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DGIST] 생체신호만 포착 세계 최고의 전자칩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채널이 늘어날 때마다 그에 비례해 잡음에 취약해졌는데, 연구팀이 개발한 전자칩은 여러 신호를 동시에 읽어도 정밀도가 떨어지지 않았다. 연구팀이 개발한 전자칩은 가로 2.3mm, 세로 1mm로 면적이 약 2.3mm2에 불과하다. 엄지손톱의 50분의 1쯤 된다. 이 교수는 “앞으로 크기와 발열량을 더 줄여서 ... ...
- [교과연계수업] 과학 즐기며, 황금개 찾아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동물이지요. 강아지를 좋아하나요? 좋아한다면 어떤 강아지를 좋아하나요? 오늘은 여러 강아지들 중에서도 과학과 관련이 있는 이색 강아지 4가지를 소개하려고 해요. 그리고 이 네 강아지 중에서 어떤 강아지가 가장 마음에 드는지 각자 투표해 보는 건 어떨까요? 첫 번째 후보는 세상에 이름을 ... ...
- 오일러를 앞선 최석정수학동아 l2018년 03호
- 공부한 게 아니란 말이죠. 우리는 아직 최석정에 대해 많은 것을 알지 못합니다. 다만 여러 연구를 통해 그분의 생각을 읽으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한 가지 분명한 건 나라의 발전을 위해 무엇이든 배우고 익히려는 마음가짐을 가진 분이었다는 겁니다. 그것이 결실을 맺어 오일러를 ... ...
- [필즈상 미리보기] 알레시오 피갈리, 허준이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만족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허 박사가 조합론에서 대수기하학으로 가도 여러 성질을 만족한다는 것을 보이면서 로타 추측을 해결한 것이지요. 허 박사의 석사 과정 지도 교수인 김영훈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는 “석사 과정 때 해결한 문제에 썼던 도구를 발전시켜 로타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내 자리는 어디에!? 15 퍼즐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생각하면 숫자가 총 16개 있는 셈이므로, 16!=20,922,789,888,000개 순열이 있는 거지요. 이제 여러 순열 중 한 개를 골라 구체적으로 어떤 숫자가 어디에 있는지 좀 더 자세하게 나타내 볼 거예요. 우선 오른쪽 위에 있는 15 퍼즐의 타일 배열을 표준 배열과 비교하면 아래 표로 나타 낼 수 있어요. 위 표를 ... ...
- Part 3. [68%] 미지의 힘, 암흑에너지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이석천 경상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는 “기존 우주팽창모형을 유지한 채로 여러 관측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암흑에너지가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일반상대성이론에 기초한 우주팽창모형의 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총 16개의 2차 미분방정식을 풀어야 한다. 천문학자들은 먼저 ... ...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사람을 실어 나르는 것이다. 머스크는 평소 “화성에서 은퇴하고 싶다”며 “인류가 여러 행성에서 거주하는 다행성족(multiplanetary) 이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팰컨헤비는 지구 상공 3만5800km 정지궤도(GTO)까지는 26.7t을 보낼 수 있고, 화성까지는 16.8t, 명왕성까지는 3.5t을 실어 나르도록 ... ...
- [Culture] ‘과학 초콜릿’ 그뤠잇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카카오 속 폴리페놀 성분의 항산화 효과를 입증한 뒤 15년째 카카오 연구를 계속해왔다. 여러 연구를 통해 카카오가 항암, 항비만, 피부 건강 개선, 당뇨 예방, 뇌 기능 향상 등 유용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쾌락 호르몬인 도파민을 분비하는 ‘사랑의 묘약’이자 스트레스 해소, 집중력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핵은 대부분의 세포에서 세포 하나 당 한 개뿐이지만,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하나에 여러 개 존재합니다. 흔히 유전물질이라고 하면 핵에 있는 염색체를 떠올리는데요. 미토콘드리아도 자신만의 DNA를 갖고 있습니다. 염색체에 비하면 그 길이가 아주 작아서 A4용지 6페이지에 염기서열을 모두 적을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일생을 소설처럼 써냈다. 장티푸스 바이러스 보균자인 메리는 비록 자신은 건강했지만, 여러 집안의 식솔 24명을 장티푸스 환자로 만들었다. 이후 ‘장티푸스 메리’라는 악명을 얻은 채 26년간 격리 병동에 유폐돼 살았고, 그곳에서 삶을 마무리했다. 보건 당국은 그녀를 범죄자 다루듯 추적하고 ... ...
이전2832842852862872882892902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