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칭"(으)로 총 9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눈사람 만들려면 가루눈보다 함박눈!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별 모양, 영하 20℃ 이하에서는 기둥 모양이에요. 눈 결정 모양은 다양하지만 모두 좌우 대칭이지요.구름 속에서 눈 결정이 자라는 속도는 허츠-크누센 방정식으로 구할 수 있어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분자가 서로 엉겨 붙으려고 할 때의 흐름을 계산할 수 있지요. 이 방정식을 이용하면 눈 ... ...
- [수학동아클리닉]우주를 품은 정십이면체!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않았지만, 기하학을 통해 우주를 바라봤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이후에도 정다면체의 대칭성은 수학자들이 궁금해 하는 연구주제 중 하나였다. 정다면체는 무수히 많은 정다각형과 달리 오직 5개만 있기 때문이다.정다면체는 아니지만 정다면체와 닮은 준정다면체도 있다. 준정다면체는 ... ...
- [수학동아클리닉](초등)각기둥과 각뿔 요리하며입체도형탐구하기 (중등)작도로 즐기는 하트 모양디자인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이용하면 훨씬 다양한 하트 모양을 만들 수 있다. 아래와 같이 정사각형 안에 대칭이 되도록 반원을 다양한 위치에 그린 다음 잘라낸다. 앞쪽과 같은 방법으로 두 기본도안을 직각으로 엇갈리도록 끼워 넣으면 여러 가지 무늬의 하트 모양을 만들 수 있다. 몇 가지 예시를 학생들에게 보여 준 다음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그 결과 고바야시 마코토와 마스카와 도시히데 교수가 1973년에 이론적으로 설명한 CP대칭성 깨짐 원리를 검증할 수 있었고, 두 교수는 2008년 노벨물리학상을 탔다.2010년 이후 운영이 중단된 KEKB는 2018년 재가동을 목표로 현재 가속기와 검출기 개선 작업을 하고 있다. 새로 시작될 벨II(BelleII) ... ...
- 꼭꼭 숨어 있는 사인곡선 찾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일출 시각을 빼서 낮의 길이를 구해보면 신기한 일이 벌어집니다. 바로 아름답게 대칭을 이루는 사인곡선의 모습이 나타나는 것이지요. 이것을 2014년과 2015년 두해에 걸쳐 살펴보면 약 1년을 주기로 그려지는 사인 곡선의 모양을 더 명확하게 볼 수 있습니다.이 외에도 우리 주위에는 사인 곡선이 ...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관측해 ‘CP대칭성’이 깨지는 현상을 관측했고, 돌파구를 찾으려 하고 있다(CP대칭성에 대한 내용은 4파트 참고).3. 5%를 넘어, 26.8%를 찾아라미국 천문학자 베라 루빈은 은하를 구성하는 별들이 은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속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회전 속도가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관계없이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론적 예측을 가능하게 해주는 대단히 높은 완성도를 보이고 있다. 표준모형의 대칭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물리학과 대학원에서 몇 년 연구를 해야 할 정도로 어렵지만, 한번 깨달으면 그 아름다운 모습에 감탄할 수 밖에 없다.물리학자들은 자연계의 4가지 힘, 즉 중력과 전자기력, 약력 그리고 ... ...
- 바이러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쓰이는 중요한 수학 개념으로 쉽게 말해 정이십면체 군은 정이십면체가 가지고 있는 대칭의 모임을 수학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수학의 여러분야 중에서도 순수 수학에 속하는 대수학이 바이러스의 구조를 표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이다.지금도 많은 과학자들은 바이러스 타일링 이론과 ... ...
- 물리와 감성이 공존하는 브라운아이드걸스 BASIC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상호작용한다는 이론이다. 이를 통해 과학자들은 양자역학과 특수상대성이론, 게이지 대칭성처럼 현대물리학에서 아주 중요한 이론을 설명했다.하지만 한 가지 수수께끼가 있었다. 물질에는 질량이 있는데 기존의 표준모형으로는 설명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1960년대 영국 이론물리학자 피터 ...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난제에 대한 돌파구도 생겼다. 우주에 물질만이 존재하고 반물질이 없어진 이유, 즉 CP 대칭성 깨짐 문제와 중성미자의 질량 순서를 결정하는 문제다. 필자의 연구팀도 중성미자의 질량 순서를 결정하는 실험을 계획하고 있다.중성미자는 여전히 많은 난제를 품은 미지의 영역이다. 앞으로 어떤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