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d라이브러리
"
분
"(으)로 총 6,151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을 밤하늘 '외계인의 고향' 찾기
과학동아
l
200711
우리은하의 빛을 가리는 성간먼지나 암흑물질의 방해를 받지 않기 때문에 하늘의 약 4
분
의 1을 덮는 장관을 생생하게 볼 수 있을 것이다.이 밖에 궁수자리에 있는 NGC6822나 사자자리에 있는 LEO1도 우리은하의 위성은하다. 이 두 은하는 우리은하에서 약 50만~100만 광년 떨어져 있다. 은하세계에도 ... ...
무한속도의 비밀은 '칩'
과학동아
l
200711
영상을 그리는 시간과 저장할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였다.김 교수의 연구는 지난 2월 IT
분
야 최고 학회로 정평이 난 국제반도체회로학술회의(ISSCC)에서 주목을 받았다. ISSCC는 ‘황의 법칙’이 무어의 법칙을 뒤엎은 학회로 새로운 IT 기술의 데뷔 무대이기도 하다. 김 교수는 3차원 디스플레이를 ... ...
열대 해양생물의 천국 미크로네시아
과학동아
l
200711
흑접조개가 잘 자라는 24~29℃의 수온이 꾸준히 유지되는 데다 플랑크톤 등 각종 영양
분
이 바다를 기름지게 하기 때문이다.첫 목표는 경제성장 속도가 빠른 인도 시장이다. 인도인들은 검은 보석을 매우 선호한다. 질 좋은 흑진주를 생산하기만 한다면 안정적인 수요처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 ...
2세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과학동아
l
200711
수도 있다. 인터넷을 이용한 SNS는 6명만 건너뛰면 누구와도 연결된다는 이른바 ‘6단계
분
리’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국내에서는 2천만명이 넘는 회원을 가진 ‘싸이월드’가 대표적이고, 해외에서는 ‘마이스페이스’ ‘페이스북’이 유명하다. 1세대 SNS는 ‘미니홈피’적 네트워크 성격이 ... ...
땅이 둥근지 몰랐던 옛사람, 경위도 개념 있었다
과학동아
l
200711
1884년부터 세계적인 합의를 거쳐 그리니치 표준으로부터 15° 간격으로 같은 시간대를 배
분
했다. 우리가 천문학적으로 합당한 시간을 쓰려면 서울을 통과하는 동경 127°의 표준시를 써야 하지만, 다른 나라와 30
분
차이가 나는 표준시를 쓰기는 불편하기 때문에 그렇게 하지 않는다.위도를 정밀하게 ... ...
춤추는
분
자의 동영상 찍는다
과학동아
l
200711
연구에서 벗어나 실험할 준비까지 마쳤다. 그는 다차원
분
광학으로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분
자의 운동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을 때까지 도전을 멈추지 않을 각오다 ... ...
3차원 제품도 복사 뚝딱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1
‘3차원 복사기’가 나왔어요. 미국의 아이디어랩이라는 회사가 만든‘데스크톱 팩토리’라는 이름의 복사기예요. 이 복사기에 물체의 3차원 디자인을 입력하면 그 물건 ... 한 인형도 만들 수 있겠죠? 우리나라 돈으로 1400만 원이나 돼 비싸지만 앞으로 3
분
의 1로 가격을 낮춘 제품이 나올 ... ...
독감 접근 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1
독감을 막는 옷이 개발됐어요. 미국 코넬대학교 과학자와 디자이너가 만든 옷이에요.이 옷은 바이러스와 세균을 잡아 내는 *나노 입자가 살짝 덧입혀 있어요. 나노 입자 ... 하얀 옷, 저녁에는 파란 옷을 만드는 거죠.*나노 입자 : 머리카락 굵기의 수천~수만
분
의 1 크기인 아주 작은 알갱이 ... ...
햇볕 쬐면 하루가 길어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1
콜로라도대학교의 과학자들은 12명의 사람들에게 햇볕을 쬐게 했어요. 한낮에 45
분
동안 햇볕을 받게 했죠. 그 결과 사람들의 신체리듬이 평균 24.2시간에서 25시간으로 늘어났어요. 한 시간 더 책을 읽거나 파티에서 놀 수 있다는 뜻이죠. 비행시차나 야근 등으로 힘들어 하는 사람들에게도 이 연구가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1
찾기 어려운 플라스틱 폭탄도 쉽게 찾는다. 특히 T선은 암세포와 건강한 세포를 잘 구
분
해서 보여 준다.T선의 장점은 X선보다 안전하다는 점이다. X선은 에너지가 높아서 몸에 해롭다. 그래서 자주 찍을 수 없다. 그러나 T선은 에너지가 낮기 때문에 몸에 해롭지 않다. 암을 찾아 내는 착한 빛인 셈이다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