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열고 병기사 항목을 조회해 보았다. 노마가 불러낸 것은 팽창주의 동맹이 이번 전쟁에서
처음
으로 사용한 군체형 다중 인공지능이었다.노마는 승산이 없다는 걸 깨달았다. 전투의 승패는 사용가능한 에너지와 정보량에 달려 있었다. 마크가 사용하는 군체 인공지능의 가용정보량은 노마가 ... ...
[과학뉴스] 새로운 문제도 척척~! 똑똑한 뒤영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사실을 알아냈어요. 뒤영벌이 완전히 새로운 상황을 배울 수 있다고 밝힌 건 이번 연구가
처음
이었지요. 지금까지는 뒤영벌이 꽃 속의 꿀을 먹는 상황처럼 익숙한 상황을 실험했거든요.로우콜라 교수팀은 뒤영벌이 한 번도 접해 보지 못한 문제 상황을 만들었어요. 파란색 원판 위에 노란색 공을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물을 거꾸로 흐르게 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착시 현상이에요.초침만 있는 시계를 55초마다 보는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 봐요. 맨
처음
에는 초침이 0초에 놓인 걸 볼 거예요. 두 번째는 55초, 세 번째는 50초… 순으로 시계를 보다 보면 시계가 거꾸로 가는 것처럼 느껴지겠지요? 이 현상은 60초를 주기로 한 바퀴를 도는 시계를 55초 주기로 보기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무중력 소풍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날개가 달린 옷을 입고 두 팔로 펄럭이면 새처럼 허공을 자유롭게 날아다닐 수 있었다.
처음
에는 어지럽고 마음대로 날 수도 없지만, 익숙해지기만 하면 이보다 더 짜릿한 게 없었다.아이들이 하나둘씩 날개옷을 입고 하늘로 뛰어드는 모습을 보던 하림도 일단은 모든 걸 잊고 신나게 놀았다. 조금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의대 암유전학자 버트 보겔스타인 박사팀은 다시
처음
으로 돌아갔다. 클론의 암세포가
처음
발생할 때, 어떤 원인으로 생기는가에 주목한 것이다. 그 결과 사람들에게는 다소 충격적일 수 있는 사실이 밝혀졌다.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 돌연변이의 상당수가 자체적인 세포 분열 과정에서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부풀어 오르는 데 한몫했을 것이다.당시에는 보리를 발효시켜 맥주도 마셨다. 학자들은
처음
에는 우연히 발견했을지 몰라도 나중에는 맥주를 만들 때 쓰는 누룩을 떼어 빵을 빚었을 거라고 생각했다(둘 다 맥주효모가 발효시킨다). 그래서 고대 이집트의 빵굼터 유적에는 제빵과 양조의 흔적이 함께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폴리매스 프로젝트 10번 해바라기 추측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풀었습니다. 다항식과 선형대수학만 써서 문제를 푼 것인데, 폴리매스 프로젝트를
처음
제안한 티머시 가워스가 이 도구를 도구상자에 저장했다가 적재적소에 써야 한다고 말했을 정도로 획기적이고 유용합니다.조던 엘렌버그와 디온 헤이스베이트가 곧바로 이 도구를 써서 n이 커질 때 D(n)이 ... ...
Part 1. 웰컴 투 매스잼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모여 평소 즐기던 퍼즐이나 보드게임을 소개하고 전략이나 답을 함께 고민한다.매스잼을
처음
제안한 사람은 영국의 수학자 매트 파커다. 파커는 유희수학에 매료돼 수학자가 됐다. 자신처럼 많은 사람들이 수학의 재미를 느끼기를 바라는 마음에 강연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찾아가 망가짐도 ... ...
[과학뉴스] 생체시계로 루게릭병 비밀 밝힐까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뇌질환의 비밀을 풀 실마리를 찾아냈다.임정훈 UNIST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세계에서
처음
으로 퇴행성 뇌질환과 관련 있는 유전자인 ‘어택신-2(Ataxin-2)’를 분자생물학적인 수준에서 밝혀냈다.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루게릭 병이나 파킨슨병 같은 퇴행성 뇌질환이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은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만들 수 있게 된다는 뜻이다. 김재완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교수는 “양자지폐를
처음
구상했던 이론대로 만든 것으로 양자지폐의 실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양자정보 원격전송기술 확보가 관건 양자지폐를 포함해 더욱 완벽하게 양자정보를 주고받는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