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행로
길
복도
진로
도로
길거리
입구
d라이브러리
"
통로
"(으)로 총 68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수학올림피아드와 슈퍼스타K는 닮았다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수학올림피아드는 수학에 재능이 있는 사람을 발굴해 수학자의 길로 이끄는 중요한
통로
가 되고 있다. 송용진 인하대 수학과 교수는 “한국 대표로 IMO에 나가 상을 받은 사람의 60%가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있다”고 말했다.물리나 화학, 생물 등의 분야에도 올림피아드가 있지만 수상자가 해당 ... ...
벼 병충해 막는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한층 강해졌다.연구 책임자인 첸 리큉 연구원은 “병원균은 식물의 영양분을 빼앗는
통로
를 만들도록 식물 세포에 직접 활성 단백질을 주사해 세포 밖으로 영양분이 쏟아져 나오도록 만든다”며 “이 단백질에 스위트(SWEET)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설명했다.첸 연구원은 “지금까지 식물 병리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하지만 스텐트를 미세한 혈관에 넣어 원하는 부위까지 옮기는 것이 문제였다. 혈관
통로
를 넓힐 만큼 커다란 스텐트는 혈관 안에서 움직이기가 어렵고, 스텐트를 작게 만들면 혈관을 넓힐 수 없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스텐트를 작게 접어 혈관에서 넓혀야 할 부위까지 옮긴 다음, 다시 원래 크기로 ... ...
전통건축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8호
향기는 소나무에 있는 ‘수지구’라는 조직 때문이에요. 수지구는 송진이 이동하는
통로
인데, 여기에서 나무 특유의 향기가 나거든요. 측백나무와 향나무, 삼나무, 편백나무처럼 수지구 대신 ‘수지세포’가 있어도 마찬가지로 좋은 향이 나요. 반대로 느티나무와 같은 대부분의 활엽수와 전나무, ... ...
오싹오싹 짜릿짜릿 공포의 숲을 탈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6호
잘 보이면 침입자가 오는지를 빨리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외부에 도움을 청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해 공포감을 줄여 준다.반면에 엘리베이터와 같이 창이 없고 막힌 공간은 공포를 더욱 크게 느끼게 한다. 공포의 대상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없다는 불안감 때문이다.높은 ... ...
시원한 여름나기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움직일 수 없다. 따라서 바람이 불려면 창문을 열어 공기가 들어오고 빠져나갈 수 있는
통로
를 만들어야 한다. 한쪽에서 들어오고 맞은편으로 빠져 나가도록 서로 마주보는 두 창문을 열면 효과적! 이 때 방문을 닫아 두어서 공기가 흐르는 길을 방해하면 소용이 없다. 이런 바람길은 집을 설계할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실체가 있는 것일까. 한의학 이론에 따르면 우리 몸 전체에는 기(氣)와 혈(血)이 흐르는
통로
인 경락(經絡)이 퍼져 있고 그 가운데 기와 혈이 고여 있는 자리를 경혈(經穴)이라고 부른다. 아직 경락이나 경혈의 실체가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이런 자리를 옛날 한의사들이 제멋대로 만든 건 아님을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지났지만 아직 경락은 발견되지 않았다. 기가 정확히 무엇인지 모 르는 상태에서 기의
통로
를 찾아내 진료에 이용한다는 것도 논리적으로 말이 되지 않는다. 유용상 대한의사협회 의료일원화 특별위원장은 “기와 경락이라는 개념은 병의 원인을 모르던 초기 단계의 직관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며 ... ...
산타의 기적, 첨단과학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우주 공간에 존재하는 가상의 물체이자
통로
다. 블랙홀과 화이트홀 사이를 이어주는
통로
로, 벌레가 사과의 껍질이 아니라 안으로 뚫고 들어가면서 구멍을 만드는 것처럼 시공간 속에서 지름길 역할을 한다. 몬은 바로 산타의 부대가 이론적으로 존재하는 웜홀을 이용해 집과 집 사이를 아주 쉽게 ... ...
플라즈모닉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 있는 차세대 기술이다. 금속 표면 전자의 도움을 받아 빛이 통과하지 못했던 더 작은
통로
까지 지나갈 수 있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빛의 속도로 전송할 수 있는 플라즈몬 광도파로를 이용하면 놀라운 수준의 고집적 광반도체를 만들 수 있다. 또한 플라즈몬 파를 이용하면 초점 크기가 파장의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