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자림로 확장 논쟁 2 삼나무 토양 산성화?! VS 생명의 보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빠져있던 다수의 생물이 발견됐거든요. 생명다양성재단은 두 생태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비자림로 공사 구역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이 조류 4종(붉은해오라기, 팔색조, 긴꼬리딱새, 붉은배새매), 곤충 2종(애기뿔소똥구리, 두점박이사슴벌레), 양서파충류 1종(맹꽁이)으로, 총 7종이 서식하고 ... ...
- [통합과학교과서] 부자가 된 흥부의 의뢰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교수팀이 포름알데히드가 포함된 공기를 사람들의 피부 일부에 1시간 동안 노출시켜 본 결과, 피부에서 평균 4.4%의 수분이 날아갔어요. 아토피 환자는 이보다 2배 이상 많은 10.4%의 수분이 손실됐지요. 이외에도 포름알데히드에 노출되면 눈이 가렵거나 목이 따가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 또 ... ...
- 해충 잡는 별별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전자 음악가 스크릴렉스의 ‘Scary Monsters and Nice Sprites’라는 음악을 들려주었죠. 그 결과 시끄러운 전자 음악에 노출된 모기들은 소음이 없는 상태의 모기에 비해 피를 빠는데 4~6배의 시간이 더 걸렸어요. 짝짓기의 빈도도 1/5로 줄어들었고요. 연구팀은 “음악을 사용하면 살충제처럼 환경을 ... ...
- [가상인터뷰] 알끼리 서로 이야기를 나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알들이 경고음을 듣지 않은 알들에게 위험 정보를 전해줬기 때문이야. 연구진은 “이 결과는 알에서도 서로 위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단다. 다른 동물들도 태어나기 전 위험을 대비해? 우리 말고도 다른 새들이나 악어, 거북이, 개구리 등 알에서 태어나는 동물들은 ... ...
- 집안 해충 잘 죽지도 않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했어요. 3곳의 아파트에서 여러 살충제를 각각 다른 방식으로 섞어서 사용했지요. 그 결과 한 종류를 제외한 모든 살충제가 바퀴벌레를 잡지 못했어요. 심지어 세 가지 살충제를 돌아가며 써도 죽지 않았지요. 바퀴벌레는 3개월마다 알을 낳을 정도로 번식력이 좋아요. 새끼가 자주 태어나는 만큼, ... ...
- 붉은 수돗물 먹어도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수질검사를 직접 의뢰했어요. 연구원이 한 차례 재검사까지 하면서 확인한 결과 모두 먹는물 수질기준을 만족했지요. 물감을 풀어놓은 것처럼 벌건 물이 쏟아져 나오는데 수질기준을 만족한다는 발표에 시민들은 혼란스러웠죠. 어떻게 된 걸까요?붉은 수돗물을 걸러 필터로 성분을 조사한 결과, ... ...
- 소프트웨어로 시민들의 힘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성분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불쾌감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모아요. 그 결과 ‘미세먼지 불쾌지수’라는 새로운 기준을 만들 수 있지요.실제로 미세먼지의 성분에 따라 호흡 불쾌감이 다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자동차 탓에 발생하는 질소산화물과 공장 탓에 발생하는 황산화물이 ... ...
- [통합과학교과서] 램프의 요정, 지니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자료를 분석해, LED 조명이 도시에 쓰이면서 도시가 얼마나 밝아졌는지 연구했어요. 그 결과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도시가 매년 2.2%씩 밝아진 것으로 나타났지요. 이런 현상은 특히 가로등을 LED로 교체한 도시들에서 두드러졌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밀라노나 캐나다 캘거리 지역을 예로 들 수 ... ...
- [현장취재] 탐험으로 만나는 더 큰 세상! 탐험대학 제주캠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설계한 실험이 잘 작동할지 사전에 확인해 보는 실험을 말해요. 가설을 세우고 실험한 결과를 분석하는 과정까지 함께해 봐요.”이번엔 장이권 교수님이 지도하시는 연구 프로젝트 순서예요. 연구 주제는 ‘무당개구리의 서식지별 포식률 차이 알아보기’! 학생들은 제주도에 오기 전, 미리 ... ...
- 붉은 수돗물, 어떻게 없앨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PVC관이에요. 두 관은 관 벽에 플라스틱 재질을 한 겹 코팅해서 만들지요. 그 결과 금속관보다 부식에 훨씬 강하지만 내구성이 떨어져 사용 가능한 기간은 금속관보다 10년 짧답니다. ● 인터뷰 "상수도관도 자산! 맞춤 관리가 필요해요!"_최승일(고려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과 교수) Q얼마 전 ... ...
이전2882892902912922932942952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