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부터 분석을 시작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또한 말디-토프(MALDI-TOF) 질량분석기로 단백질의
위치
정보를 영상으로 나타내기로 정했다. 말디-토프 질량분석기는 현재 수 ㎛(1㎛=100만분의 1m)의 해상도로 단백질 분포 영상을 만들 수 있다. 질량분석기법의 대가인 리차드 카프리올리 미국 반데어빌트대 ... ...
소행성 충돌 사건의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소행성 P/2010 A2는 2009년 2월 지름이 수cm인 소행성 조각과 충돌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돌한
위치
도 얻어 냈다.이 과정에는 로제타 위성의 공이 컸다. 소행성의 공전 궤도평면은 지구와 일치하기 때문에 지구에서만 관측해서는 궤적을 입체적으로 알아 내기 어렵다. 로제타 위성은 소행성의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발표했다. 그런데 T1R1과 T1R2의 유전자는 이
위치
에 있지 않았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이
위치
에 혹시 이들과 비슷한 구조의 또 다른 유전자가 있지 않나 조사해 보기로 했다.약 45만 염기 길이를 분석한 컴퓨터는 비슷한 유전자가 하나 있다는 결과를 내놓았다. 강력한 쓴맛 수용체 유전자 후보를 ... ...
[통합과학] 계면 활성제의 미셀 구조 형성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측정하는 것이다. 제시문 (나)를 참고할 때 비누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용액 표면에
위치
하는 비누 분자가 많아지므로 물 분자 사이의 인력이 방해받고 따라서 용액의 표면 장력은 점점 감소한다. 비누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용액의 표면장력을 측정해 표면장력이 더이상 감소하지 않는 지점을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이름이 붙었다. 별은 제각기 움직임이 다르기 때문에 별 두 개가 시선 방향에 나란히
위치
해 중력렌즈 현상을 일으키는 시간은 며칠 정도로 짧은 편이다.별 두 개가 정확히 일치하는 때를 전후해 관측하면 중력렌즈 현상에 의한 밝기 변화는 대칭이 된다. 그러나 지구에 가까운 별에 행성이 있다면 ... ...
투명테이프가 선물한 노벨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주고, 남는 전자들은 양자역학적 성질에 의해 그물코를 이루는 육각형의 구조 어딘가에
위치
하게 된다. 이렇게 켤레이중결합을 이루는 전자 중 일부가 그물코 안을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그래핀 내부는 전하의 이동성이 뛰어나고 전기전도성이 대단히 높다. 예를 들어 상온에서 전기를 얼마나 빨리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각 꼭짓점에 모이는 변의 개수는 모두 같다. (다) 꼭짓점은 모두 삼각형의 변의 양 끝에만
위치
한다. 1) 7개의 삼각형으로 분할한 모양을 그리시오.2) 19개의 삼각형으로 분할한 모양을 그리시오.3) 위의 조건에 따라 삼각형 ABC를 분할한다면 최대 몇 개의 삼각형으로 분할할 수 있는지 답하고, 그 이유를 ... ...
인류의 에너지원 ‘별’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같지만 중성자의 수가 다른 원소를 동위원소라 한다. 동위원소란 현재 주기율표상 같은
위치
에 있지만 중성자의 수가 달라 구별되는 원소란 의미다. 원소의 표기 방법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원소의 원자번호(양성자의 수)를 Z라 하고 중성자의 수를 N이라 할 때 이 둘을 합한 값을 질량수 ‘A’라 ... ...
제1게임 먼저 두는 사람이 유리한 오목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높은 곳의 경우만 따져가며 게임을 한다.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상황에 따라 3~4곳의
위치
를 선정하고, 그 곳에 돌을 두었을 때 어떤 상황이 일어날지를 먼저 생각한 뒤 가장 유리한 쪽에 돌을 둔다. 이런 사고 과정은 수학의 최적화 이론과 관련이 있다. 어떤 문제 상황에서 정확한 답을 구할 순 ... ...
다리엔 왜 줄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만들기 위해 탑의 모양을 H자, A자, 역Y자 등으로 다양하게 할 수 있지만 이때마다 줄의
위치
가 달라져 계산을 새롭게 해야 한다.사장교는 현수교와 같이 기둥 사이의 거리를 넓게 만들 수 있다. 특히 탑 사이의 거리가 1km보다 작을 때는 현수교보다 사장교로 만드는 것이 비용이 적게 들어 경제적이다. ... ...
이전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다음
공지사항