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필수품, 플라스틱의 숙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플라스틱 다이어트를 시작합니다! 에서 플라스틱 다이어트를 시작합니다! 하루 동안 사용한 플라스틱 제품들을 상세히 기록하는 ‘플라스틱 일기’를 써 보면 얼마나 많은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있는지 깨닫고 깜짝 놀랄 걸요? 내가 쓴 플라스틱과 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해 ... ...
- Part 1. 90.5가 의미하는 것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플라스틱을 발명한 이후,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본격적으로 플라스틱의 대량생산이 시작됐어요. 이후 어마어마한 양의 플라스틱이 만들어지고 있지요. 플라스틱은 얼마나 생산되었을까요? 그리고 얼마나 많은 플라스틱 쓰레기가 나왔을까요? 매년 12월, 영국의 왕립통계학회에서는 ‘올해의 ... ...
- [실전! 반려동물] 턱을 비비는 토끼, 간지러운 게 아니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보살피지 않아도 되지요. 보통 가족 구성원이 집으로 돌아오는 저녁에 활발히 움직이기 시작해 사람과 생활 주기도 잘 맞아요. 하지만 입양을 쉽게 생각했다간 큰코다칠 수 있어요. 토끼는 사람과 비교하면 급하고 다혈질인 성격이에요. 종종 흥분해서 집안을 빠르게 뛰어다니는가 하면, 뛰어난 ... ...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연사로 참여해 곤충의 생활을 강의했다.그는 또 1930년 12월 연재한 ‘백두산 곤충기’를 시작으로 동아일보에 다양한 글을 기고했는데, 곤충의 행동을 토대로 인간 사회를 투영했다. 곤충의 근면성과 단결력을 얘기하며 조선 또한 부지런히 익히고 단결해 깨우쳐야 한다는 계몽의식을 전파했다. 이 ... ...
- 20대 '신선한' 난자 얼리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냉동된 난자를 이후에 얼마나 해동해 사용했는지에 대한 통계가 이제 막 나오기 시작했다”며 “많게는 8%, 적게는 4~5%의 냉동 난자만이 해동된다”고 말했다. 서울마리아병원 가임력보존센터의 경우 2013~2018년 난자 해동 사례는 40건 정도다. 이 중 21%가 임신에 성공했다. 주 과장은 “난자 채취 ... ...
- 수압, 감수하시겠습니까... 해저 36m 수중 데이터센터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경력이 있는 직원인 션 제임스 데이터 기술 전문가가 2013년 제출한 사내연구논문에서 시작됐다. 그는 해양의 재생에너지로 작동하는 수중 데이터센터를 제안했다.이를 바탕으로 MS는 프랑스의 잠수함 제작 및 해양 재생 에너지 개발 회사인 네이벌 그룹과 함께 2단계 실험에 사용할 데이터센터를 ... ...
- 수학 인싸 되는 법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준비 됐습니까? 그럼 파티를 시작하겠습니다~!’우레와 같은 함성과 함께 신나는 비트 소리가울려 퍼지고 댄서들이 무대에 멋지게 등장했다. 그런데 잠깐! 댄서들 위로 비치는 저건 설마…, 수학? 파티에 웬 수학이지? ▼이어지는 기사를 더 보려면?Intro. 수학 인싸 되는 법Part 1. 수학으로 흔들어봐! ... ...
- 쇼 미더 매스! 수학과 랩의 만남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좋은 건 물론이고 학생들의 수학 시험 성적마저 올라서 본격적으로 수학 랩을 만들기 시작했다.카지타니는 랩을 좋아했지만, 직접 만들어 본 적은 없었다. 그래서 실제 래퍼처럼 랩을 만들기 보다는 조금 엉성해도 수학 개념을 쉽고 재밌게 배울 수 있는 데 초점을 맞췄다. 카지타니가 유튜브에 올린 ... ...
- [오일러 프로젝트]앞뒤가 똑같은 대칭수~못 만드는 ‘라이크렐 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때 대칭수가 나오지 않는 수들을 모두 라이크렐 수로 가정하고 문제를 풀기로 한다. 이제 시작해 보자! ※오일러 프로젝트란?2001년 수학과 프로그래밍 실력을 모두 키울 수 있도록 만든 수학 문제 웹사이트로, 수학 문제를 프로그래밍으로 해결하는 게 목적이다. 현재 600개 이상의 문제가 올라와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부른답니다. 이후 신석기 시대에는 돌을 갈아서 더 정교한 형태의 석기를 만들기 시작했어요. 이렇게 만든 석기를 ‘간석기’라고 하지요. 원시적으로 보이지만, 석기를 만드는 일은 상당히 어려워요. 현대인도 100시간이 넘는 연습을 해야 손도끼를 만들 수 있다고 하죠. 미국 에모리대학교 ... ...
이전2842852862872882892902912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