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행로
길
복도
진로
도로
길거리
입구
d라이브러리
"
통로
"(으)로 총 687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라즈모닉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 있는 차세대 기술이다. 금속 표면 전자의 도움을 받아 빛이 통과하지 못했던 더 작은
통로
까지 지나갈 수 있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빛의 속도로 전송할 수 있는 플라즈몬 광도파로를 이용하면 놀라운 수준의 고집적 광반도체를 만들 수 있다. 또한 플라즈몬 파를 이용하면 초점 크기가 파장의 ... ...
바르바리 해적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새로운
통로
를 찾아 낸 허풍과 도형은 거액의 상금을 어디에 쓸지 며칠 동안 계획을 세운다. 결국 터키로 돌아가 편안한 여행을 즐기기로 하는데…. 이게 웬걸? 이들이 탄 배는 터키가 아닌 아프리카로 향하는데….1 가자, 터키로~!이집트를 떠나는 날. 아직도 다음 여행지를 결정하지 못한 허풍 일행.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2006년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신맛을 느끼는 데 관여하는 PKD2L1이라는 이온
통로
를 찾았다. 또 탄산음료를 마실 때 ‘탁 쏘는’ 느낌을 감지하는 수용체 Car4를 찾아 지난해 ‘사이언스’에 보고했다. Car4는 이산화탄소를 탄산이온과 수소이온으로 바꿔주는 효소로 세포막에 존재한다. ... ...
짜릿한 전기 세상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주인이 맞는지 확인하는 기술이 꼭 필요하답니다. 정전 걱정 뚝! 전기가 전달되는
통로
인 전선에 사고가 생기면 전기 공급이 얼마 동안 끊기고, 사람들은 전선을 고치거나 다른 전선을 통해 전기가 공급될 때 까지 불편한 정전을 겪지요. 하지만 전기 기술과 통신 기술이 결합한 스마트 그리드 ... ...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소금에 들어 있는 나트륨이 아니지만 나트륨처럼 미뢰의 짠맛 수용체에 붙거나 막 이온
통로
를 거쳐 짠맛 세포를 자극한다. 그 결과 짠맛 신호가 생성돼 뇌까지 전해진다. 나트륨이 아닌 물질이 나트륨처럼 맛 경로를 이용해 짠맛을 느끼게 하는 셈이다. 짠맛 조절물질이 들어 있는 음식을 먹은 ... ...
피라미드 안은 보물 천국?!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말하자 깜짝 놀란다. 허풍과 도형이 지나온 길은 아직 발견되지 않은 장소로 이어지는
통로
였다.“하하, 뭐 경성에서 가장 유명한 고고학자, 허풍이라고 합니다. 제 소개가 늦었죠?”금세 거만해진 허풍은 이 발견에 대해 일장 연설한다. 소 뒷걸음치다 쥐 잡은 격의 이번 발견으로 상금까지 받는다 ... ...
[물리] 전기회로 집중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전류전류는 전하의 움직임이다. 전류의 방향은 오랜 관례에 따라 양전하의 운동방향으로 정의한다. 전류의 단위는 암페어(A)다. 전하량의 단위는 쿨 ... 않습니다. 그러나 오른쪽 그림에서는 이웃한 두 단자를 연결했을 때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통로
가 2개 생기고 병렬연결의 형태를 띱니다 ... ...
감쪽같은 소금 흉내로 뇌 속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소금에 들어 있는 나트륨이 아니지만 나트륨처럼 미뢰의 짠맛 수용체에 붙거나 막 이온
통로
를 거쳐 짠맛 세포를 자극한다. 그 결과 짠맛 신호가 생성돼 뇌까지 전해진다. 나트륨이 아닌 물질이 나트륨처럼 맛 경로를 이용해 짠맛을 느끼게 하는 셈이다. 짠맛 조절물질이 들어 있는 음식을 먹은 ... ...
베르누이 원리를 입증하려면?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느린 넓은
통로
에서는 압력이 높으므로 풍선의 부피가 많이 줄어든다. 유속이 빠른 좁은
통로
에서는 압력이 낮으므로 풍선의 부피가 넓은 관에서보다 늘어 날 것이다.지구과학Q1. [민감성, 정교성]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 측정에 관련된 다음의 지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시대 성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M2단백질에 대항하는 항체다. M2단백질은 수소이온이 바이러스 안으로 들어가는
통로
로 바이러스의 표면에 있다. 수소이온은 바이러스가 숙주의 세포와 결합하게 해 준다. 따라서 항체가 M2단백질을 공격해 수소이온이 통과하지 못하게 막으면 바이러스는 숙주의 몸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M2단백질은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