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수학, 음악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176마디의 악보를 만들었다. 아래 악보는 176개 마디 중 처음 8개만 발췌한 것이다. 만약 처음에 주사위를 두 개 던져 합이 5가 나왔다면 첫번째 표의 (5,I )칸 속 숫자 40번에 해당하는 마디가 첫 번째 마디가 된다. 같은 방법으로 오른쪽으로 한 열씩 이동하며 주사위를 8번 던지면 총 8개 마디가 생긴다. ... ...
- [Issue] 이게 맥주야? 커피야? 질소 커피의 인기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네이트 암브러스트 프로덕트매니저는 2015년 8월, ‘화학, 공학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처음에는 탄산으로 시도했지만, 곧 이것이 최악의 아이디어였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면서 커피의 맛을 바꾸기 때문이다. 그는 “안정적인 질소(N2)는 맛을 해치지 않으면서 풍성한 ... ...
- [Issue] 전세계 과학자들이 거리로 나선 이유 “과학, 이제 침묵하지 않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연구 예산을 삭감하는 등 반과학적인 정책을 펼친 데에 대한 항의의 뜻으로 탄생했다. 처음에는 미국 내 시위로 기획됐지만, 곧 세계 여러 나라의 과학기술인들이 연대의 뜻을 보이며 각지에서 자체적으로 동시 행사를 기획해 세계적인 규모로 거듭났다.서울 ‘함께하는 과학행진’ 소수자 과학자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열고 병기사 항목을 조회해 보았다. 노마가 불러낸 것은 팽창주의 동맹이 이번 전쟁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군체형 다중 인공지능이었다.노마는 승산이 없다는 걸 깨달았다. 전투의 승패는 사용가능한 에너지와 정보량에 달려 있었다. 마크가 사용하는 군체 인공지능의 가용정보량은 노마가 ... ...
- [과학뉴스] 새로운 문제도 척척~! 똑똑한 뒤영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사실을 알아냈어요. 뒤영벌이 완전히 새로운 상황을 배울 수 있다고 밝힌 건 이번 연구가 처음이었지요. 지금까지는 뒤영벌이 꽃 속의 꿀을 먹는 상황처럼 익숙한 상황을 실험했거든요.로우콜라 교수팀은 뒤영벌이 한 번도 접해 보지 못한 문제 상황을 만들었어요. 파란색 원판 위에 노란색 공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물을 거꾸로 흐르게 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착시 현상이에요.초침만 있는 시계를 55초마다 보는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 봐요. 맨 처음에는 초침이 0초에 놓인 걸 볼 거예요. 두 번째는 55초, 세 번째는 50초… 순으로 시계를 보다 보면 시계가 거꾸로 가는 것처럼 느껴지겠지요? 이 현상은 60초를 주기로 한 바퀴를 도는 시계를 55초 주기로 보기 ... ...
- [매스미디어] 캐리비안의 해적 - 죽은자는 말이 없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못한 이상한 손동작과 걸음걸이, 약간은 모자라 보이는 모습까지. 잭이라는 캐릭터는 처음 이 시리즈가 나온 2003년부터 많은 사람을 매료시켰다.기자가 꼽은 ‘캐리비안의 해적: 죽은 자는 말이 없다’의 관람 포인트가 있다. 바로 전편인 ‘캐리비안의 해적: 낯선 조류’의 끝자락에서 은근슬쩍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무중력 소풍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날개가 달린 옷을 입고 두 팔로 펄럭이면 새처럼 허공을 자유롭게 날아다닐 수 있었다. 처음에는 어지럽고 마음대로 날 수도 없지만, 익숙해지기만 하면 이보다 더 짜릿한 게 없었다.아이들이 하나둘씩 날개옷을 입고 하늘로 뛰어드는 모습을 보던 하림도 일단은 모든 걸 잊고 신나게 놀았다. 조금 ... ...
- [Future] 코끼리가 초속 6cm로 똥 누는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밀어 내기란 쉽지 않을 거라고 본 겁니다.연구팀이 이런 엉뚱한 연구를 한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2014년에는 다양한 포유류 동물들이 오줌을 누는 시간을 분석했습니다. 양 연구원은 “큰 동물은 오줌도 작은 동물만큼 빨리 눴다”며 “그러나 이유는 완전히 달랐다”고 말했습니다.연구팀은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말했다.지하와 우주로 울려퍼지다음악은 어디까지 영향을 미칠까. 하모니 서치를 처음 제안한 2001년의 논문은 현재까지 3000여 회 인용되며 토목과 건축, 도시설계와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였다. 상수도 지하에서 옥상까지 물을 올려라!상수도관은 강한 압력으로 높은 곳까지 물을 충분히 ... ...
이전2832842852862872882892902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