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뉴스
"
위치
"(으)로 총 5,276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질 바깥만 전류 흐르는 '위상부도체' 실험으로 구분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노력이 지속됐다. 위상은 반복되는 파동의 주기에서 시작점의 각도나 한 순간의
위치
를 뜻한다. 물질의 경우는 원자 속 전자의 파동이 위상 차이를 가져온다. 전자의 파동 특성은 수학적으로 계산이 가능해 이를 통해 어떤 물질이 위상부도체인지 구분했다. 하지만 실험을 통한 측정값으로 ... ...
유전 정보 저장 능력 커진 ‘인공 DNA’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석좌위원팀은 기존 DNA와 구조 및 크기가 유사하지만 구성 원자 몇 개의 종류와 수,
위치
를 조금씩 바꾸는 방법으로 총 8개의 인공 DNA 염기를 개발해 ‘사이언스’ 21일자에 발표했다. 벤너 위원은 “개발한 새 DNA 체계에 ‘여덟 글자’라는 뜻의 일본어 ‘하치모지(八文字)’라는 이름을 ... ...
인간도 지구자기장을 느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4
자기장을 느낄 수 있다. 가령 철새는 자기감각을 이용해 계절에 따라 이동하고 개미는
위치
와 방향을 파악한다. 꿀벌, 파리, 소, 바퀴벌레를 포함하는 약 50 종의 동물이 자기감각이 있고 이를 생존에 활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지금까지 인간에게는 이런 종류의 감각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 ...
핵융합 3파전…한국 인공태양이 최종 승자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총알 비슷한 어른 새끼 손가락 크기의 작은 캔을 떨어뜨리는데, 정가운데에 펠릿이
위치
할 때마다 사방의 192개 장비가 동시에 자외선 레이저를 뿜어 펠릿을 태운다. 펠릿이 받는 에너지는 500조 와트에 달한다. 펠릿 안에는 수소보다 질량이 두 배 큰 동위원소인 ‘중수소’와 세 배 큰 ... ...
해왕성 14번째 초미니 위성 발견 “40억 년 전 충돌로 형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같은 방법을 활용해 보이저 2호의 촬영 이후 지상에서 관측되지 않던 해왕성 가장 안쪽에
위치
한 지름 66km의 소형 위성 ‘나이아드’를 재발견하는 부수적 성과도 얻었다. 연구팀은 “트리톤과 해왕성 사이의 위성들이 충돌로 형성됐다는 기존 이론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라며 의의를 설명했다 ... ...
[이강운의 곤충記]아가미 있는 곤충의 겨울나기
2019.02.20
고도로 분포된 혈관을 연결하여 호흡한다. 아가미의 종류나 기관아가미의 형태나
위치
로 종을 분류할 수 있을 만큼 수서곤충에게 호흡기관은 가장 중요한 신체 구조이다. 집 밖의 띠무늬우묵날도래 애벌레 기관 아가미 무늬하루살이 애벌레 기관 아가미(SEM) 쇠측범잠자리 애벌레 아가미방 ... ...
교통사고 나면 자동으로 SOS
동아사이언스
l
2019.02.20
충격감지 센서가 내장된 스마트폰나 블랙박스와 같은 기기를 통해 사고가 일어난
위치
정보, 탑승객수, 사고차량의 유종과 같은 정보를 알 수 있다. 충격감지 외에도 기울기 변화를 통해 사고 여부를 판단한다. 일정 시간 내 차량의 속도가 큰 폭으로 변하거나 차량 뒤집힘 여부, 바퀴별 회전 상황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레예프는 왜 희토류 원소를 싫어했을까
2019.02.19
한다. 그리고 원소 각각의 입장에서도 프라세오디뮴(Pr)부터는 d 블록에서 한 칸씩 당겨
위치
하는 꼴이 된다. 세륨(Ce)의 전자배치는 [Xe]4f(1)5d(1)6s(2)로 4f 블록의 첫 번째 칸이 맞지만 그 다음인 프라세오디뮴부터 전자배치가 다시 마델룽 규칙을 따르기 때문이다(프라세오디뮴은 [Xe]4f(3)6s(2)). 즉 ... ...
달의 뒷뜰에 중국식 지명 붙는다…텐허·즈뉘·허구·톈진·몬스타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창어 4'가 촬영한 비디오에서 캡쳐한 본 카르만 크레이터의 모습. 중국국가항천국 제공 지난달 3일 중국의 달탐사선 창어4호가 세계 최 ... Earthrise)와 '(아폴로) 8호 집으로'(8 Homeward)로 정하기도 했다. ※달 앞면 탐사선 착륙
위치
(마우스 커서를 이용해 그림 속 탐사선 이름 찍어보세요). ... ...
[표지로 읽는 과학]동일한 생존전략 택한 세 지역의 토끼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마리의 게놈 서열을 분석했다. 사는 곳과 환경이 달랐음에도 세 곳의 토끼는 DNA속 비슷한
위치
의 면역 관련 유전자가 변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에게서 생산되는 항바이러스 단백질인 인터페론의 활성화 정도가 높아진 것이다. 연구팀은 “세 국가에서 바이러스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