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뉴스
"
물질
"(으)로 총 9,306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1]美 아르테미스 책임자·전략가·기업가 달 탐사 비전 엿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6
달 유인 탐사에 앞서 달 기지 건설에 필요한 물을 찾는 탐사 로버 ‘휘발성
물질
조사 극지 탐사 로버(VIPER)’의 달 착륙 임무를 위해 NASA와 2억 달러(약 235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한 우주기업으로 유명하다. 카와사키 고이치 와이스페이스 최고경영자(왼쪽)와 김경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Q&A] 가족이 재택치료하면…"화장실 분리·만날땐 보호구 써야"
연합뉴스
l
2021.12.05
화장실에 역류 방지 댐퍼(진동을 완화해주는 장치)가 있는 배기 팬을 설치하면 층간 오염
물질
확산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 -- 이동 중인 재택치료자와 엘리베이터 등 공용시설에서 만나면 이웃들도 수동감시자나 자가격리자로 지정되나? ▲ 환자가 보호구 4종 세트를 착용하고 있었다면 따로 ... ...
미국·캐나다 연구팀, 코로나 합성항원 백신 상온 보관방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12.03
기반 백신을 함께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바이오로직스의 코로나19 백신 후보
물질
인 '유코백-19'는 제3상 임상시험을 신청했다. 로벨 교수는 “이번 실험에 사용한 리포솜 기반 플랫폼이 유바이오로직스의 유코백-19에 사용되는 것과 구성성분이 약간 다르지만 이론적으로는 유코백-1 ... ...
[과기원은 지금] KAIST-서울대병원, 정밀의료 및 디지털헬스케어 기술 업무협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03
항암성능을 찾아내고 작용원리를 규명해 이 약품보다 더 성능이 뛰어난 신규 항암
물질
도 찾아냈다고 2일 밝혔다. 연구팀은 암세포 미토콘드리아에서 과다 생성되는 ‘트랩원’ 단백질에 작용하는 특정 화학구조를 발견했다. 이 화학구조를 띠는 기존 약물들을 스크리닝한 결과 미국, 유럽에서 ... ...
중국 해상풍력발전소에서 생산한 그린수소 일본 탄소중립 목표량 충족
동아사이언스
l
2021.12.03
달러, 2050년 1kg당 1.8달러로 책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수소 전달방식으로는 톨루엔 등 화학
물질
과 결합한 액체 수소와 암모니아 변환에 전달하는 방식이 고려됐다. 마이클 맥엘로이 미국 하버드대 지구·행성과학부 교수는 “중국과 일본 양국의 기술 교류를 통해 탄소중립을 위한 수소 생산을 ... ...
땅 위의 인공태양, 실증·상용 연구 단계로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3
KSTAR)가 세계 최초로 섭씨 1억 도의 초고온 플라스마(고체 액체 기체를 넘어선 제4의
물질
상태)를 30초 동안 유지하며 최장시간 운전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영국은 핵융합발전 실증을 위한 ‘프로토타입’ 발전소 건설 부지를 2022년 말까지 최종 선정한다는 계획을 공개하며 후보지 5곳을 최근 ... ...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삼중수소 1200일이면 북태평양 뒤덮는다…中 연구팀 시뮬레이션
동아사이언스
l
2021.12.02
사이언스차이나프레스 제공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결정하면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중국 연구팀이 오염수 내 방사성
물질
인 ... 영향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그러나 차후 단계에서는 북아메리카 부근 고농축 핵
물질
이 분명 문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구글 양자컴퓨터로 신개념
물질
'시간 결정' 첫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1.12.01
결정은 입자가 규칙적인 주기를 갖고 공간상에 나열된 상태를 말한다. 시간 결정은
물질
의 입자가 시간적으로 결정처럼 규칙적으로 일정하게 배열되는 현상을 뜻한다. 시간에 따라 구조 변화가 반복되면서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끊임없이 변화를 유지한다. 이 개념은 지난 2004년 노벨 ... ...
[랩큐멘터리] 2차원
물질
이 만드는 공간, 에너지·환경 혁신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1
있다”고 말했다. 에너지 및 지속가능성 지향 나노과학 연구실은 분자 수준의 나노
물질
이 만들어내는 협소한 공간에서 일어나는 독특한 현상을 탐구한다. ▼포스텍 에너지 및 지속가능성 지향 나노과학 연구실 바로가기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악성 유방암 세포 리포로그래밍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01
컬러 유연 투명 태양전지가 완성된다. 태양전지에 쪼인 빛 중 일부가 미세구멍 내 고분자
물질
을 통과해 우리 눈엔 투명한 색상이 보이고 나머지는 실리콘에 흡수돼 전기가 만들어지는 원리다. 건물 곡면 외벽이나 창문 등에 설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