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까?수학동아 l2018년 03호
- 가능성은 있다. 아직 우리는 우주에 대해 모르는 것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우주가 여러 개라는 증거도 없지만, 하나라는 증거도 없다. 우리가 아는 5%, 우리가 모르는 95%. 우리는 얼마나 더 시간이 흘러야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는 궁극의 방정식을 찾을 수 있을까? 그런 방정식이 있기나 한 걸까? ... ...
- [Origin] 생명을 설계한다, 합성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분석 기술이 등장하면서 그 길이 열리는 듯 했습니다. 인간게놈지도가 완성됐고, 여러 생물의 유전체 정보가 쏟아져 나왔죠. 하지만 생명체 중 가장 간단한 박테리아조차도 유전체의 염기서열이 A4용지 3000페이지에 이를 만큼 방대해, 그 안에 숨겨진 의미를 모두 해독하기란 불가능해 보였습니다 ... ...
- [DGIST] 생체신호만 포착 세계 최고의 전자칩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채널이 늘어날 때마다 그에 비례해 잡음에 취약해졌는데, 연구팀이 개발한 전자칩은 여러 신호를 동시에 읽어도 정밀도가 떨어지지 않았다. 연구팀이 개발한 전자칩은 가로 2.3mm, 세로 1mm로 면적이 약 2.3mm2에 불과하다. 엄지손톱의 50분의 1쯤 된다. 이 교수는 “앞으로 크기와 발열량을 더 줄여서 ... ...
- Part 1. 암호화폐는 ‘진짜 돈’이 될 수 있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경우 공격자는 더 많은 사용자 계정을 생성해 자신이 선정될 확률을 높일 것이다. 복권을 여러 장 사서 당첨될 확률을 높이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런 방식의 공격을 ‘시빌 공격(Sybil attack)’이라고 부른다. 비트코인은 시빌 공격으로부터 비트코인을 보호하기 위해 컴퓨터 연산 능력에 기반하는 ... ...
- 학종에서 좋은 평가 받는 동아리 활동 비법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실시되고 있다. 그러므로 학생부에 기입될 활동 내용들을 내실 있게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활동을 중구난방으로 하기보다는 분명한 목표를 중심으로 활동을 집중하는 것이 좋다. 이 중에서 동아리 활동은 교내 활동 중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선택해서 꾸준히 할 수 있는 대표적인 활동이란 점에서 ... ...
- [교과연계수업] 과학 즐기며, 황금개 찾아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동물이지요. 강아지를 좋아하나요? 좋아한다면 어떤 강아지를 좋아하나요? 오늘은 여러 강아지들 중에서도 과학과 관련이 있는 이색 강아지 4가지를 소개하려고 해요. 그리고 이 네 강아지 중에서 어떤 강아지가 가장 마음에 드는지 각자 투표해 보는 건 어떨까요? 첫 번째 후보는 세상에 이름을 ... ...
- Intro. 멍멍! 황금개띠 해의 주인공은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인간과 가장 친숙한 동물이자 인생의 동반자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여러 개들 중, 황금개상을 받게 될 개는 과연 누구일까요? 이제 대상 수상자 발표만을 앞두고 있는데요, 치열한 접전 끝에 올라 온 대상 후보를 소개합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멍멍! 황금개띠 해의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타르스키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됩니다. 각 점을 평행이동하고 회전이동하면서 다각형을 조립하게 되지요. 이처럼 점을 여러 집합으로 나누고 대칭이동해서 넓이가 같은 다른 모양의 다각형을 만들 수 있을까요? 끊임없이 만들어지는 공, 바나흐-타르스키 역설1924년 폴란드 수학자 알프레트 타르스키는 점까지 까다롭게 분할해도 ... ...
- [필즈상 미리보기] 알레시오 피갈리, 허준이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만족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허 박사가 조합론에서 대수기하학으로 가도 여러 성질을 만족한다는 것을 보이면서 로타 추측을 해결한 것이지요. 허 박사의 석사 과정 지도 교수인 김영훈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는 “석사 과정 때 해결한 문제에 썼던 도구를 발전시켜 로타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내 자리는 어디에!? 15 퍼즐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생각하면 숫자가 총 16개 있는 셈이므로, 16!=20,922,789,888,000개 순열이 있는 거지요. 이제 여러 순열 중 한 개를 골라 구체적으로 어떤 숫자가 어디에 있는지 좀 더 자세하게 나타내 볼 거예요. 우선 오른쪽 위에 있는 15 퍼즐의 타일 배열을 표준 배열과 비교하면 아래 표로 나타 낼 수 있어요. 위 표를 ... ...
이전2822832842852862872882892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