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수학과 과학은 서로 다르다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무한을 대상으로 실험할 수 없으니까요. 즉 수학과 과학은 관심분야도 다르죠.
조금
쉬운 예를 들어볼까요. 점과 선으로 수학과 과학의 차이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점은 무엇이죠? 크기가 없고 공간을 차지하지 않지만 위치를 나타낼 수 있는 도형 입니다. 선은 위치와 길이는 가지고 있지만 폭과 ... ...
수학교육 문제점, 생활수학으로 해결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셈이다. 설동근 교과부 제1차관은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잘하는 학생은 더 잘하게,
조금
뒤처지는 학생은 수학에 흥미를 느끼며 학습할 수 있도록 할 것” 이라며 “수학을 누구나 쉽게 공부할 수 있도록 바꾸겠다” 고 밝혔다.교과부가 학교 수학교육을 개선하겠다며 발표한 정책은 크게 ➊ ... ...
Part 2. 수학이 과학에 속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0이 되고, 따라서 x=5! 이처럼 과학문제를 풀기 위해 수학을 공부하는 거라고요. 제가 공부
조금
했습니다. x도 알고 방정식도 알아요.수학과 과학의 관계에 대한 서울 하나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생각수학이 과학에 속한다소유림 “세상의 만물과 현상을 다 과학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수학은 ... ...
[수학영재캠프] 낭만 올림피아드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위치했던 한 칸이 아메바가 분열된 이후의 두 칸과 대등한 상황이라는 생각입니다. 혹은
조금
다르게 생각하면, 아메바가 분열하면서 크기가 절반씩인 두 마리로 분열된다고 생각해도 좋겠습니다. 그럼 각 칸의 위치에 따라 그 칸에 오게 되는 아메바의 크기가 결정되고, 아메바 전체의 크기의 합은 ... ...
포천 사랑방교회 어린이학교 MIE 수업 현장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사진을 촬영하느라 다빈치 다리를 만들어 보았지만 막대와 막대가 부딪혀 막대 방향이
조금
만 바뀌어도 쉽게 무너져 고생했던 기억이 아직 생생한데, 요섭 학생은처음 해 보는 거라고 하는데도 잘하네요.아쉽지만 드디어 수업 종료! 어린이학교 학생들은 수업이 끝나자마자 곧장 파이데이 행사가 ... ...
말썽꾸러기 조카 '지지리 마란드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봉우리인 얄룽캉에서 1박 2일에 나오는 야외 취침을 하겠다. 그럼 얼른 텐트를 만들라구.
조금
있으면 날이 어두워질걸~?”업새블라는 풀러가 발명한 돔형 텐트를 직접 조립해서 하룻동안 지내 보라고 시켰다. 벌써 추워서 달달 떨고 있는 지지리 마란드러와 썰렁홈즈. 과연 무사히 텐트를 만들 수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북쪽으로 이동한 뒤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유럽으로 향했다고 보고 있다(고고학자들은
조금
다른 이동 경로를 제시하고 있다. 이동 경로와 논쟁점에 대해서는 파트 2 참조). 따라서 아시아와 유럽으로 퍼지기 직전 중동 지역에서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 사이에 ‘혼혈’이 일어났고, 이후 ... ...
우리 집 家 도 혹시 병든 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점점 더 움직이지 않고 있다. 스티멀스 교수는 “건축가들은 어떻게 건물 내에서 사람이
조금
이라도 더 많이 걷고 움직이게 만들까를 고민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람이 움직일 때 에너지를 얼마나 소비하는지 5초마다 기록하는 가속계와 건물 내 사람의 위치와 움직이는 속도를 측정하는 ... ...
스마트 라이프 만드는 차세대 이동통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다른 사용자에게 간섭이 되기 때문이다. 처음 들어갈 때는 약하게 보내 보고 안 되면
조금
씩 올리는 방식이라 네트워크에 들어가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다. 음성통화는 연속적이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 하지만 일단 정보를 화면에 띄운 뒤에는 통신을 하지 않다가 사용자가 띄엄띄엄 터치할 때만 ... ...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기체가
조금
씩 빠져나가 원기의 질량에 영향을 주었던 걸까. 아니면 한 번씩 꺼낼 때마다
조금
씩 공기 중의 미세먼지가 붙어서 복사본의 질량이 더 늘어난 것일까. 아쉽게도 이 물음에 과학자들은 뾰족한 해답을 얻지 못하고 있다.문제는 앞으로다. 원기와 복사본 사이의 질량 차이가 더 벌어지지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