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특종 인공번개 쏴라~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빈 깡통을 쐈다. 깡통은 움츠러들면서 작아졌다. “내가 개발하고 있는 전자총이에요. 작은 인공번개를 쏘아 쓰레기를 녹이지요. 핫하하!”쿵쾅쿵쾅 쉴 새 없이 울려대는 새가슴을 쓸어내렸다. 인공번개는 여러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구나…. 앞으로는 인공번개가 아닌, 실제 번개로 전기에너지를 ... ...
- 캘리그래피에 담은 수학자의 명언 판곡중학교 김상미 선생님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소식이 들렸다. 김 선생님이 2015 서울국제도서전에서 작품을 전시하게 된 것이다. 비록 작은 공간이지만 김 선생님은 대중에게 작품을 선보이고 생각을 나눌 수 있게 됐다. 꾸준한 노력이 담긴 작품은 분명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것이다.시간에 중력을 만드는 캘리그래피김상미 선생님은 ‘물’ ... ...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그라운드 위에 수학을 펼쳐라! 2015 수학축구교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아주 일상적인 사건에서 출발하기도 해요. 그러니 여러분도 일상생활 속에서 만나는 작은 사건도 소중히 여기고, 혹시 숨어 있을지도 모르는 수학을 발견해 보세요.”다양한 수학 퀴즈를 통해 독자기자와 교감하던 박 교수는 축구 감독이 승리를 위해 전략을 세우듯 일상생활 속에서도 수학을 ...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또, 작은 인공섬을 여러 개 연결하는 방법도 연구하고 있어요. 한 덩어리로 만들 때보다 작은 섬을 여러 개 연결하면 파도에 따라 자연스럽게 출렁이거든요. 이렇게 인공섬을 만들어도 흔들리는 정도가 1°보다 작아서 안전해요. 따라서 건물이나 활주로를 만들어도 충분히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 ...
- 성곽 길 따라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7호
- 큰 가운데 구멍으로는 성벽 바로 아래까지 다가온 적을 맞출 수 있는 반면, 경사각이 작은 양쪽 구멍으로는 성벽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적을 맞출 수 있답니다. 그래서 가운데 구멍을 근총안, 양쪽 2개의 구멍을 원총안이라고 부릅니다.이쯤에서 두 총안의 각도가 궁금하지 않나요? 클리노미터★를 ... ...
- 시계 또는 반시계? 노인 또는 젊은 여인? 아리까리한 그림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작은 힘에도 와르르 무너지는 것처럼, 계속 남자 얼굴로 보이던 그림도 어느 순간 아주 작은 차이로 여인의 모습으로 보이는 것이다.지각성 모호성을 이용해 그림을 그리는 화가도 있다. 우스꽝스러운 콧수염으로 유명한 스페인 화가 살바도르 달리나, 채소로 초상화를 나타낸 이탈리아 화가 주세페 ...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첫 번째 암흑기를 맞았다.제2의 암흑기…지식 추출의 병목 현상이후 인공지능 연구는 작은 주제로 쪼개졌다. 인간의 일반적인 지능을 구현하기보다는 실용적인 목적으로 초점이 옮겨갔다. 특수하게 잘 정의된 문제를 푸는 능력은 순식간에 인공지능이 인간을 앞질렀다. 예컨대 IBM사의 체스 컴퓨터 ...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사례가 있었다. 사스 감염자의 배설물이 아파트의 오수 시스템을 오염시켰고, 이 오수의 작은 에어로졸이 아파트 각 층 욕실바닥의 하수구를 통해 빨려 들어와 아파트 주민을 집단으로 감염시킨 것이다. 이럴 가능성은 없을까. 천병철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가능성이 높진 않다’고 ... ...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마음에 들지 않기 때문이다. 교과서를 보자. 1 A는 ‘무한히 길고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작은 원형 단면적을 가진 두 개의 평행한 직선 도체가 진공 중에서 1미터의 간격으로 유지될 때 두 도체 사이에 매 미터당 2×10-7 뉴턴(N)의 힘이 생기게 하는 일정한 전류’라고 돼 있다(국제도량형총회 1948년 기준) ... ...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공기가 든 주사기의 한쪽 끝을 손가락으로 막고 피스톤을 밀어주면 공기가 새어나오지 않아도 주사기 속 공기의 부피(V)가 줄어든다. 이처럼 기체의 부피는 압력(P)이 커지면 줄어든다. 바로 보일의 법칙(P∝1/V)이다. 공기주머니에 불을 지피면, 온도(T)가 올라갈수록 부피도 늘어난다. 샤를의 법칙(V ... ...
이전2732742752762772782792802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