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커플
뉴스
"
쌍
"(으)로 총 593건 검색되었습니다.
[Science토크]‘알파폴드’ 쇼크로 치열해지는 단백질 구조 분석 경쟁
동아사이언스
l
2019.07.28
예측하긴 불가능하다. 신경망을 통해 학습한 AI 알고리즘이 예측한 정확한 아미노산
쌍
조합과 거리, 결합각도가 실제 물리적으로 가능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딥마인드는 두 번째 단계로 물리적으로 가능하면서도 무작위적인 단백질 접힘 배열을 만들었다. 이 때 신경망 대신 별도로 ... ...
남극 서식 웨델물범, 아델리펭귄 사냥 모습 최초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포착됐다. 극지연구소는 이원영·김정훈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아델리펭귄 2만4000여
쌍
이 서식하는 남극 인익스프레시블 섬에서 2017년 말부터 2018년 초까지 10번의 현장조사를 통해 생선이나 갑각류를 주로 먹는 것으로 알려진 웨델물범의 새로운 취식행동을 찾아냈다고 26일 밝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속도와 정확도 한층 개선한 실리콘 양자컴퓨터
동아사이언스
l
2019.07.21
큐비트는 양자 2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이 양자
쌍
을 각기 멀리 떼어놓아도 한쪽의 회전 방향을 바꾸게 되면 다른 쪽의 회전 방향도 즉시 바뀐다. 이를 양자 얽힘이라 한다. 이 현상을 통해 성질이 다양한 정보처리가 가능해지고 연산 속도도 대폭 빨라진다. 큐비트의 ... ...
허젠쿠이가 교정한 '유전자편집 아기' 또 다른 위험 초래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CCR5 유전자
쌍
이 모두 제거되면서 돌연변이 유전자가 생겼다. ‘나나’는 CCR5 유전자
쌍
중 한쪽만 변이가 생기도록 해서 태어났다. 루루가 에이즈에 걸리지 않도록 인위적으로 조작한 것이다. 연구팀은 41세부터 78세 영국인 40만 명 이상의 의료 기록과 유전자 정보를 담은 바이오뱅크 데이터를 ... ...
에이즈 면역 위해 유전자 편집한 아기, 사망률 21%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의료 기록과 유전자 정보를 갖고 있다. 분석 결과 돌연변이를 갖고 있지 않거나 한
쌍
의 유전자 중 한쪽에만 돌연변이를 가진 사람에 비해 양쪽 모두에 돌연변이를 가진 경우 사망률이 약 21% 높았다. 평균적인 유전자 돌연변이 비율보다 돌연변이 유전자를 두 개 가진 사람이 데이터베이스에 훨씬 ... ...
26일 아침
쌍
소행성이 지구 곁을 지나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3
가지고 있다. 2.6km의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보며 돌고 있다. 이런 소행성들을 묶어
쌍
소행성이라 부르는데 태양계 내에서 이를 발견하는 것은 흔치 않다. 다이아몬드 형태를 하고 있는 1999KW4는 188일을 주기로 태양을 돌고 있으며 2036년 한번 더 지구와 가까워진다. NASA측 관계자는 “1999KW4라고 20년전 ... ...
시속 8km로 '슝~' 안심하고 타는 실버캐리지
동아사이언스
l
2019.05.08
이동 도우미인 '실버캐리지'를 개발했다. 12인치짜리 앞 바퀴 2
쌍
과 8인치짜리 뒤 바퀴 2
쌍
이 달린 구동용모터로, 알루미늄으로 만들어 약 6.4kg로 무겁지 않고 접이식이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연구팀이 분석한 결과 고령자들이 많이 다니는 마트와 병원, 복지관 등 생활반경 내에서 활용도가 ... ...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황제펭귄 무리가 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또다른 군집의 개체수가 2016년 이후 갑자기 10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2015년에는 약 1200
쌍
의 황제펭귄이 살았지만, 2018년에는 1만 4000마리로 이상으로 늘었다. 그나마 핼리 만의 펭귄은 이주할 곳이 있어 절반이나마 생존했다. 하지만 남극의 환경이 전반적으로 나빠질 경우에는 대책이 없다. 트라탄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은 왜 편리한 날개를 버렸나
2019.04.24
애벌레를 주식으로 하는 데 모두 날개가 없는 먹이이므로 굳이 날개가 필요 없다. 2
쌍
날개를 붙여 앞날개가 벌어지지 않는 홍단딱정벌레와 뒷날개가 퇴화한 강원길쭉먼지벌레 날개를 없앤 대신 강하고 긴 다리로 생활을 하는데 어찌나 빠른지 도망가면 잡기도 어렵거니와 손으로 잡으려고 하면 ... ...
프레디 머큐리처럼 우렁차지만 감미롭게 노래하는 법
과학동아
l
2019.04.20
이뤄져 서로 붙었다 떨어지며 모양을 바꾼다. 이 교수는 “성대는 얇은 근육 한
쌍
으로 이뤄진 기관”이라며 “양쪽 성대 근육의 접촉 강도와 긴장도를 조절해 소리의 세기나 높낮이를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좌우 성대 근육의 접촉 강도를 조절하면 소리의 세기가 달라진다. 이들을 강하게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