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스플레이(AMLCD)나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가 발달하면서 풀HD급 영상(1920x1080)을 1인치보다
작은
칩에 담을 수 있게 됐다.하지만 풀HD 해상도를 가진 현재의 HMD는 시야 각 1°에 들어가는 픽셀 수가 16개에 불과하다. 57개인 아이폰4에 비해 훨씬 적다. 그래서 눈 밝은 사람에겐 픽셀이 보인다. 왜 HMD ... ...
“스파이더맨이 제일 그리기 어려웠어요”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그러다 보니 얼굴을 그릴 때도
작은
근육까지 세세하게 묘사하려고 노력한다. 개미처럼
작은
앤트맨을 그릴 때는 크기 대비를 강조한다. 가령 지네와 싸울 때는 지네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그려 앤트맨을 더 왜소해 보이게 만든다.Q 가장 그리기 어려운 표지는? 아무래도 등장인물이 많은 ... ...
[과학뉴스] 세계 최고 해상도 양자점 LED 개발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이같은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양자점 LED는 지름이 10나노미터(nm는 10억분의 1m) 수준인
작은
반도체 결정을 이용해 빛을 내는 방식이다. 별도의 광원 없이 결정의 크기만 조절하면 스스로 원하는 색을 내 차세대 발광소자로 주목받고 있지만, 낮은 전압에서 성능이 떨어져 아직 상용화에 이르지는 ... ...
심성 꼬인 태양이 버럭 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알수록 모르는 게 늘어나는 건 인류의 숙명이다. 하지만 우주의 거대한 규모는 인류의
작은
두뇌로 단박에 이해하지 못하는 게 당연하다. 가장 가까운 별의 미스터리는 우리에게 겸손하라고 말해준다.대류층 - 태양을 이루는 물질이 대류한다전도층 - 태양의 내부 물질이 뜨겁고 밀도가 높게 ... ...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세요. 노벨상이 따라옵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차 있었다. "인생에서 가장 잊지 못할 순간이었죠. 세포가 물질을 전달할 때 사용하는
작은
주머니(운반 소낭)를 처음으로 발견한 거니까요." 노벨상과의 인연은 이렇게 시작됐다. 셰크먼 교수는 그때부터 30여년 동안 세포 내에서 운반 소낭을 수송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와 단백질을 대거 찾아냈다. ... ...
내 손은 동물농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보호활동을 많이 하시는 이유가 있나요? 동물을 사랑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일이에요.
작은
동물이라고 하더라도 지구 전체에는 아주 큰 영향을 미치거든요. 그들 중 하나라도 없어지면 하나밖에 없는 ‘집(지구)’이 망가져 버릴 거예요.Q 에도 주변에 있는 생물을 탐사하는 ... ...
엄마도 깜짝 놀란 채소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심는 방법으로 미니 채소를 만들 수도 있어요. 경남 농업기술원에서는 방울토마토만큼
작은
양파를 개발했어요. 보통 양파는 100~300g이지만, 미니 양파는 5~20g이에요. 빨리 자라는 조생종 양파를 보통 양파를 심을 때보다 더 촘촘하게 심어서 미니 양파를 만들었지요.경기도농업기술원 장석우 박사는 ... ...
아이돌 매니저의 스타 만들기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요즘 시대에 스타가 되려면 노래 실력은 물론 연기력도 갖춰야 한다고. 대박 영화에
작은
역할로라도 출연하면 좋을 텐데…. 가만, 어떤 영화가 흥행에 성공할까? 영화사 친구에게 듣자하니 입소문이 어떻게 나는지가 참 중요하다던데!영화가 흥행하기 위해서는 좋은 시나리오와 연출력, 배우의 ... ...
[참여] 반짝반짝 빛나는 신비한 광물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직업 덕분에 해외에 나갈 기회가 많았는데, 그때도 쉬는 날마다 돌을 구하러 다녔지요.
작은
꿈이 있다면 우리나라에서 관찰할 수 있는 광물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게 특성과 사진을 정리해 한 권의 책으로 만들고 싶어요. 그때까지 가장 아름다운 자연 중 하나인 광물을 사랑하렵니다 ...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쓰는 대표적인 합성수지인 ‘페트(PET)’ 로 만든 얇은 필름에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작은
센서를 붙여 만들었다.이 얇은 필름 센서의 두께는 2㎛에 불과해 대부분의 사물 표면에 붙일 수 있다. 특히 이 자기장 센서를 손바닥에 붙이고 다니면 몸 자체가 자기장을 감지하는 센서가 되기 때문에, 걷고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