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2. 우주날씨예보가 나온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가운데 가장 정밀하다. 레이저를 쏘아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
함으로써 위성의 거리를
측정
하는 원리다. 현재 고도 200~3만6000km에 로켓 부품, 수명이 다한 위성체 등 우주 쓰레기가 가득하다. 아무리 작은 잔해라도 초속 7, 8km로 날아다녀 매우 위험하다. 이들을 추적하는 데 SLR이 유용할 전망이다.몇 ... ...
생명의 연결고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것이다.KRS는 유방암 등의 세포에서 대량 생성된다. 세포에서 분비되는 KRS의 농도를
측정
하면 암이나 면역 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표지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김 교수의 연구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에 주요논문으로 게재됐다.김 교수의 연구는 그가 택한 ‘네트워크’라는 단어처럼 ... ...
사람 냄새 풍기는 디지털 액터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활용하는 기법을 많이 쓴다. 실제 인간의 모습과 디지털 액터의 모습이 많이 다르더라도
측정
데이터가 자연스럽게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 이 기술의 핵심이다. 대부분의 디지털 액터는 부분적으로라도 이런 방식을 활용한다. 골룸이나 킹콩은 몸에 60여개, 얼굴에는 130여개의 마커(Marker)를 ... ...
파푸아에서 '에덴' 발견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전파천문 부분 연구원이 되었다A A 펜지아스와 함께 공중에서의 전파잡음을
측정
하다가 3K의 우주배경복사를 발견했다1978년 펜지아스, 저온물리학에 업적을 올린 P L 카피차와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수상했다 현재의 컴퓨터를 발전시켜 궁극적으로 인간과 같은 기능을 가진 기계를 만들려는 학문 ... ...
기획5. 깊은 바닷속은 잔잔하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겹의 띠가 생긴다. 주름처럼 말이다. 따라서 인공위성에서 수면의 거칠기를 정밀하게
측정
한 데이터를 분석해도 내부파를 찾아낼 수 있다.이같은 방법으로 연구팀은 동해에 높이가 15m에 달하는 내부파가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6층짜리 아파트만한 높이다. 김 교수는 “동해 내부파는 한반도 쪽으로 ... ...
IT꿈나무, ★나라행 티켓을 따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자바(JAVA), SOA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와 정보기술 체계와 관련된 전문분야의 기초지식을
측정
하는 퀴즈 대회다. 허 씨를 포함한 4명의 대상 수상자들은 오는 2007년 민간우주선 ‘스페이스십원’을 타고 대기권 밖을 비행하게 된다.불과 몇 달 전만 해도 허 씨는 IT 전문가의 꿈을 키우던 평범한 ... ...
올림픽 선수를 돕다가 생긴 일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얇은 물층을 만든다. 연구팀은 솔이 어떻게 움직이고 얼마나 강하게 얼음을 문지르는지
측정
하는 장치를 만들었다. 이 장치는 선수들이 그들의 동작을 정확하게 훈련하는데 도움이 됐다.블랙포드 교수팀은 한 발 더 나아갔다.얼음이 녹는 과정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다. 연구팀은 얼음이 녹는 ... ...
미지근한(?) 암흑물질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암흑물질이 차갑다는 종래의 이론을 뒤집는 획기적인 발견”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측정
한 온도를 이용해 암흑물질이 윔프(WIMP)로 이뤄져 있으며 이것이 초속 9km로 움직이고 있다는 사실을 추가로 밝혀냈다. 윔프는 주변물질과 거의 반응하지 않는 물질이란 의미의 가상 입자다 ... ...
줄어드는 북극해의 얼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의해 상당히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생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반응 등 생리활동을
측정
하고 그 활동을 이해하기 쉬운 정보(情報)로 변환시켜 생체에 전달하는 조작 혈압 · 심장박동 · 피부온도 · 근긴장(筋緊張) 등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는 생리활동이나 뇌파(腦波)는 큰 변화를 제외하고는 ... ...
기획4. 손가락 사이로 물 새듯 관리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한반도 전체를 감시하는 인공위성에서 관측한 숲의 영상데이터를 지상에서 실제로
측정
한 데이터와 비교분석해서 증발산을 비롯한 물 순환 정보를 만들어내려고 한다. 이는 마치 퍼즐을 맞추는 것과 같다. 물 순환 퍼즐은 2차원이 아니라 시간을 포함한 4차원 퍼즐인 셈이다.머지않아 일기예보에서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