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경우"(으)로 총 12,899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구글·네이버 번역기가 갑자기 ‘열일’하게 된 이유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쓰지 않는 학술용어가 소리 나는 대로 번역되거나, 번역되지 않고 그 단어 그대로 나오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런 단어가 많을수록 번역 품질은 낮아진다.구글은 단어 벡터의 단위를 하나의 단어가 아닌 자주 쓰이는 알파벳의 조합(sub-word unit)으로 설정했다. 예를 들어 ‘teacher’이 하나의 단어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곱셈기 등 논리 연산 장치(ALU)가 필요하다. 강 교수는 “기존에 제안됐던 덧셈기의 경우 2진 소자를 기반으로 회로를 구현하려고 했기 때문에 회로가 아주 복잡했다”며 “이번 연구는 0, 1, 2라는 입력값을 다시 2진법으로 변환해 계산하는 방식을 탈피해 복잡도를 획기적으로 줄였다”고 말했다 ... ...
- [Issue] 젊음 주사?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것에 비판적이기도하다. 영양주사에 들어 있는 열량과 영양소가 밥 한 끼도 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밥이 보약’이라는 말처럼 끼니 때 영양소를 잘 챙겨먹고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만으로도 영양을 충분히 챙길 수 있다 ... ...
- [Issue] 파리천체물리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일상은?IAP의 이론물리학자들 중에는 괴짜가 많아 방문객들이 당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합니다. 어떤 방문 과학자가 IAP에 한 달 동안 머물면서 겨우 들은 한 마디가 “나는 수리우주론을 연구하는 이론가이며 매우 집중이 필요한 연구를 하고 있으니, 자판 두드리는 시끄러운 소리가 들리지 ... ...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섞여 있음을 ‘디랙 행렬’로 나타냈다. 특히 그 당시 질량이 없다고 여겼던 중성미자의 경우 이 두 성분이 서로 분리된다. 마요라나는 이 방정식의 근본적인 의미를 연구하던 중, 디랙 행렬과 스피너가 모두 실수인 표현을 찾아냈다. 그리고 페르미에게 그 표현의 의미를 ‘입자와 반입자가 ... ...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거듭했다. 최교수팀이 로봇을 만들어 보냈지만 거기에 신경줄기세포를 심을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줄기세포를 배양하려면 배양액 속에 로봇이 고정돼있어야 하는데, 액체의 흔들림 때문에 로봇이 붙어 있던 유리 기판에서 쉽게 떨어져 나갔던 것이다.결국 로봇이 좀 더 견고하게 기판에 붙어있을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에르되시-버어 추측을 해결하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그래프’라고 하지요. 특히 그래프에서 서로 다른 두 꼭짓점이 모두 선으로 연결된 경우를 ‘완전그래프’라고 합니다. 여기서는 여러 사람이 있고 서로 악수한 사람 사이에 선을 그은 것이 그래프가 되지요. 램지 정리를 그래프 이론의 언어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N이 충분히 크다면,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T-pMOS, T-nMOS)를 함께 집적한 것이 3진 금속산화막반도체다. 보통의 경우보다 많은 도핑으로 인해 T-pMOS와 T-nMOS 소자에는 게이트 전압에 따라 조절되는 채널 전류(붉은색 화살표)와 관계없이 일정한 터널링 전류(검은색 화살표)가 흐른다. 이를 이용하면 T-nMOS에 채널 전류가 흐를 때를 0, T-pMOS에 채널 ... ...
- [Origin] 원숭이 사회에 흔한 관계, 동성애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데엔 인색했던 게 사실이다.영장류를 비롯한 동물의 행동 연구는 명쾌하게 해석되는 경우가 많지 않다.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처럼 질문을 하고 답을 들을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해 연구자들은 답답할 뿐이다. 어쩌겠는가, 더 다양한 원숭이를 관찰해 개별 결과를 모아 종합적으로 ... ...
- [Career] 4배체 유전자 개구리, 세계 최초로 해독한 과학자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밑거름이 되고 있다. 4배체 개구리는 진화적으로 아주 흥미로운 존재기 때문이다. 인간의 경우 두 개 있어야 할 염색체의 균형이 깨지면 세포가 죽거나 암과 같은 심각한 질환을 앓게 된다. 21번 염색체가 3개인 다운증후군도 이에 해당한다.하지만 아프리카발톱개구리와 같은 원시 개구리류인 ... ...
이전2892902912922932942952962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