 과연 필요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왜 이렇게 소라게들이 살 집이 부족해진 걸까? 예전에는 안락한 고둥껍데기들이 참 많았는데…. 일본에사는 소라게들만 이렇게 살 집이 부족해진 걸까? 한국의 소라게들아! 너희들도 집이 부족하니?해양 산성화로 인해 고둥껍데기가 사라진다!바닷물의 산도는 아주 오랫동안 pH 8.1~8.2 사이로 일정하 ... ...
- [Focus News] 초강력 태양폭풍 지구 강타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모델은 천문연이 자체 개발해 쓰고 있다. 현재 태양폭풍 예측 정확도는 70% 정도. 김 선임연구원은 “이 모델을 이용해 9월 8일 발생한 태양폭풍 세기를 3일 먼저 거의 정확하게 예측했다”고 밝혔다. 천문연은 2021년 국제우주정거장에 설치할 코로나그래프를 NASA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 ...
- [Future] ‘부정맥 모음곡’으로 부정맥 조기 진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Ashwin Krishna), 대니얼 소베라네스(Daniel Soberanes), 매튜 이바라(Matthew Ybarra), 이렇게 세 연구원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우리는 부정맥 환자의 심전도 데이터를 모으고, 컴퓨터를 이용해 이 데이터에 있는 심박을 추출한 뒤 박자에 따라 음표를 그렸습니다. 그런 다음 부정맥이 나타나는 부분의 리듬을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업적이 누적된, 소위 한 분야의 ‘대가’인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다. 염한웅 기초과학 연구원(IBS)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장(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은 “노벨상은 업적이 나오고 평균 15년 정도 지난 뒤에 수여한다”며 “어떤 연구가 원숙한 뒤에야 그 연구 아이디어의 단초를 ... ...
- [수학뉴스] 오각형 테셀레이션 하는 방법은 오직 15가지!수학동아 l2017년 11호
-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몇 가지가 가능할까요? 최근 미카엘 라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 연구원은 그 방법이 15가지뿐이라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라오 박사는 4가지 조건 아래 볼록 오각형이 평면 위에서 빈틈없이 맞닿는 모든 경우의 수를 조사했습니다. 4가지 조건은 모든 내각의 합은 540°일 것, ... ...
- Intro. 가볍게, 튼튼하게, 유연하게 기하학으로 만드는 로봇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영화나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하는 사람이 올라타 조종하는 대로 움직이는 거대한 로봇을 두 눈으로 보게 될 날이 올까요? 상상 속의 이야기만은 아니에요. 실제로 거대로봇이 하나둘 등장하고 있지요. 이뿐만이 아니에요.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신개념 로봇이 많이 생기고 있어요. 중요한건 이 ... ...
이전2722732742752762772782792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