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을 만나다! 로멜라 로봇 전시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마치 꽃게처럼 옆으로 걷는 거예요. 그럼 골반이 흔들리지 않고, 돌림힘도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으로 걸을 수 있습니다. 사람들에게 나비가 걷는 방향을 알려 주기 위해 이렇게 얼굴도 만들어 줬지요.” 취재에 참가한 이지민 학생은 “이번 취재를 통해 고정관념을 깨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 ...
- 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죄송해요. 아침인데, 그것도 사무실에서 시끄럽게….”“괜찮습니다. VR의 가장 큰 장점이 몰입감과 현장감이니까요.”서동일 볼레 크리에이티브 대표는 자주 겪는 ... 아닌 가상현실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Part 4. 너의 취향을 추천할게Part 5. 온 몸이 보안 코드, 생체인증 ... ...
- [Culture] 좌완투수의 시대 왼손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상위 30명을 선정했다. KBO가 처음 시작된 1982년부터 2017년까지 36년간 단 한번이라도 30위 안에 이름을 올린 투수 371명 중 왼손 투수는 102명으로 약 27%로 나타났다. 일반인의 왼손잡이 비율인 10%보다 2.7배 가량 높은 수치다. 2017년에는 특히 왼손투수가 무려 12명이나 이름을 올리며 40%를 차지했다. ... ...
- [Culture] 우리 개가 자꾸 똥을 먹어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심심함을 탈피할 수 있는 아주 좋은 방법입니다. 배변훈련이 잘 안 된 개들이 집안 여기저기에 똥을 싸놨다가 혼이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발견한 반려인은 개를 사건 현장으로 데려가 “누가 이랬어? 화장실에 싸야지!”라고 혼을 내곤 합니다. 그럼 개들은 바닥에 똥이 있으면 엄마가 ... ...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충분한 성능이다. 이 책임연구원은 “관건은 이 불확도를 유지하면서 작은 트레일러 안에 광격자 시계를 넣을 수 있는지 여부”라며 “지금 진행하는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친다면 6~7년 뒤에는 우리나라도 이동식 광격자 시계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인터뷰]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생각해 보면 그전에는 1시간을 공부한다고 앉아 있어도 실제로 공부하는 시간은 30분이 안 됐어요. 스마트폰과 같은 방해꾼들이 늘 있잖아요. 절박함과 중압감이 이를 이겨낼 수 있게 해줬어요.” 스스로 계획을 짜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공부 시간이 정해졌다. 많은 수업을 듣다보니 당장 내일까지 ... ...
- Part 3. 호모 사이보그, 텔레파시를 보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뇌에 주사하는 그물 모양의 전극이에요. 주사기로 머리에 뉴럴 레이스를 넣으면 뇌 안에서 넓게 그물처럼 펼쳐져요. 그러면 이 그물이 뇌의 신경 신호를 컴퓨터로 전달하고, 반대로 컴퓨터의 전기신호를 뇌로 전달할 수도 있어요. 쉽게 말해 머릿속 정보를 컴퓨터로 다운로드 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 ...
- [Issue] 요즘 ‘핫’한 롱패딩, 한국 겨울엔 필요 없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패딩 덕분에 2클로가 훌쩍 넘습니다. 가장 추운 1월 강원도의 평균 기온이 영하 5도가 채 안 되는데, 현재 한국인의 복장은 시베리아 수준인 셈입니다. 의복생리학을 연구하는 이주영 서울대 의류학과 교수는 “한국 날씨에는 패딩이 불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아이가 ‘나는 추위를 많이 타는 ... ...
- [Culture] 이황화결합과 가교결합, 크루아상 & 애플파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만듭니다. 또 가교결합 전분은 고온이나 산성에서도 물성이 변하지 않고 화학적으로 안정적이어서 애플파이뿐만 아니라 피자 소스나 바비큐 소스를 만들 때에도 사용됩니다. 신원선연세대에서 식품영양학을 전공하고 일본 교토대에서 단백질 구조 및 기능 특성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초전도체로 만들어졌다. 덕분에 열손실이 적어 일반 상전도 가속기에 비해 같은 시간 동안 더 많은 전자를 가속시킬 수 있고, 그만큼 빠르게 방사광이 만들어진다. 초당 생성되는 방사광의 수(펄스·pulse)가 대폭 늘어나는 것이다. 초당 펄스 수가 클수록 물질 변화를 빠르게 관찰할 수 있다. 김 ... ...
이전2892902912922932942952962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