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日 독도 수로측량 계획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수심이 아닌 지층을 파악해야 하므로 더 강한 음파를 사용한다.그밖에도 중력의 변화를
측정
하는 중력계와 지구의 자력을 관측하는 장비인 자력계 등을 사용한다. 중력계와 자력계는 해저광물과 석유 탐사에 이용된다. 관측된 데이터는 입체영상 프로그램을 통해 영상지도를 만들 수 있다.일본 ... ...
우리 서로 조.용.히. 살아요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어린이들이 의자에서 뛰어내릴 때 나는 소리를 기준으로 중량 표준충격원을 만들어
측정
한다.지난해 경량충격음 허용 기준은 가장 낮은 4등급이 58데시벨(dB), 중량충격음 기준은 사람이 대화하는 정도인 50데시벨이다. 가벼운 물체가 바닥을 치며 나는 소리가 더 큰 소음을 만들때도 있기 때문이다. ... ...
군대는 아무나 가나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이하의 처벌을 받는다.신체검사장에서 면제 판정을 받기 위한 가장 흔한 ‘꼼수’는 시력
측정
표에 있는 글자가 안 보인다고 우기는 경우다. 오른손잡이는 시력이 오른쪽 눈 0.4 미만 또는 왼쪽 눈 0.2 미만(왼손잡이는 그 반대)이면 면제인 5급 판정을 받는다. 그러나 시력장애는 최대 교정시력이 ... ...
에이즈 예방 치료약 개발중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현수식(懸垂式) 천정의(天頂儀)의 창안, 핼리혜성의 관측, 별의 시선속도(視線速度)를
측정
하기 위한 특수한 대물 프리즘의 창안 등이다 이것을 슈바르츠의 부등식, 혹은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이라고도 한다 전기장에 놓인 원자의 발광 스펙트럼이 여러 가닥으로 갈라져 새틀라이트선을 가지는 ... ...
특집4. 앳된 얼굴이 사랑받는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생물학자인 손힐은 손과 발의 폭에서 귀의 폭과 길이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특징들을
측정
해 각 사람의 전체적인 신체 대칭성 지수를 구했다. 그런 다음 피험자들에게 사진을 보여주며 누구에게 더 매력을 느끼는지 평가하게 했다. 그 결과 매력과 대칭성의 정도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
기획2. 컴퓨터 가르치며 내가 배운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활용하는지, 어떤 방식으로 가르치는지 등 활동별로 마우스를 움직이는 패턴이나 시간을
측정
해 개인의 특성을 알아낸다.또 코리는 학습자의 특성에 적합하게 반응하도록 프로그램 돼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의 지식 정도를 파악해 그 수준보다 약간 높은 도전적인 질문을 하고 가르치는 내용에 대해 ... ...
내 몸에 딱 맞는 입체음향 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귀까지의 거리, 소리의 진동수를
측정
하고 마네킹의 마이크에서 들리는 소리의 세기를
측정
한 뒤 ‘머리전달함수’를 계산했다. 같은 진동수의 소리라도 주파수마다 진폭과 시간차를 다르게 하면 앞에서 들리는 소리도 옆에서 들리는 소리로 바꿀 수 있다. 이것이 박 교수가 개발한 ‘3차원 ... ...
화성 궤도탐사선(MRO) 화성 궤도 진입 성공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원리 양자역학에서는 계의 상태를 가장 세밀하게 규정한 순수상태에서도 물리량을
측정
한 결과는 반드시 일정 값을 주지 않고 여러 가지 다른 값이 각기 정해진 확률로 계산된다 1685~1731 영국의 수학자 I 뉴튼의 직접 후계자 그는 이것을 미분방정식을 푸는 데 활용했으며, 현(弦)의 진동에 관한 ... ...
생명의 연결고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것이다.KRS는 유방암 등의 세포에서 대량 생성된다. 세포에서 분비되는 KRS의 농도를
측정
하면 암이나 면역 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표지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김 교수의 연구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에 주요논문으로 게재됐다.김 교수의 연구는 그가 택한 ‘네트워크’라는 단어처럼 ... ...
허리를 웃게 하자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존재한다는 주장이다. 눈으로 보이는 구조는 아니지만 여러 피부 부위의 전기저항을
측정
해 전기가 특히 잘 통하는 점들을 선으로 이으면 경락과 거의 일치한다고 한다.반면 경혈과 경락이 해부학적으로 실재한다는 주장도 있다. 1960년대 북한의 의학자 김봉한의 연구가 대표적이다. 김봉한은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