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맥
meal
mill
mille
뉴스
"
밀
"(으)로 총 421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 첫 관측]천문연·서울대·연세대 등 국내 연구자 8명도 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동아시아관측소(EAO) 산하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망원경(JCMT)과 아타카마
밀
리미터 서브
밀
리미터 전파간섭계(ALMA)의 협력 구성원으로서 EHT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손봉원 천문연 전파천문본부 연구원은 “이번 결과는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대한 궁극적인 증명이며, 그간 가정했던 ... ...
인류가 최초로 관측한 블랙홀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높다. 마지막으로 또다른 전파망원경 집합체인 칠레의 아타카마대형
밀
리미터/아
밀
리미터집합체(ALMA)가 결합해 한층 선명한 영상이 됐다. 사진제공 NRAO, ESO ●블랙홀 특성 규명, 일반상대성이론 증명 등 학문적 성과도 연구팀은 단순한 블랙홀 영상만 얻은 게 아니다. 이를 바탕으로 블랙홀의 특성을 ... ...
출력
밀
도 높고 충방전 속도 빠른 ‘슈퍼 커패시터’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3.05
있다. 하지만 전하를 띠는 이온들로만 구성된 이온성 액체는 유기 전해질에 비해 전하
밀
도가 매우 높아 일반 슈퍼 커패시터와는 다르게 작동한다. 연구팀은 이런 이온성 액체 슈퍼 커패시터의 경우 충·방전 과정 중 반대전하 이온들의 흡착보다는 공전하 이온의 탈착이 충전에 크게 영향을 준다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후변화 이길 '감자 2.0'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0
안을 수 있는 꽃다발처럼 보인다. 전 세계 13억 명의 인구를 먹여 살리고 있는 감자는
밀
과 쌀 다음으로 중요한 식량 작물로 세계 감자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해왔다. 중국은 최근 20년 사이 감자 수확량이 2배로 늘었다.인도와 우즈베키스탄, 방글라데시는 식량 안보에서 감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 ...
생명체 극한환경 생존 원리 밝힌 이철주 연구원 ‘이달의 KIST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1.28
측은 “이 연구원은 그동안 아주 짧은 순간 미량으로 존재해 미스터리로 남아 있었던 포
밀
메틸오닌에 따른 생명현상을 최초로 밝혀냈다”며 “동 연구는 극한 환경에서 생명체가 생존하는 신비를 풀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함과 동시에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평가했다 ... ...
메뚜기 점프원리 규명·아이언맨 소재 발굴…美육군 과학자들이 뽑은 연구 10選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개발하고 있다. 양방향으로 빠른 대화가 가능하고 노이즈가 생기지 않는 더 정
밀
한 센서를 만들기 위해 노력중이다. 보든(BODN)의 화학식.-미국육군연구소 제공 미 육군 과학자들이 가장 많이 쓰이는 폭탄인 티엔티(TNT)를 대체할 새로운 폭탄을 개발했다. ‘보든(BODN)’은 TNT보다 50% 더 강력한 ... ...
"유기농법 확대하면 기후변화 악화된다" 유기농의 역습
동아사이언스
l
2018.12.16
심을 토지가 줄어든다. 연구진이 스웨덴 농업위원회의 작물 수확 통계를 분석한 결과
밀
을 유기농 방식으로 길렀을 때가 일반적인 농법으로 길렀을 때보다 단위 작물당 탄소배출량이 70%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완두콩도 유기농의 경우 탄소배출량이 50% 이상 늘어난다. 스테판 비르세니우스 ... ...
세계가 다시 머리를 맞댔다…기후변화 막을 최후 대안 만들러
동아사이언스
l
2018.12.04
데 성공할 경우 지역별 해수면 상승폭이 2도 때보다 4~16㎝ 줄고, 저개발국의 옥수수나
밀
등 식량 생산량 감소 속도도 약 50%로 떨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1.5도로 온도 상승을 제한하면 수 백만 명 이상의 인구를 빈곤에서 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게티이미지뱅크 보고서는 파리협약의 최대 목표치를 ... ...
“기후변화로 미국 GDP 10% 증발될 것” 美 연방보고서
동아사이언스
l
2018.11.25
지금보다 5도가량 올라간다. 보고서는 먼저 가뭄이나 홍수, 무더위로 콩이나 옥수수,
밀
, 쌀 등 주요 농작물의 수확량이 지금보다 약 25% 이상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여름철 폭염으로 2090년에는 20억 명의 노동자가 일자리를 잃고 이로 인한 손실이 약 181조 2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 ...
지구온난화 시대에 뜨는 직업 '농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7
반대로 햇빛이 적을 땐 불필요한 물과 비료를 주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를 정
밀
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보통 농가는 물과 비료를 30% 정도 버리지만, 도시농업연구소는 낭비하는 양이 거의 없습니다. 미생물이 식물을 살린다! 우주농업 NASA는 미국 아리조나대학교와 식물에 필요한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