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손은 동물농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보호활동을 많이 하시는 이유가 있나요? 동물을 사랑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일이에요.
작은
동물이라고 하더라도 지구 전체에는 아주 큰 영향을 미치거든요. 그들 중 하나라도 없어지면 하나밖에 없는 ‘집(지구)’이 망가져 버릴 거예요.Q 에도 주변에 있는 생물을 탐사하는 ... ...
[생활] 1000년의 역사 앙코르 와트 신화 속으로 떠난 신비한 숫자 여행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세어봅시다. 그러면 정사각형 모양의 각 단에는 모서리에 있는 네 개의 탑을 포함해
작은
탑 열두 개가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탑 열두 개가 다섯 개 단에 걸쳐 있으니까 총 60개의 탑이 서 있는 것이지요.이때 12라는 수는 태양이 지나가는 길인 황도를 별자리에 따라 나눈 황도 12궁이 됩니다.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스플레이(AMLCD)나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가 발달하면서 풀HD급 영상(1920x1080)을 1인치보다
작은
칩에 담을 수 있게 됐다.하지만 풀HD 해상도를 가진 현재의 HMD는 시야 각 1°에 들어가는 픽셀 수가 16개에 불과하다. 57개인 아이폰4에 비해 훨씬 적다. 그래서 눈 밝은 사람에겐 픽셀이 보인다. 왜 HMD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인공 유전자로 적절한 단백질을 만들어야 했다. 반면에 크리스퍼는 단백질 보다 훨씬
작은
RNA가 그 역할을 한다. DNA 100개만 바꾸면 전혀 다른 서열 특이성을 가 지는 유전자 가위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모든 생물의 유전체를 수정할 수 있게 된 인간크리스퍼의 발견은 유전자 수정 붐을 일으켰다. ... ...
연꽃과 도마뱀 키우는 기계공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에 젖지 않는 연꽃잎도 표면에 나노구조가 있다. 정 교수는 “남들이 쉽게 만들지 못하는
작은
구조를 만 들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이 가진 최고의 장점”이라고 말했다.나만의 아이디어를 만들어라만드는 방법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어떤 동물을 따 라할지 결정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직접 ... ...
에펠탑 보면 떠오르는 와인은?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날 저녁
작은
바에 들렀습니다. 스피커에선 '고엽(Autumn Leaves)'이라는 샹송이 흘러나오고, 벽에는 멋진 에펠탑 사진이 걸려 있네요. 제가 좋아하는 여배우 샤를로뜨 갱스부르의 젊은 시절 사진도 있고요. 웨이터가 다가와 와인을 묻는데 나도 모르게 비싼 프랑스 와인을 선택하고 말았습니다. 도대체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두 대륙판이 충돌하는 큰 단층인 히말라야 주단층에서 처음 발생했다. 그 결과 연결된
작은
단층에서도 여진이 이어졌다. 또 네팔이 속한 레서 히말라야 땅은 히말라야 땅 중에서 지반이 가장 무르다. 주변 지역보다 지진이 많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도시, 지진, ... ...
무서운 신예, ‘태양왕’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정육면체를 기준으로 했을 때 각 꼭짓점에 가장 크기가 큰 양이온 A가 있고, A보다
작은
양이온 B가 정육면체 중앙에 존재하는 구조다. B가 A보다 작을수록 구조가 안정된다. X는 보통 할로겐 음이온으로 여섯 개의 면 중앙에 위치한다(왼쪽 그림). 현재 태양전지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 ...
1 kg짜리 공이 무려 10억 원!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룩을 벗겨 완벽을 추구하는 게 과학자의 본능이다. 더 구나 나노그램, 피코그램 등 아주
작은
질량을 재는 일 이 늘어나면서 부정확한 kg은 조금씩 문제를 키우고 있었다(다만 저울 업계는 최근까지도 기준 변경에 반 대했다고 한다).플랑크 상수독일 과학자 막스 플랑크가 1900년 만든 양자역학 상수 ... ...
자연이 빚은 아름다운 광물이 가득! 민자연사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수정은 이 석영이 특이할 정도로 크게, 그리고 투명하게 자란 거였어요.한편, 손톱보다
작은
광물도 눈에 띄었어요. 바로 다이아몬드라고 불리는 ‘금강석’이었지요. 금강석은 탄소 원자가 그물 형태를 이루고 있어요. 그래서 세상에 있는 광물 중에서 가장 단단하지요. 금강석 결정은 정삼각형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