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들은 사람들의 반응은 대개 “그게 뭐 대수냐? 작은 존재라니? 문을 열고 닫을 때
조금
이나마 에너지가 필요하겠지. 도깨비도 먹고 살아야 하니 에너지를 쓸 거 아냐?”처럼 냉소적이었다. 중세시대에 고민하곤 했던 “바늘 끝에 천사가 몇이나 서 있을 수 있나?”라는 질문처럼 맥스웰의 도깨비를 ... ...
입학담당관 전형 46%로 확대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6개 입학전형에 모두 응시해보는 게 좋다. 그래야 1단계 서류전형 합격 가능성이
조금
이라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단 경기과학고의 입학담당관 전형과 과학영재 전형, 대구과학고의 거경 전형과 궁리 전형의 경우 동시 합격은 없으므로 각 학교의 두 가지 전형 가운데 어느 전형이 더 유리할지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노미오와 줄리엣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나타낸다. 이 때문에 이들 2~4등신의 캐릭터에게 비율이라는 단어를 붙이는 것조차
조금
민~망할 정도다.이 유아스러운 SD 캐릭터들은 그들의 모습에 매료돼 애니메이션을 보고 난 후에도 한참동안 녀석들의 큰 눈과 환상적인 몸매가 한동안 머릿속을 맴돌며 동심의 세계에 머물게 한다. 그러나 ... ...
“나를 키운 건 8살짜리 궁금증”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안팎으로 큰 기대를 받고 있는 장 교수에게 앞으로 하고 싶은 일을 물었더니
조금
도 망설이지 않고 “너무나 당연하게 보이는 것들을 뒤집고 싶다”고 대답했다.“온도가 뭐냐고 물으면 뭐라고 대답하시겠어요? 당연히 알 거 같은데 선뜻 대답이 나오지 않아요. 그런데 이게 18세기 과학자들에게도 ... ...
마이클 잭슨 죽인 수면마취제 프로포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때 관리와 감독을 받지 않아 쉽게 구할 수 있다는 것이 마지막 이유였다. 그는 “처음엔
조금
씩 맞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양이 점점 늘어나 하루에 10~15번까지 맞았다”고 진술했다. 또 “나중에는 프로포폴을 끊고 싶었지만 강력한 충동과 갈망을 이기지 못하고 다시 사용해야 했다”고 했다. 이는 ... ...
“고교생활의 값진 IT 경영수업”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선린인터넷고를 지원했다. 반에서 5등 안에 들었지만 선린인터넷고를 지망하기에는
조금
부족한 성적이었다. 그래서 일반전형이 아닌 특별전형을 지원했다. 특별전형에서는 프로그래밍에 대한 소질을 보여야 하기 때문에 평소 좋아하는 게임을 직접 만들었다. “실제 게임 엔진을 써서 슛팅게임을 ... ...
Part 2. 잘 살고 있니? 고기공장에 갇힌 가축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제정했다. 동물복지축산은 생산성이 떨어지고, 시설과 노동력이 더 들어가기 때문에 보
조금
을 주는 정책도 함께하고 있다.조광호 전남대 동물자원학부 교수팀은 2007년 ‘한국형 동물복지농장 모형 설정’이라는 보고서에서 동물의 인도적인 관리, 불필요한 학대 금지, 꼬리·부리·볏 자르기 억제, ... ...
남미의 뿌리, 안데스 산맥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남겼다. 그의 이름이 붙은 언덕을 지나고나니 현실적이지 않게만 보였던 그의 그림이
조금
은 이해가 됐다.[아타카마 사막은 근처 바다에서 흐르는 한류의 영향으로 상승기류가 발달하지 못해 강수량이 적다. 매우 건조한 기후를 보이는 이곳은 달의 표면을 닮았다는 뜻에서 ‘달의 계곡’이라는 ... ...
눈먼 쥐의 일주리듬에 미치는 빛의 영향 확인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빛이 없을 때 생쥐의 일주리듬은 24시간보다 약간 짧기 때문에 활동을 개시하는 시간이
조금
씩 빨라진다. 그런데 16일째 되는 날 잠깐(15분) 빛을 쪼여줬다. 그 결과 정상쥐와 rd쥐 모두 다음날 활동을 개시하는 시간이 90분가량 늦춰졌다. rd쥐가 빛을 감지한다는 강력한 증거다.이런 결과를 토대로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세우는 것은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동해는 수심이 매우 깊어서
조금
만 벗어나도 500m, 1000m 이상으로 바로 떨어진다”며 “독도 주변에는 수심 50m 아래 단단한 암반층이 있어 과학기지를 설치하기에 적절하다”고 말했다. 울릉도도 있지만 울릉도는 크기가 크고 사람이 살고 있어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