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d라이브러리
"
분
"(으)로 총 6,151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까지 날아간 현수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1
닥터고글에게 반할 것 같다는 서영 씨를 보는 다나카 상의 마음은 부글부글~!사건
분
석➌ 바람 타고 일본 갔다? “알겠스무니다. 일단 하늘로 올라갔다고 칩시다. 그런데 어떻게 일본까지 날아온단 말입니까? 애드벌룬에 날개라도 달렸다면 모를까….”“맞습니다. 애드벌룬에는 보이지 않는 ... ...
효과 없는 모차르트 효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0
생각해 봐야겠어요. 독일 정부는 지난 4월 초음악과 지능에 대한 기존 연구를 대규모로
분
석해 결과를 발표했어요. 결론은 음악이 아이들의 IQ를 높인다는 주장을 증명할 수 없었다는 거예요. 독일 흄볼트대학교의 랄프 슈마허 교수는 “모차르트 효과가 나타났다는 기존 연구 결과는 우리가 한 같은 ... ...
탄소나노튜브 타고 날아가는 항암 폭탄
과학동아
l
200710
투과력이 뛰어나 몸 밖에서도 쪼일 수 있지만 방출되는 전자의 강도가 알파 방사선의 4000
분
의 1밖에 안 된다. 그만큼 항암 효과도 떨어진다.윌슨 교수는 “알파 방사선과 베타 방사선의 차이는 포탄과 BB탄의 차이와 같다”며 “알파 방사선을 탄소나노튜브에 실어 몸 속에 보내면 암 치료의 획기적인 ... ...
꿀벌의 '가출'이유는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710
위해 미국 전역의 벌집들을 모아 5개월간 조사했다. 이 결과 CCD가 나타난 벌집에서 대부
분
IAPV가 검출됐다. IAPV는 이스라엘 헤브루대의 이안 셀라 교수가 발견한 바이러스로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벌은 쇠약해졌다가 사망한다. IAPV에 감염될 경우 CCD보다 증세가 더 심각하기 때문에 IAPV가 CCD의 ... ...
일본의 셀레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710
메탄30, 일산화탄소8, 중탄화수소4, 질소4, 이산화탄소3, 산소1로 되어 있다혈액중의 액체성
분
이 혈관벽을 투과하여 주위조직의 구석구석까지 침투된 상태 심장병이나 신장병이 ... ...
PART3 '뚝딱뚝딱' 인공위성 DIY시대
과학동아
l
200710
cm인, 속이 빈 구형의 인공위성으로 겉표면에 지름 2.5cm의 동그란 거울이 878개 붙어있다. 90
분
마다 지구를 한 바퀴 돌면서 태양빛을 반사해 별처럼 반짝이는 일이 이 위성의 유일한 임무다.스타샤인을 개발하는데 어린이들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바로 거울의 광택을 내는 일이었다. 스타샤인이 ... ...
HDTV 다음은 3DTV
과학동아
l
200710
선점하는 나라가 3D 디스플레이에서는 일인자가 된다는 뜻이다. 이런 점에서 한국 역시 충
분
히 도전할 가치가 있다. 특수 안경 없이 보는 3차원 영상의 세계가 눈앞에 있다. 3D 디스플레이란?기존의 2차원 평면영상과 달리 사람이 보고 느끼는 실제 상황과 유사한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 ...
예비우주인과 팀워크가 중요
과학동아
l
200710
타고 우주에 올라가면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세계가 열린다”며 “이 기회를 충
분
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예비우주인과의 팀워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달착륙선에서 먼저 내린 암스트롱에 가려 ‘2인자’ 인생을 살았던 올드린은 특히 예비우주인으로 선정된 이 씨에게 애정 어린 ... ...
지구 닮은 슈퍼지구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0
이 곳에‘글리제 581’이라고 하는 적색왜성이 있어요. 적색왜성은 빛이 우리 태양보다 50
분
의 1정도로 매우 약한 별이에요. 전 이 적색왜성 주위를 13일에 한 바퀴씩 돌고 있죠.기자 : 그런데 얼마나 지구와 비슷한 거죠?행성 : 저는 크기가 지구의 5배밖에 안 돼요. 중력도 지구의 1.6배죠. 중요한 것은 ... ...
사이언스 시간여행 과거 속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0
연결하는 큰 반원.1707년 5월 23일‘
분
류학의 아버지’카를 린네 출생스웨덴의 식물학자로
분
류학의 뼈대를 만들었다. 그는 특히 생물의 학문적인 이름을 정하는 이명법을 창안했다. 이명법은 어떤 생물이 속해 있는 속과 종을 이용해 그 생물에 이름을 붙이는 방법이다.1889년 5월 25일헬리콥터를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