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3. 태권V 10대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미세전자기계시스템 (MEMS)을 이용한 3차원 가속도 센서가 적합할 것이다. 3차원 가속도를
측정
하여 적분하면 시간에 따른 속도와 위치의 변화를 알 수 있어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물체를 집거나 뛰기 위해서는 물체 표면이나 바닥의 미끄러움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 ...
기획2. 오늘 마신 물은 어제 내린 비?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대기의 프레온가스 농도가 계속 증가했다. 따라서 지하수의 프레온가스 농도를
측정
하고 대기의 프레온가스가 언제 같은 값을 기록했는지 비교해보면 물이 땅속으로 스며든 시기를 알 수 있다. 최근 필자의 연구팀은 이와 같은 방법들로 제주도 지하수의 나이를 조사했다.제주도 지표 부근 ... ...
24년 터울 커플, 허긴스와 마거릿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항성에 적용하면 항성의 성분 또한 알아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분광
측정
을 천문 분야에 적용할 생각을 해낸 것은 놀랍게도 오직 그 뿐이었다. 그가 아마추어 관측자였기 때문에 새로운 발상을 할 수 있었던 게 아닐까.허긴스는 스스로 분광기를 만들어 천체망원경에 부착하고 ... ...
올림픽 선수를 돕다가 생긴 일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얇은 물층을 만든다. 연구팀은 솔이 어떻게 움직이고 얼마나 강하게 얼음을 문지르는지
측정
하는 장치를 만들었다. 이 장치는 선수들이 그들의 동작을 정확하게 훈련하는데 도움이 됐다.블랙포드 교수팀은 한 발 더 나아갔다.얼음이 녹는 과정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다. 연구팀은 얼음이 녹는 ... ...
기획3. 산성비 맞으면 대머리 된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빗물이 더럽다는 건 편견이다.한 교수팀은 땅에 떨어지기 직전의 빗물을 모아 pH를
측정
해봤다. 5.6이다. 사람들이 가장 해롭다고 생각하는 막 내리기 시작한 빗물은 pH4 내외였다.“샴푸는 pH가 3.5, 요구르트는 3.4, 오렌지주스는 3.0, 콜라는 2.5 정도에요. 일본의 어떤 온천물은 pH가 2.9나 되죠. 일상에서 ... ...
기획5. 깊은 바닷속은 잔잔하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겹의 띠가 생긴다. 주름처럼 말이다. 따라서 인공위성에서 수면의 거칠기를 정밀하게
측정
한 데이터를 분석해도 내부파를 찾아낼 수 있다.이같은 방법으로 연구팀은 동해에 높이가 15m에 달하는 내부파가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6층짜리 아파트만한 높이다. 김 교수는 “동해 내부파는 한반도 쪽으로 ... ...
별의 비밀 알려주는 노래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번갈아 이용하며 24시간 내내 별을 관측했다. 이들은 별빛의 파장이 달라지는 것을
측정
해 별 내부를 관통하는 음파의 주파수를 알아냈다. 샘플은 동아사이언스 홈페이지에서 들을 수 있다 ... ...
전자잉크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하면 무한 묽힘 때의 당량전기전도도에 근사적으로 가까워지므로 적당한 방법으로 그
측정
값을 얻을 수 있다부신피질(副腎皮質)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호르몬 중 당질대사(唐質代謝)에 관여하고, 간글리코겐의 저장이나 단백질 · 지질(脂質)의 당질 생성작용을 촉진하는 화합물의 무리 행렬 또는 ... ...
분자의 과속은 무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년이었다.단분자인 요오드화나트륨(NaI)이 나트륨(Na)과 요오드(I)로 분해되는 반응 시간을
측정
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요오드화나트륨이 분해되는 과정은 아주 간단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이온결합상태(Na+와 I-)와 중성원자인 공유결합상태(Na와 I)가 섞여 있어 매우 복잡하다.김 교수는 국내에서 ... ...
술집에 간 남과 여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같은 양의 알코올을 암컷과 수컷 쥐에 주사한 뒤 엎드렸다 네 발로 벌떡 일어나는 시간을
측정
했다. 실험 결과 암컷이 수컷보다 더 빨리 일어났다. 그러나 발정기가 시작돼 호르몬 수치가 가장 높이 올라간 암컷은 평소보다 일어나는 속도가 10%나 느려졌다.하버드대 의대 마리사 실버리 교수는 ... ...
이전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