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빵의 역사에 대해 찾아보면 기원전 6000년 경에 그려진 스위스 동굴벽화에 빵이 처음 나타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곳에 기록된 빵은 그저 떨어진 곡식 낟알들이 물에 불고 뜨거운 햇볕에 건조된 상태였다. 오히려 빵의 주재료가 밀가루인 점을 감안하면, 곡식이 풍요롭게 자랐던 지중해 ... ...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열을 가하자 화학팽창제만 넣은 반죽들도 커지기 시작했다.오븐에서 갓 꺼낸 빵들은 맨 처음에 똑같은 크기로 빚었던 반죽을 구운 게 과연 맞나 싶을 정도로 각기 달랐다. 가장 컸던 것은 생이스트를 넣은 빵이었다. 발효 속도가 가장 빠른 덕분이다. 그 다음으로는 발효종을 넣은 빵이었다. 하지만 ... ...
- [DJ CHO의 롤링수톤] 걸어 다니는 오케스트라 한스 짐머의 ‘오일러 방법’수학동아 l2017년 06호
- 패턴에 따라 반복되는 음악 사조를 말합니다.영화를 더 영화답게 만드는 건 음악영화가 처음 등장했을 때부터 영화와 음악은 함께 했습니다. 마치 공연처럼 영화 스크린에는 영상만 나오고, 무대 아래 또는 옆에서는 사람들이 실시간으로 음악을 반주해 영화 음악을 만들어 냈지요. 이후 영상과 ... ...
- [과학뉴스] 고인류 호모 날레디, 현생 인류와 공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호모 사피엔스와 일정 기간 공존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연구팀은 최근, 호모 날레디가 처음 발견된 구덩이로부터 약 100m 떨어진 또 다른 구덩이에서 성인 두 명과 어린이 한 명 등 최소 세 명의 것으로 보이는 호모 날레디의 뼛조각 130여 점을 추가로 발굴하기도 했다.호크 교수는 “이번 추가 ... ...
- Part 2. 수학, 음악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176마디의 악보를 만들었다. 아래 악보는 176개 마디 중 처음 8개만 발췌한 것이다. 만약 처음에 주사위를 두 개 던져 합이 5가 나왔다면 첫번째 표의 (5,I )칸 속 숫자 40번에 해당하는 마디가 첫 번째 마디가 된다. 같은 방법으로 오른쪽으로 한 열씩 이동하며 주사위를 8번 던지면 총 8개 마디가 생긴다. ... ...
- [Issue] 이게 맥주야? 커피야? 질소 커피의 인기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네이트 암브러스트 프로덕트매니저는 2015년 8월, ‘화학, 공학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처음에는 탄산으로 시도했지만, 곧 이것이 최악의 아이디어였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면서 커피의 맛을 바꾸기 때문이다. 그는 “안정적인 질소(N2)는 맛을 해치지 않으면서 풍성한 ... ...
- [Issue] 전세계 과학자들이 거리로 나선 이유 “과학, 이제 침묵하지 않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연구 예산을 삭감하는 등 반과학적인 정책을 펼친 데에 대한 항의의 뜻으로 탄생했다. 처음에는 미국 내 시위로 기획됐지만, 곧 세계 여러 나라의 과학기술인들이 연대의 뜻을 보이며 각지에서 자체적으로 동시 행사를 기획해 세계적인 규모로 거듭났다.서울 ‘함께하는 과학행진’ 소수자 과학자 ... ...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보면 우리 몸의 치밀하고 꼼꼼한 완성도에 놀랄 때가 종종 있다. 필자는 면역학을 처음 공부했을 때가 그랬다. 몸 안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수많은 안전장치 중에서도, 면역력은 외부 공격으로부터 스스로를 안전하게 유지해주는 고마운 체계다. 놀라운 것은,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스스로 ... ...
- [Issue] 이번엔 윈도우10? 랜섬웨어 재습격 예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아닌 다른 해커들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 확산되고 있는 변종은 대부분 처음 유포시킨 사람이 아니면 만들기 힘든 복잡한 악성코드라고 합니다.한 번 감염되면 복구 안 된다?안타깝지만 사실입니다. 파일을 복구하는 복호화 키는 공격자의 서버에 별도로 저장돼 있는데 이것이 없으면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말했다.지하와 우주로 울려퍼지다음악은 어디까지 영향을 미칠까. 하모니 서치를 처음 제안한 2001년의 논문은 현재까지 3000여 회 인용되며 토목과 건축, 도시설계와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였다. 상수도 지하에서 옥상까지 물을 올려라!상수도관은 강한 압력으로 높은 곳까지 물을 충분히 ... ...
이전2832842852862872882892902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