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컴퓨터"(으)로 총 4,4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중국 '양자 굴기' 본격화…한국은 올해 신규지원 '0'? 동아사이언스 l2018.02.13
- 상하이 지역 간 역대 최장거리 유선 양자통신 시설도 구축 중이다. 양자통신은 양자컴퓨터나 양자 인증 등 양자를 활용한 기술 중 가장 상용화에 근접한 기술로 꼽힌다. 중국은 지난 2016년 8월 16일 간쑤성 주취안 위성발사센터에서 세계최초로 양자통신위성을 탑재한 장정-2D 로켓을 발사했다. ... ...
- 오륜기 만든 ‘군집드론’ 기술, 2년 전 항우연도 개발…이달 말 IT기업에 기술이전동아사이언스 l2018.02.12
- 군집드론 역시 인텔처럼 근거리 무선통신망(WiFi, 와이파이)으로 연결된 한 대의 중앙컴퓨터에 의해 제어된다. 군집을 이루는 각 드론의 시간별 위치정보가 담긴 비행 시나리오를 드론에 입력하면 미리 짜여 있는 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서로 꼬이거나 부딪히지 않는다. 공현철 항우연 ... ...
- 천리안 1호 위성, 컴퓨터 장애로 서비스 일시중단…항우연 “2~3일 내 복구될 듯”동아사이언스 l2018.02.12
- 연장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이번 장애는 천리안 1호를 제어하는 메인 컴퓨터 2대 중 1대에 발생한 것으로, 복구에 실패하더라도 남은 한 대를 이용해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 ...
- 평창 하늘에 뜬 드론 1218대의 비밀...인텔은 왜?2018.02.10
- 컴퓨팅의 역할을 산업으로 만들고자 하는 겁니다. 드론 제어를 정밀하게 하려면 결국 컴퓨터로 제어해야 하고, 편대 비행처럼 많은 드론이 동시에 날아야 하는 상황이라면 더 강력한 컴퓨팅 파워가 필요합니다. 또한 드론에 달린 센서와 실시간 통신 기술, 마이크로프로세서도 놓칠 수 없지요. 이를 ... ...
- [표지로 읽는 과학] 북한군과 닮은 벌새 기동성, 어떻게 진화했나?동아사이언스 l2018.02.10
- 독일 프레이브루그대 등 공동 연구팀이 9일 25종의 벌새 총 207마리의 비행행동을 컴퓨터로 분석한 다음, 이 특징에 근거한 벌새의 진화가계도를 작성해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 포함된 벌새는 알려진 전체 벌새(337종)의 약 7% 수준이다. 연구팀은 체질량과 최대 방향전환 각도, 회전능력, 그리고 ... ...
- [그것이 궁금하드아③] 퍼블릭 vs 프라이빗 블록체인, 진짜 블록체인은 무엇?동아사이언스 l2018.02.09
- 대에 나눠서 저장하고, 동기화 과정을 통해 각각 저장된 정보를 일치시킵니다. 여기서 컴퓨터를 노드로 바꾸기만 하면 그대로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설명과 같아집니다. 이 때문에 퍼블릭 블록체인 기술 지지자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진정한 블록체인이 아니다’라고 말합니다. ...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③] 로봇은 새로운 종(種)일까… ‘오토마타’동아사이언스 l2018.02.08
- 인공지능과는 크게 차이가 있다. 영화의 배경을 2040년대로 비교적 멀리 잡은 점, 컴퓨터 그래픽을 줄이고 실사 부품을 사용해 현실감 있게 촬영한 점 등에서 사실감이 상당히 높다. 기술적 논란이 될 만한 기술적 부분은 교묘하게 감춰두는 친절함(?)도 엿보인다. 이 정도 설정이라면 ... ...
- 佛연구팀, 눈송이의 비밀 수학으로 풀었다수학동아 l2018.02.06
- 인공눈 개발의 단초를 제공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런 결정의 모습을 프랑스 연구진이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모두 재현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지금까지 다양한 눈결정 모양을 정확히 재현한 모형은 거의 없었다”며, “눈결정 성장을 묘사하는 수학 모형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2018.02.06
- 주목했을까 -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세상엔 별난 사람들이 많지만 미국의 컴퓨터과학자이자 발명가, 미래학자로 ‘쉬지 않는 천재’로 불리는 레이 커즈와일은 그 가운데도 손에 꼽히지 않을까 싶다. 수년 전 필자는 잡지인가 인터넷인가에서 특이한 사진을 봤다. 커즈와일의 얼굴과 함께 알약이 ... ...
- [필즈상 2018] 수학계의 샛별, 케플러 추측 푼 마리나 비아 조프스카 교수 수학동아 l2018.02.05
- 피라미드 모양으로 쌓으면 된다고 추측한 지 무려 378년이 지난 1998년에야 엄청난 양의 컴퓨터 계산을 통해 문제가 풀렸으니까요. 2015년까지 4차원 이상의 문제에 관해선 해결된 게 전혀 없었습니다. 다만 2003년 헨리 콘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소 박사와 노암 엘키스 미국 하버드대학교 교수가 이 ... ...
이전2842852862872882892902912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