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위성이 그린 호랑이의 포효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세 번째다. 순전히 예술적인 기준으로 뽑힌 이 작품들은 여느 인간 화가의 작품에 비해
조금
도 손색이 없다. 동물이나 우주를 닮은 작품부터 추상화를 연상케 하는 작품까지 지구의 아름다운 모습을 감상해 보자.✽나머지 작품은 http://eros.usgs.gov/imagegallery/에서 볼 수 있다. [한 줄기 붉은 빛 커다란 ... ...
입자 가속기 삼국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양성자 가속기’, 전자를 가속하면 ‘전자 가속기’가 된다. 전자 가속기는 형태를
조금
바꾸면 ‘방사광 가속기’로 변신한다. 전자 한두 개를 추가로 얻거나 잃어버려 음극 또는 양극 성질을 갖게 된(이온화된) 원자’를 쓰는 것은 중이온 가속기다. 결국 가속기란 ‘전자기력을 이용해 입자를 ... ...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기체가
조금
씩 빠져나가 원기의 질량에 영향을 주었던 걸까. 아니면 한 번씩 꺼낼 때마다
조금
씩 공기 중의 미세먼지가 붙어서 복사본의 질량이 더 늘어난 것일까. 아쉽게도 이 물음에 과학자들은 뾰족한 해답을 얻지 못하고 있다.문제는 앞으로다. 원기와 복사본 사이의 질량 차이가 더 벌어지지 ... ...
차세대 전자부품 초박막 반도체를 칠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그러나 이 공정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여기저기 옮기는 과정에서 소자의 배열이
조금
이라도 흔들리면 반도체는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또 소자가 너무 얇아서 아예 웨이퍼에 달라붙어버리면 PDMS에 붙어 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도 있다. [➊ 플렉시블 전기전자 소재/소자 연구실에서 ... ...
말썽꾸러기 조카 '지지리 마란드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봉우리인 얄룽캉에서 1박 2일에 나오는 야외 취침을 하겠다. 그럼 얼른 텐트를 만들라구.
조금
있으면 날이 어두워질걸~?”업새블라는 풀러가 발명한 돔형 텐트를 직접 조립해서 하룻동안 지내 보라고 시켰다. 벌써 추워서 달달 떨고 있는 지지리 마란드러와 썰렁홈즈. 과연 무사히 텐트를 만들 수 ... ...
수준별 수학 교과서가 도입되는 이유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수준 이상의 우수한 품질을 유지하고 있다.수학은 제6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부터
조금
씩 변해 왔다. 제6차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 교과서는 학생이 자습서 없이도 스스로 수학을 공부할 수 있도록 하려고 수학 개념을 더 상세하고 친절하게 설명하고, 교과서 뒷부분에 교과서에 실린 문제의 답과 ... ...
수학으로 쏙쏙 밀어 넣는 포켓 당구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하지만 그녀는 “당구는 매우 예민한 경기여서 힘 조절에서
조금
만 실수하거나, 각도가
조금
만 틀어져도 경기를 망칠 수 있다”며 “침착함은 필수”라고 말했다.그녀에게 당구란 무엇일까“당구란 인생이죠. 당구를 거창하게 포장하려는 게 아니라 전 어려서부터 선수생활을 시작해 국가대표 ... ...
[수학영재캠프] 길이 3등분기 작도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감사합니다, 박사님! 존경하는 분께 칭찬을 들으니 의욕이 더욱 솟는 것 같아요.
조금
전의 질문은 길이 m등분기로 임의의 선분을 3등분할 수 있다는 것만 보이면 충분하겠네요.”박사님 “그래요. 3등분기로 임의의 n등분을 할 수 있으니까 m등분기로 3등분기를 흉내 낼 수 있으면 충분하겠지요. ... ...
우리 집 家 도 혹시 병든 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점점 더 움직이지 않고 있다. 스티멀스 교수는 “건축가들은 어떻게 건물 내에서 사람이
조금
이라도 더 많이 걷고 움직이게 만들까를 고민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람이 움직일 때 에너지를 얼마나 소비하는지 5초마다 기록하는 가속계와 건물 내 사람의 위치와 움직이는 속도를 측정하는 ... ...
스마트 라이프 만드는 차세대 이동통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다른 사용자에게 간섭이 되기 때문이다. 처음 들어갈 때는 약하게 보내 보고 안 되면
조금
씩 올리는 방식이라 네트워크에 들어가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다. 음성통화는 연속적이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 하지만 일단 정보를 화면에 띄운 뒤에는 통신을 하지 않다가 사용자가 띄엄띄엄 터치할 때만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