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오른 19인의 과학도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조선시대 인쇄술의 결정체인 금속활자‘갑인자’를 개발하였으며 각종 천문기구, 악기,
측정
기계 등의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우리 역사 최고의 과학자 장영실(?〜?)명실상부한 우리나라 최고의 과학기술가. 이천과 함께 세종대왕 때의 과학 발전을 이끌었다. 일일이 꼽기 힘들 정도로 많은 ... ...
고흐 그림에 유체역학 숨어있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분석하기 위해 임의의 거리(D)만큼 떨어져 있는 두 점의 밝기가 같을 확률을 수학적으로
측정
했다. 그 결과 두 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D가 커질수록) 두 점의 밝기가 같을 확률이 감소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두 점의 밝기가 같을 확률은 두 점 사이 거리(D)의 거듭제곱으로 줄어들었다. 이것은 ... ...
저항 비켜! 초전도가 뜬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속도가 100배 이상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이 교수는 인체의 미세한 자기장을
측정
해 심장마비 여부를 즉시 알아낼 수 있는 휴대용 진단장비를 개발하는데 관심이 많다. 그는 “현재 심장마비를 제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며 “휴대용 심장진단장비가 개발되면 인류의 삶에 큰 영향을 줄 ... ...
자연에 숨어있는 수학의 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부르는 톱니 모양의 아주 복잡한 굴곡을 이룬다.그렇다면 우리나라 남해안의 길이를
측정
할 수 있을까? 우리나라 전체가 보이는 큰 규모의 지도에서는 가능하다. 그러나 더 크게 확대된 지도에서는 아마 처음만큼 쉽지는 않을 것이다. 너무 작아서 첫 번째 지도에는 표시되지 않았던 수많은 만과 ... ...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만들고 다른 배에서는 이 불꽃을 보는 순간부터 종소리가 들리는 순간까지의 시간을
측정
했다. 비록 원시적인 실험방법이었으나, 이때 계산한 음속 1435m/s는 지금 사용하는 평균음속 1450m/s와 차이가 거의 없다.이 실험 이후 수중 음파에 대한 관심은 유지되지 못했다. 그러다가 1912년 타이타닉호가 ... ...
'에너지 보존법칙'쉬운 길로 가보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붕괴한다($n→p+{e}^{-}+{v}^{-}$). 그러나 중성미자는 질량도 없고, 발견하기 어려워서
측정
하지 못했다. 따라서 중성자의 에너지와 붕괴된 후의 양성자와 전자의 에너지 합은 같지 않았다. 따라서 중성자 붕괴에서는 에너지가 보존되지 않는다고 물리학자들 사이에 논란이 많았다.1931년 파울리는 ... ...
세계의 멸종 위기 고래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지구가 지니는 자기를 지구자기 혹은 지자기라 한다 이 지자기는 어떤 한 지점에서
측정
하면 항상 조금씩 변화하는데 때로는 돌발적으로 두드러진 변동을 보이는 수도 있다 그 원인은 태양의 흑점 부근에 많이 발생하는 폭발현상 때문이다 이 현상을 자기폭풍이라 한다6백50℃ 이상의 고온에서도 ... ...
한국 최초의 우주실험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재고 싶은 물체를 동시에 가속시키면서 각 물체에 가해진 힘을 비교해 물체의 질량을
측정
한다. 이 기술은 현재 한국과 미국에 특허를 출원 중이다.이화여대 박일흥 교수는 고층대기에서 일어나는 미지의 극한현상을 관측할 수 있는 소형 반도체 망원경을, 한국천문연구원 진호 연구원은 ... ...
휴대전화는 디지털 블.랙.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500’(Universal Model 500)이었다. 드레이퍼스의 디자인팀은 8년간 2000여명의 얼굴을
측정
하고 점토와 석고로 모형을 만들어 실험했다. 이때 디자인팀이 그린 도면만 2500장에 달했다. 이들은 평범하지만 안전하고, 편안하면서도 효율적인 디자인을 추구했다.드레이퍼스는 전화기를 디자인하는데 세 가지 ... ...
하늘 그린 지도, 우주 담은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해시계와 물시계를 사용해 시간을
측정
하고 있었다. 그러나 날씨가 흐린 날은 시간을
측정
하지 못했고, 물시계는 시간이 지날수록 오차가 커졌다. 그래서 서양에서 들여온 새로운 기계시계를 활용했다.1631년 명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정두원이 자명종을 구해 왔다. 이때 전래된 자명종은 추시계를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