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수학동아 l2015년 07호
- 평면은 종이처럼 매끈하고 평평하게 생겼죠. 하지만 수학의 세계에선 이런 모습은 아주 작은 부분일 뿐이에요. 정의에 따라, 전 아주 다양한 모습을 갖는답니다. 가끔 ‘나는 누구지? 여긴 어디지’하는 생각까지 들 정도라니까요제가 어떤 모습인지 처음 알려준 사람은 유클리드였어요. 유클리드는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떨어진 초기 우주를 관측했어요. 지상에 있는 10m급 망원경인 켁과 비슷한 성과예요. 작은 주경으로도 많은 성과를 낸 건 허블이 우주에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에요.지상망원경에 들어오는 빛은 대기를 거치면서 꺾이고 흩어져요. 그래서 천체에서 출발한 빛이 그대로 주경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 ...
- [생활] 똑똑한 만능 실험가, 계산화학수학동아 l2015년 06호
-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과정을 눈으로 직접 보거나 조절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런 작은 단위의 화학적 특성은 실험 결과로 쌓인 이론을 바탕으로 이해할 수 밖에 없다.화학반응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간단한 방정식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소프트웨어(SW)다. 수많은 분자와 ... ...
- [생활] 메럴 카르호프 솔솔 부는 바람으로, 술술 작품 만들다 !수학동아 l2015년 06호
- 학교인 디자인 아카데미 아인트호벤을 다녔다. 졸업과 동시에 자신의 이름을 내건 작은 스튜디오를 차렸다. 그때부터 자신의 작업에 대한 확신이 있었다.처음에는 목도리와 같은 간단한 제품을 주로 만들었다. 목도리는 가로 길이가 일정해서, 실 색깔과 디자인만 결정하면 여러 개를 만드는 게 ... ...
- [생활] 22년 만에 다시 펼쳐진 공룡 세상 쥬라기 월드수학동아 l2015년 06호
- 탄생시켰다. 하지만 인도미누스 렉스가 보인 예상치 못한 행동에 경악한다. 예를 들면 작은 공룡 떼를 모조리 죽여 놓고도 전혀 입을 대지 않았다. 배가 고프지 않아도 재미삼아 자기보다 약한 공룡을 죽인 것이다.유전자 조작으로 새로운 동물을 만들 때, 과학자들은 예상치 못했던 부작용이 일어날 ... ...
- [참여] 반짝반짝 빛나는 신비한 광물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직업 덕분에 해외에 나갈 기회가 많았는데, 그때도 쉬는 날마다 돌을 구하러 다녔지요. 작은 꿈이 있다면 우리나라에서 관찰할 수 있는 광물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게 특성과 사진을 정리해 한 권의 책으로 만들고 싶어요. 그때까지 가장 아름다운 자연 중 하나인 광물을 사랑하렵니다 ... ...
- 엄마도 깜짝 놀란 채소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심는 방법으로 미니 채소를 만들 수도 있어요. 경남 농업기술원에서는 방울토마토만큼 작은 양파를 개발했어요. 보통 양파는 100~300g이지만, 미니 양파는 5~20g이에요. 빨리 자라는 조생종 양파를 보통 양파를 심을 때보다 더 촘촘하게 심어서 미니 양파를 만들었지요.경기도농업기술원 장석우 박사는 ...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교수와 크리포드 내스 교수가 1996년 발표한 책 ‘미디어 방정식’에 따르면, 우리가 작은 화면보단 큰 화면에서, 정적인 물체보단 움직이는 물체에서 더 실재감을 느끼는 것도 모두 진화의 결과다. 더 크거나 더 빨리 움직이는 물체는 인간에게 위협이 될 수 있으므로 나도 모르게 뇌가 강하게 ...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인공 유전자로 적절한 단백질을 만들어야 했다. 반면에 크리스퍼는 단백질 보다 훨씬 작은 RNA가 그 역할을 한다. DNA 100개만 바꾸면 전혀 다른 서열 특이성을 가 지는 유전자 가위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모든 생물의 유전체를 수정할 수 있게 된 인간크리스퍼의 발견은 유전자 수정 붐을 일으켰다. ... ...
- 1 kg짜리 공이 무려 10억 원!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룩을 벗겨 완벽을 추구하는 게 과학자의 본능이다. 더 구나 나노그램, 피코그램 등 아주 작은 질량을 재는 일 이 늘어나면서 부정확한 kg은 조금씩 문제를 키우고 있었다(다만 저울 업계는 최근까지도 기준 변경에 반 대했다고 한다).플랑크 상수독일 과학자 막스 플랑크가 1900년 만든 양자역학 상수 ... ...
이전2742752762772782792802812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