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알프스 산맥과 히말라야 산맥의 남쪽에 나타나는 것이죠.진주구름은 1870년 스웨덴에서
처음
관측됐습니다. 노르웨이에서는 크리스티아니아 천문대에서 1871년부터 1880년대까지 자주 관찰했습니다. 당시 기록은 아주 다채로운 색상을 나타냈다고 남아 있습니다. 그 중 두 건은 카를 스퇴르머라는 1 ... ...
[Culture] 치카우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말라. 이때 잠깐 방심해서 다시 토착 생명체가 소리를 내기 시작하면, 우리는 다시
처음
부터 안정화 작업을 시작해야 할지도 모른다.”둘은 간곡히 기도하는 마음으로 아기를 들고 걸어 다니며 아기를 위 아래로 움직였다. 그리고 정말로 잠이 드는지 아기의 움직임은 완전히 없어지는 듯 했다 ... ...
고은영 기자의 팩트체크, 퍼센트를 조심하라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이길 확률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쓰고 있습니다. 미국의 물리학자 아르파드 엘로가
처음
만든 이 알고리즘으로 클리블랜드의 승률처럼 n차전에서 이길 확률을 구하기도 하고, n차전에서 4번째 승리를 거둘 확률도 구합니다.왜 하필 4번째 승리냐고요? 미국 남자 프로농구 결승전에서는 일곱 ... ...
[매스미디어] 본격 수학 교양방송 애프터 수-쿨!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방송을 시청해 봤다. 그런데 정말로 BJ들이 수학을 주제로 놀고 있었다. 수학 방송이니까
처음
부터 끝까지 수학 얘기만 할 것 같지만 그렇지도 않다. 수학 외에도 다양한 주제로 이야기한다. 채팅으로 시청자와 실시간으로 소통하면서 진행한다는 점도 인상적이다. 어떤 방송인지 맛볼 수 있도록 ... ...
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교수는 1976년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종양내이질성과 암세포의 진화에 대해
처음
이야기했다. 진화는 생물종에 유전자 변이가 축적되다가 어느 순간 환경이 바뀌었을 때 자연선택에 따라 종 분화가 생기며 발생한다. 이를 암 생태계에 적용하면, 정상세포가 분열해 세대가 내려갈수록 ...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열을 가하자 화학팽창제만 넣은 반죽들도 커지기 시작했다.오븐에서 갓 꺼낸 빵들은 맨
처음
에 똑같은 크기로 빚었던 반죽을 구운 게 과연 맞나 싶을 정도로 각기 달랐다. 가장 컸던 것은 생이스트를 넣은 빵이었다. 발효 속도가 가장 빠른 덕분이다. 그 다음으로는 발효종을 넣은 빵이었다. 하지만 ... ...
[과학뉴스] 새로운 문제도 척척~! 똑똑한 뒤영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사실을 알아냈어요. 뒤영벌이 완전히 새로운 상황을 배울 수 있다고 밝힌 건 이번 연구가
처음
이었지요. 지금까지는 뒤영벌이 꽃 속의 꿀을 먹는 상황처럼 익숙한 상황을 실험했거든요.로우콜라 교수팀은 뒤영벌이 한 번도 접해 보지 못한 문제 상황을 만들었어요. 파란색 원판 위에 노란색 공을 ... ...
[과학뉴스] 남극의 ‘피의 폭포’ 미스터리 풀리나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빙하 위로 새빨간 물이 흘러 붙여진 이름이다. 1911년 호주의 지질학자 그리피스 테일러가
처음
으로 발견했다. 이후 물에 포함된 철 성분이 산화하면서 빨갛게 보이는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했지만 철 성분이 포함된 물이 어디서 흘러오는 지는 미스터리로 남아 있었다.미국 알래스카 페어뱅크스대(UAF ... ...
[과학뉴스] 고인류 호모 날레디, 현생 인류와 공존?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호모 사피엔스와 일정 기간 공존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연구팀은 최근, 호모 날레디가
처음
발견된 구덩이로부터 약 100m 떨어진 또 다른 구덩이에서 성인 두 명과 어린이 한 명 등 최소 세 명의 것으로 보이는 호모 날레디의 뼛조각 130여 점을 추가로 발굴하기도 했다.호크 교수는 “이번 추가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말했다.지하와 우주로 울려퍼지다음악은 어디까지 영향을 미칠까. 하모니 서치를
처음
제안한 2001년의 논문은 현재까지 3000여 회 인용되며 토목과 건축, 도시설계와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였다. 상수도 지하에서 옥상까지 물을 올려라!상수도관은 강한 압력으로 높은 곳까지 물을 충분히 ... ...
이전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