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국기로 떠나는 세계여행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국기를 들고 입장하는데, 이 중에서 세모난 국기를 발견한 것이다. 히말라야 산맥에
위치
한 네팔은 네모가 아닌 국기를 쓰고 있는 유일한 나라다. 가로세로의 비도 4:5여서 세로가 더 길다. 네팔을 제외한 세계 모든 나라의 국기는 네모꼴이다.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비교해도 대부분 가로가 더 길다. ... ...
이런 수학문제 봤나요?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2h 이내에 차를 훔쳐 우측으로 갔다’라는 가정에 따라 위에서 했던 것처럼 도둑의 예상
위치
를 구한다. 이것을 이용해 앞에서처럼 계산된 시간(h)을 달린다.셋째 가정이 참이라면 경찰관은 도둑을 잡았을 것이다. 아니라면 넷째 가정을 세운다.‘도둑은 2h 이내에 차를 훔쳐 좌측으로 갔다.’다시 ... ...
제2게임 행렬로 푸는 흑백 게임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먼저 첫줄을 모두 흑으로 만들기 위해서 두 번째 줄의 돌을 이용하는데, 가장 먼저 ①
위치
에 있는 돌을 뒤집었습니다. 당연히 ① 주위에 있는 위, 아래,좌, 우의 돌이 모두 뒤집혀 각 색이 바뀌었지요. 다음으로 ②와 ③을 뒤집어 첫 줄에 있는 돌을 흑으로바꿨습니다. 두 번째 줄은 세 번째 줄의 돌을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부터 분석을 시작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또한 말디-토프(MALDI-TOF) 질량분석기로 단백질의
위치
정보를 영상으로 나타내기로 정했다. 말디-토프 질량분석기는 현재 수 ㎛(1㎛=100만분의 1m)의 해상도로 단백질 분포 영상을 만들 수 있다. 질량분석기법의 대가인 리차드 카프리올리 미국 반데어빌트대 ... ...
소행성 충돌 사건의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소행성 P/2010 A2는 2009년 2월 지름이 수cm인 소행성 조각과 충돌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돌한
위치
도 얻어 냈다.이 과정에는 로제타 위성의 공이 컸다. 소행성의 공전 궤도평면은 지구와 일치하기 때문에 지구에서만 관측해서는 궤적을 입체적으로 알아 내기 어렵다. 로제타 위성은 소행성의 ... ...
변화무쌍 수조 진짜 남극바다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있다. 이날 실험에서 석유시추선 모형은 파도가 넘쳐 갑판에 물이 찼는데도 끝까지 처음
위치
를 유지했다. 김 책임연구원은 “설계상에 문제가 없어 보여도 해양공학수조에서 실제 태풍 상황을 실험해 보면 개선할 부분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며 “같은 배라도 기상 상황이나 속도에 따라 ... ...
배다해와 장재인의 노래 비법이 궁금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만들 수 있다. 물론 훈련에 의해서다. 목소리 스펙트럼은 모음을 발음하려고 혀, 입술의
위치
와 입의 벌림을 다르게 할 때 특정 음형대 가 나타난다. 하지만 조음기관만 움직여서는 나올 수 없는 주파수에서 강한 음형대가 나온다. 남 교수는 “이 부분을 활용하면 소리를 크게 내는 것과는 다른 ... ...
인류의 에너지원 ‘별’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같지만 중성자의 수가 다른 원소를 동위원소라 한다. 동위원소란 현재 주기율표상 같은
위치
에 있지만 중성자의 수가 달라 구별되는 원소란 의미다. 원소의 표기 방법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원소의 원자번호(양성자의 수)를 Z라 하고 중성자의 수를 N이라 할 때 이 둘을 합한 값을 질량수 ‘A’라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이름이 붙었다. 별은 제각기 움직임이 다르기 때문에 별 두 개가 시선 방향에 나란히
위치
해 중력렌즈 현상을 일으키는 시간은 며칠 정도로 짧은 편이다.별 두 개가 정확히 일치하는 때를 전후해 관측하면 중력렌즈 현상에 의한 밝기 변화는 대칭이 된다. 그러나 지구에 가까운 별에 행성이 있다면 ... ...
투명테이프가 선물한 노벨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주고, 남는 전자들은 양자역학적 성질에 의해 그물코를 이루는 육각형의 구조 어딘가에
위치
하게 된다. 이렇게 켤레이중결합을 이루는 전자 중 일부가 그물코 안을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그래핀 내부는 전하의 이동성이 뛰어나고 전기전도성이 대단히 높다. 예를 들어 상온에서 전기를 얼마나 빨리 ... ...
이전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