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뉴스] 네안데르탈인은 중이염을 달고 살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연구팀이 화석 자료 등을 토대로 네안데르탈인의 유스타키오관 구조를 복원한 결과, 세균이 호흡기에서 귀로 번지기 좋은 평평한 구조였지요. 현생 인류도 유아기엔 이와 비슷해 중이염에 쉽게 걸려요. 하지만 5살쯤부터 유스타키오관이 길어지고 기울어져 세균이 퍼지기 어려운 환경으로 ... ...
- [과학뉴스] 블랙홀도 삼시세끼?! 9시간 마다 별 먹는 블랙홀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월 11일, 거대한 블랙홀도 주기적으로 식사를 할지 모른단 연구 결과가 발표됐어요. 유럽우주국(ESA) 우주 생물학 센터 지오반니 미뉴티 박사팀이 지구에서 2억 50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은하 ‘GSN069’의 중심 블랙홀이 9시간마다 20배 밝아졌다가 다시 어두워지는 것을 발견한 거예요. 블랙홀은 강력한 ... ...
- 디지털 범죄 잡는 인공지능 수사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포렌식 경진대회에 참여했었어요. 그때는 2위였지만, 이번엔 우승했어요. 계속 도전한 결과라고 생각해요. 포렌식 기술을 더욱 연구해 사건 해결에 도움을 주고 싶어요. 어과동 독자 여러분 중 평소 추리나 수학을 좋아하는 친구가 있다면 디지털 포렌식을 공부해 보는 건 어떨까요? 보이지 않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뽀글뽀글 비눗방울을 키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어디론가 사라지는 섭섭박사님! 무슨 생각이 떠오르신 걸까요? ☞ 어떻게 된걸까?결과 : 드라이아이스가 승화하며 큰 비눗방울을 만든다.드라이아이스는 고체 상태의 이산화탄소예요. 물이 얼면 얼음이 되듯 아주 높은 압력과 낮은 온도에서 이산화탄소를 압축하면 드라이아이스가 되지요. 영하 7 ... ...
- 지구 전체의 재앙이 된 산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밝혔어요. 위성 데이터를 통해 아마존에서 불이 난 지역과 재규어의 서식지를 대조한 결과지요. 또한 ‘보르네오 오랑우탄 생존 재단’은 이번 인도네시아의 산불로 인해 보호 중이던 오랑우탄 37마리가 호흡기 질환에 걸렸다고 밝히기도 했답니다. ▲ 9월 17일의 인도네시아 부근 탄소 농도를 ... ...
- [통합과학교과서] 날벼락을 피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색깔로 표시 했어요. 보라색에서 하얀색으로 갈수록 번개가 많이 치는 곳이죠. 조사 결과, 번개는 적도 지역에서, 바다보다는 육지에서 더 많이 나타났어요. 적도 지역은 따뜻하고 습해서 폭풍우가 자주 나타나죠. 또 육지는 해가 뜨면 바다보다 더 빨리 뜨거워지면서 상승기류를 쉽게 만들어요. ... ...
- ㅅㅇ···사라지는 언어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실제로 2010년, 제주대학교 국어문화원이 제주도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조사 대상이었던 120개 어휘 가운데 90% 이상이 알고 있는 단어는 ‘아방(아빠)’(92.3%), ‘어멍(엄마)’(91.5%), ‘하르방(할아버지)’(90.5%), ‘할망(할머니)’(90.3%) 4개뿐이었답니다. 제주도에 살고 있는 강계순(71) ... ...
- [과학뉴스] 진주에서 발견된 완벽한 형태의 중생대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 화석이 지금까지 발견된 화석 중 가장 완벽한 형태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이 화석에는 도마뱀의 꼬리가 땅에 끌린 흔적과 발걸음을 옮긴 연속 동작이 생생히 남아 있었지요.1억 1000만 년 전 중생대 백악기 시대 진주층에서 연구팀이 발견한 화석은 5마리의 도마뱀이 ... ...
- ㅇㅅㅇㅇ···우리 생물에게 우리말 이름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이름 후보를 정했어요. 그뒤 2주 동안 온라인에서 우리말 이름 국민 투표를 받았죠. 그 결과 1325명의 일반인과 198명의 전문가들이 바다 생물 12종의 우리말 이름을 정했답니다. 예를 들어 낯선 외래어가 섞여 있던 ‘시보르티접시조개’는 모양을 유추할 수 있는 이름인 ‘나비접시조개’로 바뀌는 ... ...
- [어과동 창간 15주년] 15년 동안 함께 한 홍승우 작가 인터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있나요?꿈에 관한 만화요. 우리가 꾸는 꿈이 ‘꿈 공장’에서 매일 배우들이 꿈을 촬영한 결과물이라고 가정한 세계예요. 뇌과학 분야와 연결하면 좋겠네요. 이렇게 새로운 만화의 아이디어가 생각날 때마다 적어놔요. 친구들도 저처럼 메모하는 습관을 길렀으면 좋겠어요. 지금부터 쌓아놓은 ... ...
이전285286287288289290291292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