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커플
뉴스
"
쌍
"(으)로 총 60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킹펭귄 90만 마리는 어디로 사라졌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3.22
아닐 것으로 추정했다. 펭귄의 이주 흔적도 없었다. 코숑섬 근처의 작은 섬에는 1만 7000
쌍
의 킹펭귄이 살고 있는데 90만 마리가 사라진 이유를 설명하기엔 부족했다. 연구팀은 유력한 후보로 바다 수온의 변화로 인해 펭귄이 더욱 멀리 헤엄쳐야 하는 것과 연관이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최근 ... ...
바이러스감염병 15분만에 정체 가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9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외피 단백질에 작용하는 새로운 압타머를 발굴했다. 이 압타머
쌍
을 이용해 색깔 변화만으로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진단 키트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데 15분이 소요된다. 장승기 교수는 “새로 개발한 바이로-셀렉스 방법을 ... ...
[인간·공감·AI]①신종 감염병의 시대, AI가 데이터를 들여다보기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1
정보에서 질병과 관련한 단서를 찾는 데 AI를 활용하고 있다. 인간의 게놈에는 30억
쌍
의 DNA 염기서열이 있고 2만 개 이상의 단백질 역시 긴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복잡한 입체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DNA에서 단백질을 만드는 과정에 관여하는 mRNA는 게놈 속 유전자 가운데 무엇이 실제로 작동하는지 ... ...
국내 연구팀, 코로나 항체 찾는 탐지 단백질 개발…치료제 개발 속도 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0
항체를 생성한다. 항원과 항체의 관계는 마치 자물쇠와 열쇠의 관계처럼 꼭 들어 맞는
쌍
이 있다. 예를 들어 코로나19에 감염되면 B세포는 이 바이러스의 항원을 인식해 결합할 수 있는 항체를 만들어낸다. 국립보건연구원 연구팀은 이 항체와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을 개발한 것이다. 이 단백질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여성이 더 오래 사는 이유
2020.03.10
이 없어 수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이론이다. 반면 동형 염색체인 여성은 X염색체
쌍
가운데 하나가 변이 유전자이더라도 몸의 세포 절반만이 영향을 받을 뿐 나머지 절반에서는 다른 X염색체의 정상 유전자(안전망)가 작동해 부정적 영향이 없거나 완화된다. 물론 부모 양쪽에서 다 변이 ... ...
"임신 초기 금연으론 불충분, 임신 전 담배 끊어야"
연합뉴스
l
2020.03.04
핀란드 동부대학의 이사벨 룸리히 환경생물과학 교수 연구팀이 산모와 신생아 140만
쌍
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3일 보도했다. 임신 첫 3개월 사이에 담배를 끊을 경우 저체중아 출산 위험은 줄어들지만, 흡연이 태아의 뇌 크기와 신장에 ... ...
80종 넘는 코로나19 치료제 후보 임상시험 진행中
동아사이언스
l
2020.02.17
약물은 발열이나 기침, 인후통 등 감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쓰이는 '
쌍
황련'이다.
쌍
황련은 속썩은풀(황금)의 뿌리와 인동덩굴의 꽃, 의성개나리의 열매(연교)를 건조시켜 추출한 물질이다. 과거 중국에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유행할 때도 치료효과가 ... ...
"아프리카인도 네안데르탈인 DNA 다수 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1.31
개의 DNA 염기서열이 네안데르탈인으로부터 온 것으로 확인됐다. 현생인류가 지닌 약 30억
쌍
의 염기서열 가운데 0.3%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추정한 아프리카인의 네안데르탈인 염기서열 수보다 17배 이상 많은 수다. 아프리카인이 지닌 네안데르탈인 염기서열의 94%는 유라시아의 ... ...
외계행성탐색 망원경이 찍은 인터스텔라 혜성 '보리소프' 모습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혜성을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보리소프는 다른 태양계 내 천체와 달리
쌍
곡선을 그리며 태양계를 빠져나간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이번 관측 결과는 국제소행성경보네트워크(IAWN)이 주관하는 보리소프 혜성 국제 공동관측 캠페인에 공유된다. 관측 캠페인에는 허블우주망원경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냄새와 페로몬에 대한 우리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
2019.12.31
유전자에 의해 전적으로 결정되는 건 아니라는 말이다. 또 하나 이상한 사실은
쌍
둥이 세
쌍
모두 후각망울이 없는 쪽의 후각 테스트 점수가 오히려 더 높다는 점이다(각각 110 대 86, 110 대 97, 111 대 98). 비유하자면 이 없이 잇몸으로 음식을 더 잘 씹어먹는 셈이다. 후각망울이 없음에도 냄새를 맡는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