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뉴스
"
위치
"(으)로 총 5,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게시판] 서울아산병원 인공지능 개발 콘테스트 종료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3.26
◆ GC녹십자가 미국 내 신규 혈액원을 열었다. 새 혈액원은 텍사스주 브라운즈빌에
위치
하며, 원료혈장을 최대 10만L 생산할 예정이다. 이로써 GC녹십자는 미국 내 총 10곳의 자체 혈액원에서 최대 55만 L에 달하는 양질의 원료혈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됐다. 혈장 안의 필요한 성분만을 고순도로 ... ...
[강석기 과학카페] 사람도 지구자기장을 느낄 수 있을까
2019.03.26
아래에서 위로 방향이 바뀔 때는 변화가 없었다. 참고로 실험이 진행된 칼텍 캠퍼스의
위치
에 해당하는 북반구 중위도에서는 지구자기장의 자기력선의 경사각이 수평에서 아래쪽으로 70도 내외다. 알파파는 진동수가 8~13Hz(헤르츠)인 뇌파로 차분하게 깨어있을 때 많고 각성 상태가 되면 줄어든다. ... ...
해수 담수화에 쓰이는 '분리막' 오염 실시간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6
장치를 개발했다. 이 장치를 통해 분리막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막 젖음이 발생하는
위치
와 변화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서로 다른 막 오염과 막 젖음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작동할 수 있어 막 오염과 막 젖음 현상도 실시간으로 관측 가능하다. 정 연구원은 “다양한 ... ...
[애니멀리포트] 상어 가족은 엄마가 힘이 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3.23
고래상어가 미세 조류 같은 식물도 많이 먹는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먹이사슬상의
위치
를 나타내는 지표인 영양단계가 고래상어의 경우 2.7로 나타나 식물만 먹는 초식동물(2)과 동물플랑크톤을 먹는 작은 물고기(3) 사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포획한 고래상어의 지느러미 연골 ... ...
몸집 커진 미세먼지 관측항공기 더 많은 장비·연구원 싣고 하늘 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2
도입을 통해 봄철 장거리 이동을 하는 미세먼지를 파악하고 수도권과 주변 지역에
위치
한 대형 오염원들의 대기질 영향을 파악한다는 취지다. 안 연구관은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관측을 집중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국외 미세먼지 유입의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말했다. 항공기는 ... ...
침팬지 사회의 정치학, 美 대선에서도 통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2
왕좌에서 무리를 내려다보거나, 무리 한가운데로 나무에서 내려오는 것이 대표적이다.
위치
를 이용해 무리를 장악하는 방식은 인간 정치에서도 통한다. 2013년 헤르트 스튈프 네덜란드 흐로닝언대 행동 및 사회학과 교수 연구팀은 역대 미국 대선 후보자의 키와 득표수의 상관관계를 비교했더니 ... ...
대한지질학회, 학술적 이견 불구 "포항지진은 촉발지진" 공식화 문제 없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발생한 지진들의 진원
위치
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속도모델을 구축하고 상대
위치
를 결정하는 등의 진원보정 과정을 거쳤다고 덧붙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98개 지진의 정확한 진원을 결정한 결과 PX-2 지열정에서 진행된 물 주입이 유발한 미소지진들이 이루는 평면과 포항지진의 단층면해가 ... ...
포항지진 진원지
위치
·지진 후 지하수위 변화…지난해 연구와 다른 점은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것이다. 포항지진으로 인한 영향이 지열정에 바로 반영됐다는 점도 단층면이 이
위치
를 지나가는 근거로 제시됐다. 2번 지열정의 경우 포항지진 이후 지하 수위가 740m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포항지진의 단층이 지열정을 지나가기에 파손이 일어났다는 것이다. 포항지진 이후 2번 지열정 속을 ... ...
포항지진 물 주입이 부른 작은 지진이 쌓여 큰 지진 불렀다(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고려대 교수, 김광희 부산대 교수의 연구와는 비슷하면서 다르다. 구체적인 진원의
위치
가 훨씬 많은 데이터와 정교한 비교 분석으로 확정됐다. 이 교수팀의 논문은 물 주입이 직접 규모 5.4의 지진을 일으킨 것으로 결론 내리면서도 이론상 필요한 물의 수백 분의 1에 불과한 양으로 지진이 일어난 ... ...
포항지진은 촉발지진…진원 깊이 등 남은 쟁점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S파보다 빠른 P파의 도착 시간만 측정된 것이다. 지진이 너무 강했던 데다 지진계가 진앙
위치
에서 가까워 지진계가 P파의 작은 진폭만으로도 측정 한계에 도달해버려 S파 도달을 측정하지 못했다. 본진 주변 지진계 측정자료에 따르면 P파가 가장 먼저 도달한 지진계와 가장 늦게 도달한 지진계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