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
다양
각종
몇몇
d라이브러리
"
여러
"(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블랙홀의 모습을 관측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중심 블랙홀 ‘궁수자리A*’를 관측했지요. 이 프로젝트를 ‘EHT 프로젝트’라 해요.
여러
대의 전파망원경을 하나로 연결해 거대한 하나의 망원경처럼 활용하면 지구에서 달에 있는 골프공도 볼 수 있어요. 현재는 관측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중이에요. 그렇다면 올해 발표될 블랙홀은 어떤 ... ...
[Culture] 그 많은 감귤 패밀리는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오늘날 과수로 성공한 만다린 품종 대다수는 순종 만다린과 포멜로의 잡종이 그 뒤
여러
차례 만다린과 교배해 나온 것으로 여전히 포멜로의 영향력이 남아 있다. 스위트 오렌지와 그레이프프루트에 대한 기여는 말할 것도 없고, 레몬도 엄마가 광귤이므로 외할머니가 포멜로다. 필자는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그런데 Pax6과는 조금 다른 점이 있습니다. 눈 형성에만 관여하는 Pax6과 달리 Sox9 유전자는
여러
개의 기관 형성에 관여하거든요. 먼저 Sox9는 뼈를 만드는 데 꼭 필요한 유전자입니다. 배아 발달 중 팔과 다리가 생성되는 곳이 바로 ‘팔 다리싹(limb buds)’이라는 부분인데요. 인간 배아의 경우, 수정 후 ... ...
Part 3. 호킹이 남긴 21세기 이론물리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자체에 남겨진
여러
가지 근원적인 문제들과 여전히 연결되어 있는 듯하다. 20세기에
여러
번의 변혁을 거친 이론물리학이 21세기에 와서 다시 한 번 돌파구를 찾는 데 호킹의 양자정보 퍼즐이 아직도 중요한 열쇠로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호킹과 그의 블랙홀 열복사는 좋은 질문 하나가 ... ...
Part 7. 사십춘기도 아프다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호르몬 변화와 함께 사회적 지위의 불안정, 스트레스, 영양 불균형 등 현대인이 겪는
여러
불안 요소들이 호르몬 불균형을 유발하기도 한다”며 “이런 불균형이 감정의 변화를 유발해 사십춘기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사람의 뇌도 20대에 완전히 성숙한 뒤 40대가 되면 점차 노화한다. ... ...
Part 6. 일반 마스크도 효과 있다?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를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원장은 또 “최근 미세먼지의
여러
성분이 인체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쏟아지고 있는 것도 마스크를 써야 하는 이유”라고 덧붙였다. 스크와 달리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는 호흡이 가빠질 수 있어 호흡기가 약하거나 폐 ... ...
교내 대회의 의미와 중요성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사례다. 실제 학교별로 운영하는 대회의 종류와 명칭은 조금씩 다르다. 아래와 같은
여러
대회들이 개최된다고 했을 때 우선은 자신의 진로를 위해 내가 발휘할 수 있는 역량이 무엇이며, 대회 참가 및 수상 경험을 통해 보완할 수 있는 역량들은 무엇일지 고민해 참가할 대회를 구체적으로 ... ...
심판이 볼 수 없다면 수학이 본다! 심판 판정 돕는 기술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촬영이 가능한 고성능 카메라로 실시간으로 공을 찍어 컴퓨터로 전송합니다. 카메라
여러
대가 각자의 위치에서 촬영한 공의 궤적을 갖고 컴퓨터는 공의 위치를 추적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방법이 ‘삼각측량법’입니다. 각 지점에 고정돼 있는 카메라와 공의 거리 변화를 측정해 공의 위치를 ... ...
[수학공작실] 보로노이 빛상자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가장 가까운 점 2개를 선택해 선분을 그려요. 각 선분의 수직이등분선을 그리면 평면이
여러
개의 다각형으로 나뉘어요. 이때 나온 다각형을 보로노이 다각형이라 해요. 아래 과정을 따라하며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그려봅시다.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그리다 보면 ②번 과정처럼 삼각형이 생겨요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KIST 미세먼지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그러자 하헌필 본부장님은 “바람이 부는 현상은 온도와 위도, 지구가 자전하는 방향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일어나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방향을 바꾸는 것은 어렵다”다고 답하셨어요. 이어 “대신 과학자들은 질소산화물이 미세먼지가 되기 전에 없애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