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섭섭박사 실험실] 과즙이 팡팡! 열대과일 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파스타 면을 연구팀이 원하는 모양으로 변신시킬 수 있었지요. 어떻게 된 걸까?→ 결과 : 펑! 풍선이 레몬 껍질에서 나온 액체를 맞고 터진다. 학교 수업 시간에 몰래 오렌지를 까서 먹을 수 있을까요? 아마 힘들 거예요. 오렌지 껍질을 까는 순간 오렌지 향이 사방으로 퍼지거든요. 이 향의 ... ...
- 비자림로 확장 논쟁 2 삼나무 토양 산성화?! VS 생명의 보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빠져있던 다수의 생물이 발견됐거든요. 생명다양성재단은 두 생태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비자림로 공사 구역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이 조류 4종(붉은해오라기, 팔색조, 긴꼬리딱새, 붉은배새매), 곤충 2종(애기뿔소똥구리, 두점박이사슴벌레), 양서파충류 1종(맹꽁이)으로, 총 7종이 서식하고 ... ...
- 해충 잡는 별별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전자 음악가 스크릴렉스의 ‘Scary Monsters and Nice Sprites’라는 음악을 들려주었죠. 그 결과 시끄러운 전자 음악에 노출된 모기들은 소음이 없는 상태의 모기에 비해 피를 빠는데 4~6배의 시간이 더 걸렸어요. 짝짓기의 빈도도 1/5로 줄어들었고요. 연구팀은 “음악을 사용하면 살충제처럼 환경을 ... ...
- 비자림로에 무슨 일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공사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 평가하는 소규모 환경영향평가를 해야 해요. 조사결과, 비자림로는 생태적 보존가치가 높지 않고, 보호 야생 동·식물의 서식지가 없다는 평가서가 작성됐어요. 이에 2018년 6월부터 대천~송당 2.94km 구간의 확장 공사를 시작했지요. ▲ PDF파일에서 고화질 ... ...
- [통합과학교과서] 부자가 된 흥부의 의뢰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교수팀이 포름알데히드가 포함된 공기를 사람들의 피부 일부에 1시간 동안 노출시켜 본 결과, 피부에서 평균 4.4%의 수분이 날아갔어요. 아토피 환자는 이보다 2배 이상 많은 10.4%의 수분이 손실됐지요. 이외에도 포름알데히드에 노출되면 눈이 가렵거나 목이 따가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 또 ... ...
- [현장취재] 탐험으로 만나는 더 큰 세상! 탐험대학 제주캠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설계한 실험이 잘 작동할지 사전에 확인해 보는 실험을 말해요. 가설을 세우고 실험한 결과를 분석하는 과정까지 함께해 봐요.”이번엔 장이권 교수님이 지도하시는 연구 프로젝트 순서예요. 연구 주제는 ‘무당개구리의 서식지별 포식률 차이 알아보기’! 학생들은 제주도에 오기 전, 미리 ... ...
- 소프트웨어로 시민들의 힘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성분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불쾌감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모아요. 그 결과 ‘미세먼지 불쾌지수’라는 새로운 기준을 만들 수 있지요.실제로 미세먼지의 성분에 따라 호흡 불쾌감이 다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자동차 탓에 발생하는 질소산화물과 공장 탓에 발생하는 황산화물이 ... ...
- [통합과학교과서] 램프의 요정, 지니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자료를 분석해, LED 조명이 도시에 쓰이면서 도시가 얼마나 밝아졌는지 연구했어요. 그 결과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도시가 매년 2.2%씩 밝아진 것으로 나타났지요. 이런 현상은 특히 가로등을 LED로 교체한 도시들에서 두드러졌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밀라노나 캐나다 캘거리 지역을 예로 들 수 ... ...
- 미세먼지와의 밤샘결투 벌어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지름이 2.5μm 이하로 작은 초미세먼지의 발생원을 서울연구원이 2015~2016년 살펴본 결과, 서울에서 자체 발생한 것 중 39%는 난방, 25%는 교통에서 나왔지요. 고인석 서울기술연구원 원장은 “자동차와 난방 등 시민들의 생활에서도 미세먼지 배출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민들이 직접 내는 ... ...
- 붉은 수돗물 먹어도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수질검사를 직접 의뢰했어요. 연구원이 한 차례 재검사까지 하면서 확인한 결과 모두 먹는물 수질기준을 만족했지요. 물감을 풀어놓은 것처럼 벌건 물이 쏟아져 나오는데 수질기준을 만족한다는 발표에 시민들은 혼란스러웠죠. 어떻게 된 걸까요?붉은 수돗물을 걸러 필터로 성분을 조사한 결과, ... ...
이전2882892902912922932942952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