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음 대청소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혈구 수와 면역글로불린 수치, 백혈구의 일종으로 종양세포를 파괴하는 NK세포의 수 등을
측정
했다.그 결과 대부분의 환자에서 기공 수련을 한 뒤 각종 면역글로불린 수치가 증가했다. 감소했던 백혈구의 수치는 증가했고, 항원이 침입하면 그 즉시 항체를 만드는 B림프구의 활동을 나타내는 CD20과, ... ...
대기는 4층 아파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9호
광주에서 라디오존데를 띄우고, 특별히 포항에서는 오존존데를 띄워 성층권의 오존량을
측정
한다. 주변에 사는 친구들은 견학 신청을 하고 기상청을 찾아보자. 헬륨가스를 다루는 것이 위험하므로 조금 떨어져서 구경해야겠 지만 라디오존데를 직접 볼 수 있다 ... ...
공항 보안검색 책임지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차, 또는 변동을 간섭무늬의 위치의 변동에 따라 정밀하게
측정
하여 기체의 굴절률 등을
측정
하는 장치 간섭계를 이용하는 분광기 보통은 다광선간섭계를 가리키지만 2광선간섭계도 많이 이용되며 마이켈슨간섭계의 두 반사거울을 두 회절발로 바꾸는 방법이지만 푸리에분광법 등이 이용된다 ... ...
2. 사람의 순간이동 정말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양자원격전송이 이뤄진다. A지점에서 양자비트 x와 a에 대해 ‘벨
측정
’을 한다. 이
측정
에서 얻은 2비트의 고전정보(디지털정보)를 B지점으로 전송한다. B지점에서 이 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히 양자 조작하면 원래의 양자비트 x를 복원해낼 수 있다. 양자비트 x가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원격 이동한 ... ...
2007년 부활하는 화성생명체 탐사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쓰이는 방사성 동위원소인 탄소14를 토양에 넣은 뒤 생명체가 흡수한 이후 잔류 방사선을
측정
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에임즈연구센터 밴스 오야마 박사가 제작한 가스교환 실험장비로 토양에 영양액과 함께 헬륨, 크립톤 같은 가스를 넣어 생명체가 먹고 호흡하는 것을 가스변화로 관찰한다. ... ...
히파르쿠스와 브래들리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19년마다 제자리로 돌아온다.광행차와 장동. 이 두 현상은 별의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
하려는 브래들리의 노력에서 나온 성과였다. 그것도 한순간의 노력이 아니라 무려 20년에 걸친 집념의 결과였다.시차 : 떨어진 두 지점에서 한 물체(천체)를 관측할 때 보이는 위치가 배경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하는 ... ...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중력 이야기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크기가 이보다 더 작아야 한다는 조건이 나왔다. 현재도 부가차원의 크기와 차원 수를
측정
하는 중력 실험이 진행되고 있으며 내년부터 스위스 제네바에서 가동될 ‘거대 강입자 가속기’(LHC)에서도 부가차원이 있는 경우 등장하는 새로운 입자들을 직접 만들어서 그 성질을 연구할 예정이다.만일 ... ...
움직이는 3차원 홀로그램 만든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한다.광굴절 물질에 빛을 쪼였을 때 절연체이던 물질에서 만들어지는 공간 전하장을
측정
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고, 홀로그램을 기록하고 재생하는 실험에서도 세계 어느 연구팀보다 선명하고 사실적인 영상을 얻었다.광굴절 재료의 효용은 무궁무진하다. 3차원 디스플레이 외에도 광굴절 ... ...
고흐 그림에 유체역학 숨어있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분석하기 위해 임의의 거리(D)만큼 떨어져 있는 두 점의 밝기가 같을 확률을 수학적으로
측정
했다. 그 결과 두 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D가 커질수록) 두 점의 밝기가 같을 확률이 감소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두 점의 밝기가 같을 확률은 두 점 사이 거리(D)의 거듭제곱으로 줄어들었다. 이것은 ... ...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만들고 다른 배에서는 이 불꽃을 보는 순간부터 종소리가 들리는 순간까지의 시간을
측정
했다. 비록 원시적인 실험방법이었으나, 이때 계산한 음속 1435m/s는 지금 사용하는 평균음속 1450m/s와 차이가 거의 없다.이 실험 이후 수중 음파에 대한 관심은 유지되지 못했다. 그러다가 1912년 타이타닉호가 ... ...
이전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