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경우"(으)로 총 12,8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여기로 가 보자! 신종 발견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유용하게 쓰여요. 또 상상하기 어려운 환경에 적응하다 보니 신비한 생김새를 하고 있는 경우도 많답니다.어둡고 고립되면 생물도 희한하게 쑥쑥?신종을 찾기 좋은 또 다른 장소는 사람의 발이 아예 닿지 않았던 곳이에요. 예를 들어 수심 200m 이하의 깊은 바다인 심해는 고성능 잠수함이 개발되기 ... ...
- Part 1. 몸이 열쇠가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수보다 많다고 하니, 나와 같은 홍채 모양을 가진 사람은 거의 만날 수 없는 거예요. 만약 경우의 수가 가장 많은 고유 정보 DNA를 이용한 기술이 개발된다면 보안이 가장 뛰어난 생체인식 기술이 될 거예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내 몸이 만능열쇠? 생체 인식이 궁금해!Part 1. 몸이 열쇠가 ... ...
- [도전! 코드마스터] 내 컴퓨터로 복잡한 뇌 구조를 밝힐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공유하는 세상이 되었답니다.과학자나 단체가 집단지성을 학문 연구에 도입하는 경우도 생겼어요. 바로 ‘시민참여과학’이지요. 시민참여과학을 통해 이 책을 읽고 있는 어과동 독자를 포함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연구자가 될 수 있는 길이 열렸어요.시민참여과학 ... ...
- Part 5. 생체 정보, 딥러닝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만든 통·번역 서비스인 ‘파파고’예요. 기존의 음성 번역 기술은 단어를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많았어요. 한 드라마에서 주인공이 ‘많아’라고 말했는데, 스마트폰의 음성 인식 비서 프로그램이 ‘만화’로 잘못 알아듣는 것처럼 말이에요. 하지만 파파고는 단어를 인식할 때 앞, 뒤의 단어나 ... ...
- [교과연계수업] 내 몸이 열쇠가 된다고? 생체 인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수보다 많다고 하니, 나와 같은 홍채 모양을 가진 사람은 거의 만날 수 없는 거예요. 만약 경우의 수가 가장 많은 고유 정보 DNA를 이용한 기술이 개발된다면 보안이 가장 뛰어난 생체인식 기술이 될 거예요.GIB1. 대상 : 생체인식에 대해 알고 싶은 학생이라면 누구나. 2. 제목 : 내 몸이 열쇠가 ... ...
- Part 3. [생체열쇠 - 둘] 홍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경우 카메라가 조임근의 모양을 읽어낼 수 없지요.또 눈꺼풀이 홍채의 일부를 덮고 있을 경우에도 카메라가 홍채를 찾아내기 어려워요. 따라서 과학자들은 멀리서도, 홍채의 일부만으로도 모양을 읽을 수 있도록 센서의 성능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내 ... ...
- [숲이야기] 알록달록, 겨울을 기다리는 단풍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있던 ‘탄닌’ 성분 때문에 나타나요.다양한 색소가 어루러져 ‘오색 단풍’을 만드는 경우도 있어요. 대표적인 예가 계수나무지요. 계수나무 잎은 달걀 모양이나 심장 모양을 하고 있어요. 어느 색소가 나타나느냐에 따라 단풍의 색이 매우 다양하답니다. 국립수목원에도 거대한 계수나무가 ... ...
- [출동! 섭섭박사] 지진의 원인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올라가는 ‘역단층’이 생겨요. 한편 땅이 위 아래로 움직이지 않고 수평으로 움직이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주향이동단층’이라고 부른답니다.여러 단층이 한꺼번에 생기기도 해요. 예를 들어 이번 경주 지진은 역단층과 주향이동단층이 섞인 형태로 일어났어요.땅이 힘을 받아 모양이 바뀌며 ... ...
- [과학뉴스] 꼭꼭 숨어라~, 공룡 보일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이 색소는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물질이기도 하지요. 프시타코사우루스의 경우, 등에는 멜라닌 색소의 분포가 높고, 배에는 멜라닌 색소의 분포가 적었어요. 이런 현상은 현대 동물들에서도 자주 발견돼요. 이를 ‘카운터쉐이딩’이라고 부른답니다. 등처럼 햇빛에 노출되는 부분을 어둡게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흔들리는 신풍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P파와 S파의 도착 시간 사이의 간격이 길어진다. 이 간격을 ‘PS시’라고 한다. 대부분의 경우 PS시를 조사하면 지진계가 설치된 지역에서 진원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지진파지진이 발생하면 진원을 중심으로 에너지가 파동으로 퍼져나가기 시작한다. 이 파동을 ‘지진파’라고 한다. ... ...
이전2912922932942952962972982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