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봄 소식을 전하는히어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이 식물을 만날 수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지요.히어리는 1910년 전남 순천 송광사에서 처음 발견됐는데, 오직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우리나라 특산종이에요. 이런 이유로 2005년 환경부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했어요. 이후 자생지가 추가로 발견되면서 2012년 해제됐지요.하지만 특산종은 ... ...
- [Origin] 프랑스 원자력 및 대체에너지청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안에는 ITER와 아주 유사한 핵융합 실험장치 ‘웨스트(WEST)’가 있는데요. 작년 12월 처음으로 플라스마 발생에 성공해 화제가 됐죠. 20년 정도 된 핵융합 장치의 내부를 ITER와 똑같이 텅스텐으로 바꾸고, 이것으로 D형의 플라스마를 만들어 내 의미가 컸습니다.또 카다라쉬 연구센터는 유럽의 대표적인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말라. 이때 잠깐 방심해서 다시 토착 생명체가 소리를 내기 시작하면, 우리는 다시 처음부터 안정화 작업을 시작해야 할지도 모른다.”둘은 간곡히 기도하는 마음으로 아기를 들고 걸어 다니며 아기를 위 아래로 움직였다. 그리고 정말로 잠이 드는지 아기의 움직임은 완전히 없어지는 듯 했다 ... ...
- 고은영 기자의 팩트체크, 퍼센트를 조심하라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이길 확률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쓰고 있습니다. 미국의 물리학자 아르파드 엘로가 처음 만든 이 알고리즘으로 클리블랜드의 승률처럼 n차전에서 이길 확률을 구하기도 하고, n차전에서 4번째 승리를 거둘 확률도 구합니다.왜 하필 4번째 승리냐고요? 미국 남자 프로농구 결승전에서는 일곱 ... ...
- [과학뉴스] 남극의 ‘피의 폭포’ 미스터리 풀리나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빙하 위로 새빨간 물이 흘러 붙여진 이름이다. 1911년 호주의 지질학자 그리피스 테일러가 처음으로 발견했다. 이후 물에 포함된 철 성분이 산화하면서 빨갛게 보이는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했지만 철 성분이 포함된 물이 어디서 흘러오는 지는 미스터리로 남아 있었다.미국 알래스카 페어뱅크스대(UAF ... ...
- [과학뉴스] 고인류 호모 날레디, 현생 인류와 공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호모 사피엔스와 일정 기간 공존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연구팀은 최근, 호모 날레디가 처음 발견된 구덩이로부터 약 100m 떨어진 또 다른 구덩이에서 성인 두 명과 어린이 한 명 등 최소 세 명의 것으로 보이는 호모 날레디의 뼛조각 130여 점을 추가로 발굴하기도 했다.호크 교수는 “이번 추가 ... ...
- 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교수는 1976년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종양내이질성과 암세포의 진화에 대해 처음 이야기했다. 진화는 생물종에 유전자 변이가 축적되다가 어느 순간 환경이 바뀌었을 때 자연선택에 따라 종 분화가 생기며 발생한다. 이를 암 생태계에 적용하면, 정상세포가 분열해 세대가 내려갈수록 ...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빵의 역사에 대해 찾아보면 기원전 6000년 경에 그려진 스위스 동굴벽화에 빵이 처음 나타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곳에 기록된 빵은 그저 떨어진 곡식 낟알들이 물에 불고 뜨거운 햇볕에 건조된 상태였다. 오히려 빵의 주재료가 밀가루인 점을 감안하면, 곡식이 풍요롭게 자랐던 지중해 ... ...
- [DJ CHO의 롤링수톤] 걸어 다니는 오케스트라 한스 짐머의 ‘오일러 방법’수학동아 l2017년 06호
- 패턴에 따라 반복되는 음악 사조를 말합니다.영화를 더 영화답게 만드는 건 음악영화가 처음 등장했을 때부터 영화와 음악은 함께 했습니다. 마치 공연처럼 영화 스크린에는 영상만 나오고, 무대 아래 또는 옆에서는 사람들이 실시간으로 음악을 반주해 영화 음악을 만들어 냈지요. 이후 영상과 ... ...
- [Issue] 이번엔 윈도우10? 랜섬웨어 재습격 예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아닌 다른 해커들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 확산되고 있는 변종은 대부분 처음 유포시킨 사람이 아니면 만들기 힘든 복잡한 악성코드라고 합니다.한 번 감염되면 복구 안 된다?안타깝지만 사실입니다. 파일을 복구하는 복호화 키는 공격자의 서버에 별도로 저장돼 있는데 이것이 없으면 ... ...
이전2822832842852862872882892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