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호랑이 호구조사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있을까요? ‘세계 호랑이의 날’이었던 지난 7월 29일, 인도 정부는 특별한 프로젝트의 결과가 담긴 보고서를 발표했어요. 이름하여, 호랑이 호구조사 프로젝트! 인도는 왜 호랑이의 숫자를 조사했을까요? 그리고 어떻게 호랑이의 숫자를 셌을까요? 모든 질문의 정답은 기사 속에 숨어 있답니다! ▼ ... ...
- [탐험대학] 하루종일 탐험, 우리는 우주로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학생들이 과학자들도 풀기 어려운 우주개발 미션에 도전했습니다. 과연, 그 결과는 어땠을까요? 달에서 물을 만들어라!“달 착륙 50주년을 맞아 미국항공우주국은 2024년, 다시 달에 사람을 보내겠다고 밝혔어요. 이를 위해서는 달 자원 활용이 중요해요. 필요한 물자를 다 지구에서 갖고 갈 순 ... ...
- 노릇노릇 보기 좋은 빵이 맛도 좋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아니라 고기가 익거나 커피콩을 볶을 때 맛있는 향과 색을 내는 것도 마이야르 반응의 결과지요. 마이야르 반응은 100℃ 정도에서는 약하고 160℃ 이상에서 나타나기 시작해 180℃ 정도에서 가장 활발해요. 이 온도보다 높으면 타기 때문에 온도 조절이 중요하답니다.빵에 무늬를 새기는 방법지난해 2월 ... ...
- [통합과학 교과서] 가 탐정 사무소를 찾은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몸 안으로 주입하는 죽거나 약화된 항원(병원균)을 말해요. 그 결과, 인위적으로 면역 반응을 일으키지요. 나중에 같은 종류의 항원이 몸 안으로 침입했을 때 항원에 대항해서 싸울 수 있는 항체를 빨리 만들기 위한 거예요. 백신으로 질병을 예방하는 원리는 크게 4단계로 ... ...
- 호랑이 찾아 지구 13바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해당하는 52만 2996km를 돌아다니며 손수 데이터를 모았지요. 2018년 한 해 동안 조사한 결과, 인도에 살고 있는 호랑이의 수는 2967마리라고 추정했어요. 이는 2014년에 비해 33%가 늘어난 숫자지요. 이 조사를 위해 연구자들은 인도의 21개 주에 있는 숲에서 최대 열흘 간 머물며 똥이나 발자국 등 동물의 ... ...
- 집안 해충 잘 죽지도 않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했어요. 3곳의 아파트에서 여러 살충제를 각각 다른 방식으로 섞어서 사용했지요. 그 결과 한 종류를 제외한 모든 살충제가 바퀴벌레를 잡지 못했어요. 심지어 세 가지 살충제를 돌아가며 써도 죽지 않았지요. 바퀴벌레는 3개월마다 알을 낳을 정도로 번식력이 좋아요. 새끼가 자주 태어나는 만큼, ... ...
- [지구사랑탐사대] 시민과학 앞장서는 지구사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프랑스에서 화분 매개자를 탐사하는 시민과학프로젝트 ‘스피폴’과 비교 분석한 결과예요. 지구사랑탐사대는 대원들이 생태 전문가와 함께 직접 탐사를 한 뒤, 우리 동네로 돌아가 가족과 함께 탐사를 이어나가는 시민과학 프로젝트예요. 스마트폰에 설치한 어린이과학동아 앱을 이용해 ... ...
- 비자림로 확장 논쟁 2 삼나무 토양 산성화?! VS 생명의 보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빠져있던 다수의 생물이 발견됐거든요. 생명다양성재단은 두 생태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비자림로 공사 구역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이 조류 4종(붉은해오라기, 팔색조, 긴꼬리딱새, 붉은배새매), 곤충 2종(애기뿔소똥구리, 두점박이사슴벌레), 양서파충류 1종(맹꽁이)으로, 총 7종이 서식하고 ... ...
- 해충 잡는 별별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전자 음악가 스크릴렉스의 ‘Scary Monsters and Nice Sprites’라는 음악을 들려주었죠. 그 결과 시끄러운 전자 음악에 노출된 모기들은 소음이 없는 상태의 모기에 비해 피를 빠는데 4~6배의 시간이 더 걸렸어요. 짝짓기의 빈도도 1/5로 줄어들었고요. 연구팀은 “음악을 사용하면 살충제처럼 환경을 ... ...
- 비자림로에 무슨 일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공사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 평가하는 소규모 환경영향평가를 해야 해요. 조사결과, 비자림로는 생태적 보존가치가 높지 않고, 보호 야생 동·식물의 서식지가 없다는 평가서가 작성됐어요. 이에 2018년 6월부터 대천~송당 2.94km 구간의 확장 공사를 시작했지요. ▲ PDF파일에서 고화질 ... ...
이전2872882892902912922932942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