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뉴스
"
물질
"(으)로 총 9,306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음성인데 강력한 면역반응…범용 코로나 백신 개발 실마리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11.12
범용 코로나19 백신 개발 도전에 나섰다. 영국 소재 기업 ‘SEEK’는 범용 백신 후보
물질
을 개발했다. 올가 플레게줄러스 SEEK 연구원은 “코로나19 외 다른 감염병이나 또다른 코로나바이러스가 등장하는 것은 시간 문제”라며 “코로나19의 전파력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MERS)의 치명률이 결합된 ... ...
해양 탄소 순환 감시할 자율주행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1.11.12
분석은 통상 48시간 동안 진행되는데 그동안 식물성 플랑크톤이 뿜어내는 ‘형광
물질
’도 측정한다. 식물성 플랑크톤의 숫자는 탄소를 흡수하는 유기물의 양과 직결된다. 로버는 수km 구간에서 10m 간격으로 이런 조사 과정을 반복한다. 연구팀은 “심해에서 탄소가 언제, 얼마나 ... ...
코로나19 백신 개발에서 진가 발휘한 mRNA 기술, 영역 넓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2
종양이 특정 유전자의 변이로 항암 치료제 효과가 감소하는 현상을 막기 위한 mRNA
물질
을 설계하고 있다. 암세포에만 존재하는 단백질을 합성하는 mRNA를 인체에 전달해 암세포를 공격할 항체를 만드는 원리의 면역 항암 mRNA 백신 개발도 시도되고 있다. 미국 예일대 의대와 영국 ... ...
90.4% 효능 노바백스 단백질 백신 상용화 임박…구멍 메울까
동아사이언스
l
2021.11.11
백신 자체가 개발에 시간이 오래 걸렸기 때문이다. 동식물 세포에 바이러스의 특정 유전
물질
을 넣어 정제된 단백질을 생산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 노바백스 역시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체 정보가 공개된 지난해 1월부터 백신 개발을 시작했지만 약 22개월이 지나서야 FDA 승인을 신청했다. 현재 ... ...
"코로나19에 신속 대응한 비결은 공유와 협력"
동아사이언스
l
2021.11.10
가짜뉴스라고 오명을 썼던 사례를 전했다. 그는 "도라지가 일상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물질
인 만큼 관심을 많이 받았던 것 같다"며 "사람에게 실제로 치료 효과가 있는지 입증하는 연구를 하기 전에 (마치 치료효과가 있는 것처럼) 소문이 확산됐다"고 설명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치료제를 ... ...
[랩큐멘터리] 쓰다버린 물, 지구 살리는 에너지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0
자연스럽게 이동한다. 그 과정에서 배터리가 충전된다. 전기를 다시 활용하면 오염
물질
을 분리하거나 리튬 같은 고가의 금속을 분리농축해 자원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구실이 개발한 일부 기술은 실제 현장에도 적용하고 있다. 삼성전자와도 협업하고 있다. 반도체 공정에는 엄청난 물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어처구니없는 요소수 대란
2021.11.10
반응시키는 ‘요소 생산법’을 개발했다. ‘생명’의
물질
이었던 요소가 ‘산업용’
물질
로 위상이 달라진 것이다. 비료로 사용되는 암모니아의 산업적 합성이 영국의 경제학자 토머스 말서스가 걱정하던 인구 증가에 의한 식량 부족 사태를 해결해주는 가장 중요한 열쇠가 되었다. 오늘날 요소는 ... ...
[과기원은 지금] GIST, 암모니아 전환 고효율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1.10
암모니아는 비료의 원료로 잘 알려져 있으나 최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중요
물질
로 주목된다. 수소에너지를 저장 운반하는 용도로 쓸 수 있는데 연소시 이산화탄소가 나지 않는다. 하지만 기존 공정은 고압 환경에서 에너지와 비용이 많이 드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세라믹 이온 전도성 ... ...
"달 '후기 대폭격' 소행성들은 지구 형성 과정서 남은 잔해"
연합뉴스
l
2021.11.09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달에 충돌한 소행성의
물질
로 만들어진 금속 소구체의 루테늄(Ru)과 몰리브덴(Mo) 동위원소 구성을 통해 이 시기에 달에 충돌한 천체가 지구 형성 과정에서 남은 소행성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루테늄과 몰리브덴의 동위원소는 태양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화학자들은 여전히 요소 합성 연구에 매달릴까
2021.11.09
지난 4일 광주 광산구 한 주유소에 요소수 품절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와 미중 패 ... 《강석기의 과학카페》(1~7권),《생명과학의 기원을 찾아서》가 있다. 번역서로는 《반
물질
》, 《가슴이야기》, 《프루프: 술의 과학》을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