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소라게야, 새집 줄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우리도 쓰레기 집에 살고 싶어서 사는 건 아냐. 우릴 안전하게 지켜 줄 깨끗한 고둥껍데기가 부족해서어쩔 수 없이 살게 된 거지. 어? 그런데 해변에 못 보던 예쁜 초록색 집이 있네? 누가 갖다 놓은 걸까?몸에도 잘 맞을 것 같은데…. 어디 한번 이사해 볼까?일본의 소라게 주택 마련 프로젝트일본의 ... ...
- [과학뉴스] 지진 규모 예측할 단서 찾았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있다는 뜻이다. 이번 연구에서 맨-앤드린 메이어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지진연구소 연구원팀은 100개 이상의 지진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에너지가 방출되는 속도를 토대로 향후 일어날 지진의 최소 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가령 지진이 점점 커지는 단계에서 이미 모멘트 규모 7.2에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여기서 발생하는 계산의 한계는 디지털 회로를 이용해 극복했다”고 밝혔다. 김 선임연구원은 “극저온이라는 제약이 있고, 양자 알고리듬 연구가 부족해 일반 산업체에서 쓰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49큐비트의 제어가 가능하다면 지금까지 개발된 양자컴퓨터와는 ... ...
- [Future] ‘부정맥 모음곡’으로 부정맥 조기 진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Ashwin Krishna), 대니얼 소베라네스(Daniel Soberanes), 매튜 이바라(Matthew Ybarra), 이렇게 세 연구원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우리는 부정맥 환자의 심전도 데이터를 모으고, 컴퓨터를 이용해 이 데이터에 있는 심박을 추출한 뒤 박자에 따라 음표를 그렸습니다. 그런 다음 부정맥이 나타나는 부분의 리듬을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업적이 누적된, 소위 한 분야의 ‘대가’인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다. 염한웅 기초과학 연구원(IBS)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장(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은 “노벨상은 업적이 나오고 평균 15년 정도 지난 뒤에 수여한다”며 “어떤 연구가 원숙한 뒤에야 그 연구 아이디어의 단초를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마고의 최후?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아이들의 음식에 약을 타는 장면이 CCTV에 찍혔어.”“저, 전부 설명할 수 있….”그때 연구원 중 한 명이 외치는 소리가 들렸다.“됐다! 마고가 돌아왔어!”그리고 동시에 마고의 목소리가 울려 퍼졌다.“그 아이는 죄가 없습니다!” - 다음 호에 ... ...
- [Focus News] 초강력 태양폭풍 지구 강타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모델은 천문연이 자체 개발해 쓰고 있다. 현재 태양폭풍 예측 정확도는 70% 정도. 김 선임연구원은 “이 모델을 이용해 9월 8일 발생한 태양폭풍 세기를 3일 먼저 거의 정확하게 예측했다”고 밝혔다. 천문연은 2021년 국제우주정거장에 설치할 코로나그래프를 NASA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 연구팀은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미국 오리건보건과학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캐스9(CRSPRCas9)’으로 인간 배아에서 심장 질환을 야기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교정하는 데 성공했다. 이 내용은 올해 8월 2일 과학학술지 ‘네이처’ ... ...
- Part 4. 아쿠아 맨의 삼지창 초속 100m 초공동 어뢰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수중 무기를 개발할 때 일반적으로 가장 신경 써야 할 부분은 소음이다. 육지와 달리 물의 마찰로 저항력이 생기고, 이로 인해 소음이 발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소음은 물속에서 나의 위치를 알리는 가장 확실한 방법 중 하나다. 따라서 소음을 얼마나 잘 숨기는가, 또 얼마나 잘 찾아내는가가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있으면서 생체시계 유전자 중 하나인 ‘클락(clock )’을 처음으로 발견한, 필자의 박사후연구원 지도교수였던 라비 알라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는 로스배시 교수에 대해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때로 엉뚱하고 말도 안 되는 모델을 세우고, 많은 경우, 어쩌면 대부분의 경우 틀리지만, 끊임없이 ... ...
이전2732742752762772782792802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