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커플
뉴스
"
쌍
"(으)로 총 593건 검색되었습니다.
中유전자 편집 아기 협력 의혹 美 교수들 ‘참여사실 없음’ 처분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유전자 교정을 했고 그 중 한
쌍
의 부모로부터 에이즈 바이러스(HIV)에 면역력을 가진
쌍
둥이인 ‘루루’와 ‘나나’를 얻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유전자 편집 아기가 태어났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해외는 물론 중국 과학계조차 허 교수에 대한 비판을 쏟아냈다. 윤리적 도덕적 기준을 위반한 ... ...
부산대 연구진, 성능 개선된 양자통신용 광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확인하는 것도 성공했다. 문 교수는 “국내 순수 기술로 원자 매질에서 생성된 광자
쌍
을 제어해 고효율 양자얽힘 광원을 개발하고 이를 측정한 것”이라며 "이번 연구 결과를 활용해 양자컴퓨팅, 양자네트워크, 양자통신 등 양자정보과학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이강운의 곤충記]날개를 달고 어딘들 가지 못할까마는…
2019.04.10
환경부는 붉은점모시나비 복원을 위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총 120
쌍
, 240마리의 붉은점모시나비를 원 서식지인 강원도 삼척에 방사했다. 방사 후 과연 얼마만큼 복원이 됐고 안정화됐는지 확인하기 위해 2016년도 5월말에서 6월초까지 모니터링을 실시했다. 생물 이동경로와 개체군 크기를 측정하는 MRR ... ...
여름 바다의 적 거대 독 해파리의 비밀, 게놈 해독으로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차세대염기서열해독기술을 동시에 이용해 노무라입깃해파리의 염기서열을 총 972억
쌍
해독했다. 그 뒤 이 염기서열정보를 재조합해 실제 해파리 게놈을 조립해 냈다.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해파리 게놈의 염기서열 수는 사람(30억
쌍
)의 15분의 1 수준인 2130만 개였다. 연구팀은 이 데이터를 분석해 ... ...
젊음의 호르몬 '클로토' 치매예방에도 효과 과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PiB-PET)을 받게 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APOE4 유전자를 한
쌍
갖고 있는 사람들은 아직까지 치매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더라도 뇌 안에 아밀로이드 베타가 쌓이고 있다는 사실을 마커를 통해 알아냈다. 그런데 이 유전자를 둘 다 갖고 있어도 다른 사람보다 클로토 호르몬이 ... ...
유전자 변이 15분만에 진단하는 휴대용 칩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6
국제학술지 ‘네이처 의공학’에 이달 25일 발표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30억
쌍
에 이르는 긴 염기서열로 이뤄진 DNA에서 목표로 하는 DNA 부분을 높은 정확도로 찾아 자를 수 있는 기술이다. 유전자 진단은 장비가 작아지기 어렵다. 피나 땀 등 체액에서 얻을 수 있는 유전자의 농도가 펨토몰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의 속도 경쟁
2019.03.20
더해져 벌, 파리, 딱정벌레 종류는 곤충 중에서도 가장 잘 나가는 놈들이다. 비행날개를 1
쌍
으로 줄인 딱정벌레목이나 파리목은 나비나 나방에 비해 작고 단순한 날개를 가졌지만 신기술을 활용하여 최고의 속도를 자랑한다. 크고 강한 날개를 가진 나비나 나방이지만 초당 100회 정도의 날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수 있다는 뜻이다. 사람을 비롯해 대부분의 생물은 게놈이 2배체, 즉 염색체 한
쌍
으로 이뤄져 있다. 그런데 감수분열 과정에서 염색체가 분리되지 않아 2배체인 생식세포가 만들어지면 3배체 또는 4배체(양쪽 다 이런 경우) 게놈을 지닌 수정란이 생긴다. 이 경우 발생과정에서 동물은 대부분 ... ...
"고마워" "미안해" 왜 쓰기 어려울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3.17
감사를 원할 것이라는 추측도 할 수 있다. 예측을 테스트하기 위해 연구팀은 207
쌍
의 피실험자를 상대로 실험을 했다. 참가자들은 짝을 이뤄 각자 5분 동안 과제를 수행하고 과제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이 과제로부터 받을 수입을 결정하게 했다. 결정된 수입은 두 참가자에게 동등하게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 날개의 등장은 필승 전략이었다
2019.03.06
가지고 있다. 'Diptera'의 'Di'는 둘, 즉 2개의 날개를 가지고 있다는 뜻으로 뒷날개 한
쌍
을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평균곤(halter)으로 과감히 변형하여 단순화 시키는 진화를 택했다. 물론 날개가 2개인 모기나 각다귀도 파리목에 속한다. 파리목의 잠자리각다귀 평균곤 ‘접어야 산다’. 스마트 폰에도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